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출

(134)
2021년 수출 6,445.4억달러(+25.8%), 수입은 6,150.5억달러(+31.5%) 1. 수출입 동향 □ 수출은 6,445.4억달러(+25.8%), 수입은 6,150.5억달러(+31.5%)로 무역액은 1조 2,596억달러로 사상 최대, 무역수지는 294.9억달러로 13년 연속 흑자 ➀수출액・무역액 역대 최대 실적, ➁최단기간 무역 1조 달러 달성, ➂3년 만에 수출 플러스 전환, ➃월간수출 600억달러대 최초 진입, ➄2015대 全품목’ + ‘9대 全지역’ 수출 모두 증가 등 금자탑을 세웠음 2. 수출입 주요 특징 󰊱 2021년 연간 총 수출액은 6,445억달러(+25.8%)로 종전 최고치인 2018년 실적(6,049억달러)을 400억달러 가량 웃돌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6,445억달러를 원화로 환산시(약 737.7조원), 우리나라 2022년 예산 607.7조원을 상회 ’64년 첫..
2021년 11월 자동차 내수 16.0% 감소 143,815대 판매 1. 자동차 (총괄) 2021년 11월 자동차산업은 전년 동월 대비 생산은 △6.6%, 내수는 △16.0%, 수출은 △4.7% 감소한 반면, 수출액은 3.3%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 수출액은 고부가차종 수출 대폭 확대로 3개월만 플러스로 반등, 친환경차 수출액은 월 최고치를 경신하며 누적 수출액 첫 100억불 돌파 차량용반도체 수급애로가 여전히 지속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전년동월대비 증가세를 시현하며 40억불을 상회한 바, 기저효과를 뛰어 넘는 호조세를 시현 * 수출액 추이(증감률, %) : (2019.11) 39.1억불(△1.4) → (2020.11) 39.9억불(+2.0) → (2021.11) 41.2억불(+3.3) (생산) 차량용 반도체 수급차질이 점차 완화됨에 따라 전월대비 14.9% 증가하..
2021년 11월까지 수출액 6400억달러, 66년 무역 새로운 한 획 1. 수출액 최고치 달성 산업통상자원부・관세청은 12월 13일 11시 36분 집계 결과, 올해 연간 수출액이 기존 수출 최대실적인 ’18년의 6,049억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대실적을 경신했다고 밝힘 * 역대 연간 수출규모(억달러) : (1위)6,400↑(’21년e), (2위)6,049(’18년), (3위)5,737(‘17년) ’64년 첫 수출 1억달러를 달성한 이후 ’77년(100억달러↑)․‘95년(1,000억달러↑)․’18년(6,000억달러↑)에 이어, ’21년에 연간 수출액 최고기록을 달성하며 1956년 이래 66년 무역 발자취에 새로운 한 획을 그었음 * 우리 무역의 발자취 : (‘56년)무역통계 작성→(‘64년)수출 1억달러→(’77년)수출 100억달러→(’86년)무역수지 최초 흑자전환→(’95..
2021년 11월 수출 32.1% 증가 604.4억달러, 수입 43.6% 증가 573.6억달러 1. 2021년 수출입 개요 (수 출) 11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32.1% 증가한 604.4억달러 * 11월의 조업일수는 총 24.0일로, 전년(’20.11월) 대비 +1.0일, 전월(‘21.10월) 대비 +3.0일 일평균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26.6% 증가한 25.2억달러 (수 입) 11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43.6% 증가한 573.6억달러 12개월 연속 증가한 가운데, 최근 내수회복과 수출경기 호조 등으로 1차 산품·중간재 위주의 수입이 증가(10개월 연속으로 두 자릿수 증가) * 가공단계별 수입 증감률(%) : (1차산품) +88.0, (중간재) +45.9. (자본재) +20.9, (소비재) +14.0 (무역수지) 11월 무역수지는 30.9억달러 흑자 (19개월 연속 흑자) (품 목) 15..
농수산식품 수출 2021년 11월 25일 기준 101.3억불, 16.1% 증가 농수산식품 수출액이 2021년 11월 25일 기준으로 역대 최초로 100억불을 돌파했다. 이는 수출통계를 관리하기 시작한 1971년 이래 50년 만에 이뤄낸 성과이다. * ‘21.11.25. 누적 수출액 101.3억불(농식품 76.3, 수산식품 25.0),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6.1%↑ 1990년대 본격적인 수출 이후 2008년 한식 세계화 추진 등으로 한국 음식과 식문화를 전세계에 확산해 왔으며, 2017년부터는 신시장(신남방‧신북방 등)을 집중 개척하는 등 수출진흥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 결과, 그동안 농수산식품 수출은 전 세계 200개국으로 수출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으로 국가 전체 수출이 위기에 직면했던 2020년에도 농수산식품 수출이 역대 최고 수출실적(98...
2021년 3분기 지역경제 소비자물가 2.6% 상승, 소매판매 5.1% 증가 1. 생산 (광공업생산) 전국은 반도체·전자부품, 화학제품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5.0% 증가 대전(-9.9%), 광주(-8.7%), 울산(-2.2%)은 담배, 자동차·트레일러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세종(13.0%), 경기(12.4%), 충북(10.5%)은 반도체·전자부품, 의료정밀, 전기장비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 (서비스업생산) 전국은 금융·보험업, 도소매업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3.9% 증가 모든 지역에서 증가한 가운데, 인천(4.7%), 부산(4.4%), 서울(4.3%)은 운수·창고, 금융·보험 등의 생산이 늘어 전국 평균보다 더 크게 증가 2. 소비·건설 (소매판매) 전국은 전문소매점, 무점포소매 등의 판매가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5.1% 증가 울산(-2.9%)은 ..
수산물 수출 증가세 지속, 22억 4천만 달러 기록 해양수산부는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이 지속적으로 호조세를 보이면서 수산물 수출액이 10월 말 기준(누적)으로 전년 대비 20.5% 증가한 22억 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산물 수출은 올해 7월 이후 역대 최대였던 2019년의 성과를 넘어 매월 최고치를 갱신 중이다. 품목별로는 김‧참치 등 주력상품을 비롯하여 굴‧넙치까지 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국가별로도 일본을 제외한 중국‧미국은 물론 아세안‧유럽 등에서의 수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품목별 : 김(5억6천만불, 전년 대비 13.8%↑), 참치(5억불, 23.3%↑), 굴(7천4백불, 15.6%↑), 오징어(6천만불, 123.3%↑), 넙치(4천2백불, 30.3%↑) * 국가별 : 중국(5억4천만불, 48.1%↑), 일본(5억2천만불, 1..
2021년 10월 수출 24.0% 증가 556억달러, 수입 37.8% 증가 539억달러 2021년10월 수출 556억 달러, 수입 539억 달러, 무역수지 17억 달러 흑자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4.0%(107.3억 달러↑) 증가, 수입 37.8%(147.7억 달러↑) 증가(무역수지 18개월 연속 흑자) ※ 조업일수[(2020)21일,(2021)21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0.10.)21.3,(2021.10.)26.5억 달러] 24.0% 증가 출처 : 관세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