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출

(134)
2021년 9월 자동차 내수 29.7% 감소 113,932대 판매 1. 자동차 2021년 9월 자동차산업은 전년 동월 대비 생산은 △33.0%, 내수는 △29.7%, 수출은 △20.7% 감소(수출액은 △6.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 국내 자동차산업은 차량용반도체 수급차질에도 지난 8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금액 기준)하는 등 호조세를 시현하였으나, 이번 달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차질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추석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4일) 영향이 겹치면서 생산 및 수출이 감소 (생산) 차량용 반도체 수급차질에 따른 일부 공장 휴업*과 추석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4일) 등으로 △33.1% 감소한 229,423대 * (현대) 울산4공장 1라인 9.13~14, 2라인 13~17, 아산공장 9.9~9.10, 9.15~17 / (기아) 광명공장 9.16~17 /..
2021년 7월 수출 29.6% 증가 554.4억달러, 수입 38.2% 증가 536.7억달러 2021년 7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29.6% 증가한 554.4억달러 * 수출 증감률(%):(2020.7)△7.1→(8)△10.3→(9)+7.1→(10)△3.9→(11)+3.9→(12)+12.4→(’21.1)+11.4→(2)+9.3→(3)+16.4→(4)+41.2→(5)+45.6→(6)+39.8→(7)+29.6 일평균 수출은 +32.2% 증가한 22.6억달러(조업일수는 전년 대비 △0.5일) * 일평균 수출 증감률(%):(2020.7)△7.1→(8)△4.2→(9)△4.5→(10)+5.2→(11)+6.1→(12)+7.7→(2021.1)+6.4→(2)+26.1→(3)+16.4→(4)+29.5→(5)+49.1→(6)+36.8→(7)+32.2 (수입) 7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38.2% 증가한 536.7억달..
2021년 5월 자동차 내수 10.1% 감소 151,699대 판매 1. 자동차 (총괄) 2021년 5월 자동차 생산은 10.9%, 수출은 57.5%(수출액 93.7%) 증가하였으나, 내수는 △10.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 車반도체 수급차질에도 불구, 수출이 크게 증가하여 생산 증가를 견인 내수는 전년 동월 개별소비세 인하 확대 시행에 따른 역기저 효과 등으로 △10.1% 감소하였으나, 일평균은 역대 5월 중 3위로 상대적 선방 * 일평균 현황: 1위 8,885대(20.5월) > 2위 8,314대(16.5월) > 3위 7,984대(21.5월) (생산) 차량용 반도체 수급차질에 따른 생산량 조정에도 불구, 수출 확대 등으로 10.9% 증가(256,272대), 2개월 연속 증가 * 휴업현황: (현대) 울산 3공장 5.17/18/20, 울산 4공장 5.6~7, 울산5공장..
2021년 5월 수출 45.6% 증가 507.3억달러, 수입 37.9% 증가 478.1억달러 2021년 5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45.6% 증가한 507.3억달러 * 수출 증감률(%):(2020.5)△23.7→(6)△10.9→(7)△7.1→(8)△10.3→(9)+7.1→(10)△3.9→(11)+3.9→(12)+12.4→(2021.1)+11.4→(2)+9.3→(3)+16.4→(4)+41.2→(5)+45.6 일평균 수출은 +49.0% 증가한 24.2억달러(조업일수는 전년 대비 △0.5일) * 일평균 수출 증감률(%):(2020.5)△18.4→(6)△18.5→(7)△7.1→(8)△4.2→(9)△4.5→(10)+5.2→(11)+6.1→(12)+7.7→(2021.1)+6.4→(2)+26.1→(3)+16.4→(4)+29.5→(5)+49.0 5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37.9% 증가한 478.1억달러 6개..
2021년 1분기 지역경제 소비자물가 1.1% 상승, 소매판매 6.3% 증가 1. 생산 (광공업생산) 전국은 반도체, 자동차·트레일러, 기계장비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4.5% 증가 부산(-7.1%), 경남(-4.2%), 강원(-3.9%)은 기계장비, 기타운송장비, 의약품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경기(11.2%), 충북(8.7%)은 반도체·전자부품, 화학제품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 (서비스업생산) 전국은 금융·보험업, 도소매업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2.2% 증가 제주(-6.4%), 인천(-4.9%), 강원(-1.0%)은 정보통신, 운수·창고, 숙박·음식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서울(6.3%), 대구(2.6%), 경기(1.8%)는 금융·보험업, 도소매업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 2. 소비·건설 (소매판매) 전국은 무점포소매, 승용차·연료소매점 등..
2021년 4월 자동차 전년동월비 내수 3.8% 감소 161,097대 판매 1. 자동차 (총괄) 2021년 4월 자동차 생산은 11.8%, 수출은 52.8%(수출액 73.4%) 증가하였으나, 내수는 △3.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 금년 4월은 전 세계적인 차량용 반도체 수급 애로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전년 동월 기저 효과를 뛰어 넘는 호조세를 시현하며 생산 증가를 견인 * 2021.1분기까지는 한국GM(2021.2월~)만이 생산차질을 겪었으나, 4월부터는 현대, 기아, 쌍용 등 여타 업체도 생산 차질 발생 내수는 소폭 감소하였으나, 역대 4월 중 2위 실적 기록 (생산) 차량용 반도체 공급 상황에 따른 업체별 조업 조정*에도 불구하고, 생산 차질 최소화 노력 및 수출 호조 등으로 11.8% 증가한 323,644대 * 공장 가동중단 현황:(현대) 울산 1공장 4.7~14 중단,..
현대자동차, 아프리카 콩고에 팰리세이드 500대 수출 현대자동차가 콩고민주공화국 정부 대상 대규모 차량 공급을 통해 아프리카 신 시장 개척에 나섰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5일(토) 평택항에서 콩고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이하 DR콩고)으로 수출되는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팰리세이드 500대 중 1차 선적 분 250대를 선적했다고 16일(일) 밝혔다. 팰리세이드 500대 공급은 현대자동차가 처음으로 중부 아프리카 국가의 정부와 맺은 대규모 계약으로, 연초 현대자동차의 DR콩고 수출 목표(100대)의 5배, 지난해 판매 실적(45대)의 10배를 넘는 규모다. 아프리카 지역은 아직 민간 주도의 자동차 시장이 성숙되지 못해 구매력을 갖춘 정부를 대상으로 한 판매가 주를 이루고 있는 만큼, 현대자동차는 이번 수..
2021년 4월 수출 41.1% 증가 511.9억달러, 수입 33.9% 증가 508.0억달러 2021년 4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41.1% 증가한 511.9억달러 * 수출 증감률(%):(2020.4)△25.6→(5)△23.7→(6)△10.9→(7)△7.1→(8)△10.3→(9)+7.1→(10)△3.9→(11)+3.9→(12)+12.4→(2021.1)+11.4→(2)+9.2→(3)+16.5→(4)+41.1 일평균 수출은 +29.4% 증가한 21.3억달러(전년 대비 조업일수는 +2일) * 일평균 수출 증감률(%):(2020.4)△18.9→(5)△18.4→(6)△18.5→(7)△7.1→(8)△4.2→(9)△4.5→(10)+5.2→(11)+6.1→(12)+7.7→(2021.1)+6.4→(2)+26.0→(3)+16.5→(4)+29.4 (수입) 4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33.9% 증가한 508.0억달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