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수출 6,445.4억달러(+25.8%), 수입은 6,150.5억달러(+31.5%)
1. 수출입 동향 □ 수출은 6,445.4억달러(+25.8%), 수입은 6,150.5억달러(+31.5%)로 무역액은 1조 2,596억달러로 사상 최대, 무역수지는 294.9억달러로 13년 연속 흑자 ➀수출액・무역액 역대 최대 실적, ➁최단기간 무역 1조 달러 달성, ➂3년 만에 수출 플러스 전환, ➃월간수출 600억달러대 최초 진입, ➄2015대 全품목’ + ‘9대 全지역’ 수출 모두 증가 등 금자탑을 세웠음 2. 수출입 주요 특징 2021년 연간 총 수출액은 6,445억달러(+25.8%)로 종전 최고치인 2018년 실적(6,049억달러)을 400억달러 가량 웃돌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6,445억달러를 원화로 환산시(약 737.7조원), 우리나라 2022년 예산 607.7조원을 상회 ’64년 첫..
2021년 11월까지 수출액 6400억달러, 66년 무역 새로운 한 획
1. 수출액 최고치 달성 산업통상자원부・관세청은 12월 13일 11시 36분 집계 결과, 올해 연간 수출액이 기존 수출 최대실적인 ’18년의 6,049억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대실적을 경신했다고 밝힘 * 역대 연간 수출규모(억달러) : (1위)6,400↑(’21년e), (2위)6,049(’18년), (3위)5,737(‘17년) ’64년 첫 수출 1억달러를 달성한 이후 ’77년(100억달러↑)․‘95년(1,000억달러↑)․’18년(6,000억달러↑)에 이어, ’21년에 연간 수출액 최고기록을 달성하며 1956년 이래 66년 무역 발자취에 새로운 한 획을 그었음 * 우리 무역의 발자취 : (‘56년)무역통계 작성→(‘64년)수출 1억달러→(’77년)수출 100억달러→(’86년)무역수지 최초 흑자전환→(’95..
2021년 3분기 지역경제 소비자물가 2.6% 상승, 소매판매 5.1% 증가
1. 생산 (광공업생산) 전국은 반도체·전자부품, 화학제품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5.0% 증가 대전(-9.9%), 광주(-8.7%), 울산(-2.2%)은 담배, 자동차·트레일러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세종(13.0%), 경기(12.4%), 충북(10.5%)은 반도체·전자부품, 의료정밀, 전기장비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 (서비스업생산) 전국은 금융·보험업, 도소매업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3.9% 증가 모든 지역에서 증가한 가운데, 인천(4.7%), 부산(4.4%), 서울(4.3%)은 운수·창고, 금융·보험 등의 생산이 늘어 전국 평균보다 더 크게 증가 2. 소비·건설 (소매판매) 전국은 전문소매점, 무점포소매 등의 판매가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5.1% 증가 울산(-2.9%)은 ..
수산물 수출 증가세 지속, 22억 4천만 달러 기록
해양수산부는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이 지속적으로 호조세를 보이면서 수산물 수출액이 10월 말 기준(누적)으로 전년 대비 20.5% 증가한 22억 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산물 수출은 올해 7월 이후 역대 최대였던 2019년의 성과를 넘어 매월 최고치를 갱신 중이다. 품목별로는 김‧참치 등 주력상품을 비롯하여 굴‧넙치까지 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국가별로도 일본을 제외한 중국‧미국은 물론 아세안‧유럽 등에서의 수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품목별 : 김(5억6천만불, 전년 대비 13.8%↑), 참치(5억불, 23.3%↑), 굴(7천4백불, 15.6%↑), 오징어(6천만불, 123.3%↑), 넙치(4천2백불, 30.3%↑) * 국가별 : 중국(5억4천만불, 48.1%↑), 일본(5억2천만불,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