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출

(134)
국가물산업클러스터 기업, 수출 79억원 상반기대비 1.7배 증가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국가물산업클러스터(대구 달성군 소재) 입주기업이 코로나로 인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올해 하반기에는 상반기에 비해 총 매출액 1.2배, 수출액 1.7배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 2019년 9월 개소 이후 2020년 상반기까지 국가물산업클러스터에 입주한 47개 기업 중 응답한 32개 기업 대상 조사 결과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 32개사의 2020년 총 매출액은 982억 원으로 상반기 442억 원에서 하반기에는 540억 원으로 1.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총 수출액은 79억 원이며, 하반기는 50억 5천만 원으로 상반기 29억 4천만 원 대비 1.7배 증가했다. 또한, 입주기업 32개사에서 올해 76명의 물산업 전문인력을 신규로 고용하는 등 코로나로 인..
2020년 11월 수출 전년동기비 4.1% 증가한 399억 달러 2020년 11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4.1% 증가한 458억 달러, 수입은 1.9% 감소한 399억 달러로, 무역흑자 59억 달러를 기록하여 7개월 연속 흑자 1. 수출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반도체(16.4.%)․승용차(2.5%)․무선통신기기(37.5%)․자동차 부품(7.0%)․선박(32.0%) 등은 증가, 석유제품(△49.1%)․가전제품(△7.9%) 등은 감소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중국(1.2%), 미국(6.8%), EU(24.6%), 베트남(11.2%) 등 증가, 일본(△12.1%), 중동(△20.7%) 등 감소 2. 수입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기계류(2.7%)․승용차(73.8%)는 증가, 원유(△51.1%)․의류(△6.9%)는 감소 (소비재..
2020년 11월 자동차산업 전년동월비 내수 5.8% 증가 171,228대 판매 2020년 11월 국내 자동차산업은 전년동월 대비 생산 △6.3%, 내수 +5.8%, 수출 △10.2% (수출액 +2.1%)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 (생산) 내수 회복세는 지속되었으나, 한국GM 및 기아차의 노사갈등 및 르노삼성의 수출물량 감소(닛산로그 등)에 따른 생산량 조정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6.3% 감소한 324,472대 생산 * 한국GM 및 기아차의 생산감소는 11월 전체 생산감소(△21,725대)의 92.7% 차지 / 기아차 △4,505대(20.7%), 한국GM △15,631대(71.9%) (내수) 신차효과 지속과 일몰을 앞둔 개소세 감면효과(~2020.12월)에 따른 先수요 발생 및 국산차 판매호조 등으로 5.8% 증가한 171,228대 판매 * 신차판매 : 카니발 9,823대, 아반떼 ..
2020년 11월 수출 4.0% 증가 458.1억달러, 수입 2.1% 감소 398.8억달러 1. 11월 수출입 개요 (수출) 11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4.0% 증가한 458.1억달러 * 수출 증감률(%):(2019.11)△14.5→(12)△5.3→(2020.1)△6.6→(2)+3.6→(3)△1.7→(4)△25.6→(5)△23.8→(6)△10.9→(7)△7.1→(8)△10.3→(9)+7.3→(10)△3.8→(11)+4.0 조업일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6.3% 증가한 19.9억달러(조업일수는 전년대비 △0.5일 부족) * 일평균 수출 증감률(%):(2019.11)△12.6→(12)△7.3→(2020.1)+4.2→(2)△12.5→(3)△7.8→(4)△18.8→(5)△18.4→(6)△18.5→(7)△7.1→(8)△4.2→(9)△4.4→(10)+5.4→(11)+6.3 (수입) 11월 수입은..
2020년 3분기 지역경제 소비자물가 0.6% 상승, 소매판매 1.8% 증가 1. 생산 (광공업생산) 전국은 반도체, 기타기계장비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0.9% 증가 서울(-14.5%), 대구(-10.4%), 경남(-6.6%)은 의복, 금속가공제품, 기타운송장비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광주(11.9%), 경기(10.2%), 인천(5.6%)은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 (서비스업생산) 전국은 운수·창고, 숙박·음식점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1.7% 감소 서울(2.2%)은 금융·보험업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하였으나, 인천(-11.6%), 제주(-8.7%), 강원(-5.6%)은 운수·창고, 도소매, 예술·스포츠·여가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 2. 소비·건설 (소매판매) 전국은 무점포 소매, 승용차·연료소매점 등의 판매가 늘어 전년동분기대..
2020년 10월 자동차 전년동월대비 내수 1.7% 증가 160,151대 판매 2020년 10월 국내 자동차산업은 전년동월 대비 생산 △4.3%, 내수 +1.7%, 수출 △3.2% (수출액 +5.8%)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 (생산) 내수 회복세는 지속되었지만 한국GM 노사갈등 및 추석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2일)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4.3% 감소한 336,279대 생산, 다만 일평균 생산은 증가 (2019.10월 일평균 16,734대 → 2020.10월 17,699대, 5.8%↑) * 한국GM은 내수판매 및 수출은 증가하였으나, 특근과 잔업 미실시 및 부분파업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약 7천대 생산 감소 / 10월 완성차 전체 생산감소의 45.7% 차지 (내수) 추석연휴에 따른 영업일수 감소(△2일)에도 불구, 신차효과 및 국산차 판매증가 등으로 1.7% 증가한 160,1..
2020년 10월 수출 3.6% 증가 449.8억달러, 수입 5.8% 감소 390.0억달러 1. 10월 수출입 개요 (수출) 10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3.6% 증가한 449.8억달러 * 수출 증감률(%):(2019.10)△15.0→(11)△14.5→(12)△5.3→(2020.1)△6.6→(2)+3.6→(3)△1.7→(4)△25.6→(5)△23.8→(6)△10.9→(7)△7.1→(8)△10.2→(9)+7.6→(10)△3.6 조업일수가 △2.0일 부족해 총 수출은 감소했으나, 조업일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5.6% 증가한 21.4억달러를 기록 * 일평균 수출 증감률(%):(2019.10)△15.0→(11)△12.6→(12)△7.3→(2020.1)+4.2→(2)△12.5→(3)△7.8→(4)△18.8→(5)△18.4→(6)△18.5→(7)△7.1→(8)△4.1→(9)△4.1→(10)+5...
중소벤처기업부, ‘2020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발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10월 20일(화), 2020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과 함께 코로나19 이후 상대적으로 선전하고 있는 중소기업 수출의 특징을 별도 분석한 ‘최근 중소기업 수출 동향 및 코로나19 영향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2020년 3분기 기준 중소기업 수출은 25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0% 증가했다. 미·중을 비롯해 상위 5개국 대부분의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되고 화장품, 기타정밀화학제품 등 상위 20개 품목 중 13개 품목이 증가세를 보이며 2분기 13.6% 급감한 수출이 빠르게 회복됐다. 특히, 9월 수출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19.6% 증가하면서 조업일수 효과를 제외하더라도 일평균 6.6% 증가로 올해 최고 실적을 기록하며 3분기 플러스 수출을 견인했다. 코로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