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엔피넷뉴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디엔피넷뉴스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뉴스 (7089) N
    • 가전 (66)
    • 건강 (105)
    • 건설 (45)
    • 건축 (13)
    • 게임 (35)
    • 경제 (1087)
    • 교육 (73)
    • 교통 (141)
    • 공연·전시·축제 (191)
    • 국방 (45)
    • 날씨 (385)
    • 농축수산 (223)
    • 레저 (28)
    • 반려동물 (13)
    • 법률 (1)
    • 보건 (67)
    • 부동산 (589) N
    • 사진 (13)
    • 사회·정치 (394) N
    • 생활·문화 (443)
    • 세계 (4)
    • 스포츠 (16)
    • 안전 (90)
    • 여행 (454)
    • 영화 (9)
    • 외교 (6)
    • 요리 (2)
    • 육이·결혼 (4)
    • 의학 (41)
    • 인터넷 (22)
    • 정책 (13)
    • 자동차 (914) N
    • 자전거 (6)
    • 통신 (3)
    • 패션·뷰티 (9)
    • 항공 (14)
    • 화훼 (12)
    • 환경 (159) N
    • IT·과학 (501) N

검색 레이어

디엔피넷뉴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의학

  • 꿈의 암 치료법, ‘중입자 치료’ 효과 높일 연구결과 나와

    2023.03.20 by 디엔피넷

  • 다이서 작동 원리 알아내고 활성 상태 다이서 구조 첫 규명

    2023.02.25 by 디엔피넷

  • 약물 대사하는 효소 농도가 증가하면 기존 美FDA의 수식은 부정확

    2023.01.08 by 디엔피넷

  • 여성 암 환자의 경우, 오후에 받는 항암치료 더 효과적 가능성 제시

    2022.12.18 by 디엔피넷

  • IBS, 우뇌의 뇌파 동기화가 공포 공감 기능을 유도 확인

    2022.12.11 by 디엔피넷

  • IBS, ‘M1 대식세포’만 선택적으로 탐지하는 화합물 ‘CDr17’ 발견

    2022.10.22 by 디엔피넷

  • IBS, 유년기 자폐 약물 치료 통한 완치 가능성 동물실험 확인

    2022.09.24 by 디엔피넷

  • 모세혈관이나 신경계까지 3D 입체로 관찰, 초미세내시경 개발

    2022.09.04 by 디엔피넷

꿈의 암 치료법, ‘중입자 치료’ 효과 높일 연구결과 나와

꿈의 암 치료법이라 불리는 ‘중입자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단장 명경재) 케이이치 타카타 연구위원(Kei-ichi Takata, UN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UNIST 김하진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POLQ(DNA Polymerase theta) 단백질’이 암세포가 중입자 치료에 내성을 가지게 하는 원인물질임을 밝혔다. 이 단백질이 중입자 치료로 인한 암세포 DNA의 복합적 이중가닥 절단(Double-strand break, DSB) 손상을 복구하기 때문이다. 이는 세계 최초의 중입자 치료기인 일본 QST병원(국립방사선종합연구소)의 HIMAC(Heavy Ion Medical Accelerator in Chiba)을 활용해 ..

의학 2023. 3. 20. 06:11

다이서 작동 원리 알아내고 활성 상태 다이서 구조 첫 규명

▲ 인간 다이서에 의한 마이크로RNA 생성 모델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 김빛내리 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 연구팀은 마이크로RNA(이하 miRNA) 생성과 RNA 치료제에 중요한 ‘다이서(DICER) 단백질’의 핵심 작동 원리를 밝혀냈다. 뿐만 아니라, 노성훈 서울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지난 20여 년간 베일에 쌓여있던 다이서의 3차원 구조를 초저온전자현미경(cryo-EM) 기술을 활용해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암을 비롯한 질병들의 원인을 밝히고 RNA 치료제 개발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두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지 네이처(Nature, IF 69.5)에 2월 23일(한국시간) 동시 게재됨으로써 그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miRNA는 약 22개의 뉴클레오타이드(D..

의학 2023. 2. 25. 09:31

약물 대사하는 효소 농도가 증가하면 기존 美FDA의 수식은 부정확

여러 약물을 동시에 복용하면, 약물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약효가 달라질 수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의생명 수학 그룹 김재경 CI(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채정우‧김상겸 충남대약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사용을 권장하는 약물 상호작용 예측 수식이 부정확했던 원인을 규명하고, 정확도를 2배 이상 높인 새로운 수식을 제시했다. 체내 흡수된 약물은 간을 비롯한 여러 장기의 효소에 의해 대사되어 체내에서 사라진다. 두 가지 이상의 약을 함께 복용할 경우, 하나의 약이 다른 약의 대사를 변화시켜 체외 배설을 촉진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목표로 한 치료 효과를 내지 못하거나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약물 상호작용(DDI)’이라고 한다. ..

의학 2023. 1. 8. 12:20

여성 암 환자의 경우, 오후에 받는 항암치료 더 효과적 가능성 제시

여성 암 환자의 경우 오전보다 오후에 받는 항암치료가 더 효과적이라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수리 및 계산 과학 연구단 의생명 수학 그룹 김재경 CI(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고영일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광범위 B형 대세포 림프종을 앓고 있는 여성 환자를 오후에 치료할 시 예후가 더 좋아진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 광범위 B형 대세포 림프종(DLBCL‧Diffuse large B-cell lymphoma): 림프종은 림프조직 세포들이 악성 전환되어 생기는 혈액암의 한 종류다. 림프종은 호지킨 림프종과 비호지킨 림프종(악성 림프종)으로 나뉘는데, 광범위 B형 대세포 림프종은 비호지킨 림프종의 약 30~40% 정도로 제일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세포 증식..

의학 2022. 12. 18. 08:41

IBS, 우뇌의 뇌파 동기화가 공포 공감 기능을 유도 확인

공감(empathy)은 타인의 기쁨, 슬픔, 혹은 공포 같은 정서적인 상태를 공유하며 이해하는 능력이다. 공감 능력이 결핍되거나 비정상적으로 높을 경우 사회성과 정신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공감은 매우 복잡한 고등 인지 영역으로, 공감 능력을 형성하는 뇌 신경회로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으며, 뇌 영역 간의 기능적 연결이 어떤 기전을 통해 형성되는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진 바가 거의 없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신희섭 명예연구위원 연구팀은 생쥐 실험을 통해 우뇌의 뇌파 동기화가 공감 기능을 유도함을 밝혔다. 공감 능력 장애를 보이는 자폐, 사이코패스, 조현병 같은 정신 질환 치료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쥐는 공포를 느끼면 동작을 멈추는 행동을 뚜렷이 보..

의학 2022. 12. 11. 05:50

IBS, ‘M1 대식세포’만 선택적으로 탐지하는 화합물 ‘CDr17’ 발견

류마티스 관절염처럼 면역세포의 일종인 대식세포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자가 면역 질환을 정확하고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장영태 부연구단장(포항공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대식세포의 아류형인 M1 대식세포만 선택적으로 탐지하는 새로운 형광물질 ‘CDr17’을 개발했다. 대식세포는 선천적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로 외부 물질의 침입 혹은 이물질의 축적이 일어날 수 있는 곳에 분포한다. 바이러스 침입 등으로 면역계에 자극이 오면 비활성 대식세포(M0)는 M1과 M2라는 두 가지 유형으로 활성화된다. M1은 우리 몸에 침입한 외부 물질을 공격하는 한편, M2는 조직 재생을 담당하는 식으로 역할이 서로 다르다. 질병 진단 및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각 ..

의학 2022. 10. 22. 11:57

IBS, 유년기 자폐 약물 치료 통한 완치 가능성 동물실험 확인

유년기에 자폐를 조기 진단하고, 집중적인 약물 치료를 통해 자폐 증상을 평생 완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김은준 기초과학연구원(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장(KAIST 생명과학과 석좌교수) 연구팀은 자폐 조기 진단 및 유년기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2편의 논문을 연달아 발표했다. 자폐증(자폐 스펙트럼 장애)은 세계 인구의 약 2% 정도에서 발병하는 뇌 발달장애의 한 종류다. 사회적 상호작용 결여, 반복 행동 등이 대표 증상이지만 병인이나 치료법에 대해서는 아직 완벽히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자폐는 주로 유년기에 시작되지만 유년기에 뇌에서 생기는 변화가 성인 시기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지도 불분명했다. 김은준 단장 연구팀은 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단장 김성기) 및 배용철 경북대 교..

의학 2022. 9. 24. 10:10

모세혈관이나 신경계까지 3D 입체로 관찰, 초미세내시경 개발

모세혈관이나 신경계까지 3D 입체로 관찰할 수 있는 초미세내시경이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단장 조민행) 최원식 부연구단장(고려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과 고려대학교 바이오의공학과 최영운 부교수 공동연구팀은 주사바늘보다 가는 두께의 내시경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박테리아보다 작은 생체 구조의 입체이미지를 얻는데 성공했다. 내시경은 좁은 공간 안의 물체나 인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만들어진 영상장비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은 물체와 맞닿아서 신호를 받아들이는 데, 끝단(프로브)에 카메라를 부착해 직접 관찰하거나, 빛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광섬유로 이미지를 얻는다. 카메라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프로브의 두께가 두꺼워져 피부의 일부를 절개해서 삽입해야하는 경우..

의학 2022. 9. 4. 20:53

추가 정보

인기글

  1. -
    -
    해외 사기의심 사이트 피해 2022년 367건, 전년대비 4배 증가

    2023.03.13 08:38

  2. -
    -
    각종 금융거래 시, 여권 진위확인 서비스 시행

    2020.12.27 17:16

  3. -
    -
    건축물 신축 표준단가 ‘2022년도 건물신축단가표’ 발간

    2022.12.03 08:45

  4. -
    -
    갤럭시 S21 울트라 카메라와 DSLR 촬영 사진 비교

    2021.03.06 09:45

  5. -
    -
    소비자원, 아보카도 오일 품질 및 안전성 조사

    2022.12.31 16:26

최신글

  1. -
    -
    2023년 3월 셋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22%, 전세 0.36% 각각 하락

    부동산

  2. -
    -
    3월 23일 서해안 중심으로 황사 위기경보 ‘관심’ 단계 발령

    환경

  3. -
    -
    ‘슬램덩크’ 관련 굿즈 가짜상품 판매 해외쇼핑몰 주의

    사회·정치

  4. -
    -
    기아, 중국 시장 겨냥 ‘콘셉트 EV5’ 처음으로 선보여

    자동차

  5. -
    -
    SK텔레콤·행안부, PASS(패스)앱에 ‘국민비서’ 서비스 제공

    IT·과학

페이징

이전
1 2 3 4 ··· 6
다음
TISTORY
디엔피넷뉴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