2022년 생애단계별 소득·경제상황…중장년층 압도적 우위
2022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결과, 청년층 인구는 전년대비 2.4% 감소한 반면, 노년층 인구는 4.9% 증가했다. 중장년층은 0.1% 증가했다. 또한, 소득은 중장년층이 가장 높고, 건강보험 진료비는 노년층이 가장 많았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청년층이 22.9%, 중장년층이 52.6%, 노년층이 24.5%를 차지했다. 청년층 인구 감소, 노년층 증가 2022년 청년층(15~39세) 인구는 총 인구의 29.9%(1,492만명), 중장년층(40~64세)은 40.5%(2,020만 4천명), 노년층(65세 이상)은 18.1%(904만 6천명)을 차지했다. 청년층 인구는 전년대비 2.4%(36만 3천명) 감소, 중장년층과 노년층 인구는 각각 0.1%(2만 2천명), 4.9%(42만 6천명) 증가했다. 청년층 인..
저출산과 고령화, 2072년 국내 총인구 3,622만명으로 인구감소 전망
2022년 현재 5,167만명인 한국 인구는 2072년 3,622만명으로 감소할 전망입니다. 인구 감소의 주된 원인은 저출산과 고령화이다. 총인구 중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71.1%에서 45.8%로 감소하고, 고령인구 비중은 17.4%에서 47.7%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 감소는 노동력 부족, 사회보장 재정 악화, 소비 위축 등의 문제를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 인구, 2022년 5,167만명에서 2072년 3,622만명으로 감소 전망 통계청이 발표한 2022~2072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한국 인구는 2022년 5,167만명에서 2072년 3,622만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이는 1977년 수준으로, 1950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인구 감소의 주된 원인은 저출산과 고령화이다. 2022..
경기도, 1인가구 정보 한눈에 볼 수 있는 ‘1인가구 포털’ 구축
경기도가 1인가구 정책, 시군별 참여 프로그램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경기도 1인가구 포털’을 구축했다. 지역별, 분야별, 연령별 참여 프로그램을 찾아서 신청할 수 있고, 경기도 1인가구 시행계획, 1인가구 병원 안심동행, 여성1인가구 안심패키지, 1인가구 통계, 유관기관 등 다양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경기도가 1인가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경기도 1인가구 포털’ 구축 ‘경기도 1인가구 포털’은 도내 1인가구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됐다. 1인가구 정책홍보, 시군별 참여프로그램 정보 제공 및 신청, 유관기관 안내, 통계, 법령 자료실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포털은 크게 ‘정책’, ‘참여’, ‘정보’, ‘통계’, ‘법령’ 5개 섹션 구성 ‘정책’ 섹션에서는 도 및 시군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