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출

(134)
2020년 5월 수출 23.7% 감소 348.6억달러, 수입 21.1% 감소 344.2억달러 1. 5월 수출입 개요 (수출) 5월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23.7% 감소한 348.6억달러로 전월 감소폭(△25.1%)보다 소폭 개선 * 수출 증감률(%):(2019.5)△9.8→(6)△13.8→(7)△11.1→(8)△14.0→(9)△11.9→(10)△15.0→(11)△14.5→(12)△5.3→(2020.1)△6.6→(2)+3.6→(3)△1.4→(4)△25.1→(5)△23.7 5월 수출은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세계 경기 위축과 글로벌 수요 급감 및 전년동기대비 △1.5일 조업일수 부족한 영향 등으로 감소 (수입) 5월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21.1% 감소한 344.2억달러 원유(△68.4%)·석탄(△36.1%)·가스(△9.1%) 등 에너지 수입의 감소가 5월 전체 수입하락을 주도 하였으나, 반도체제조..
2020년 4월 수출입 물동량, 1억 345만톤 전년 동월 대비 11.6% 감소 해양수산부는 2020년 4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 2,184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3,376만톤) 대비 8.9% 감소(2020년 1~4월 누적 4.1%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수출입 물동량은 코로나 19로 인한 봉쇄조치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1억 1,699만톤) 대비 11.6% 감소한 총 1억 345만톤으로 집계되었다. * 2020년 1~4월 누적 6.3% 감소 2020.4월은 2월(1.7%↓)과 3월(4.8%↓)에 비해 전년 동월 대비 감소폭이 확대되어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안 물동량은 총 1,839만톤으로 전년 동월(1,677만톤) 대비 9.6% 증가하였다. 인천 지역 모래 채취허가 재개(2019.10)에 따라 모래 물동량이 259만톤(연..
2020년 1분기 지역경제 소비자물가 1.2% 상승, 소매판매 2.9% 감소 (광공업생산) 전국은 전자부품, 기계장비 등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4.9% 증가 서울(-13.2%), 제주(-12.3%), 울산(-6.5%)은 의복·모피, 음료, 자동차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한 반면, 경기(22.9%), 전남(1.6%)은 반도체, 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증가 (서비스업생산) 전국은 숙박·음식, 운수·창고, 도소매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1.1% 감소 서울(2.3%)은 금융보험, 부동산업의 생산이 늘어 증가하였으며, 제주(-10.3%), 대구(-4.4%), 경북(-4.3%) 등은 정보통신, 숙박·음식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 (소매판매) 전국은 전문소매점, 면세점, 백화점 등이 부진하여 전년동분기대비 2.9% 감소 전남(3.9%)은 슈퍼·잡화·편의점,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등이 늘..
신선농산물 비규격품 수출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식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 농가들이 농산물 비규격품(일명 ’못난이‘)을 안정적으로 출하할 수 있는 수요처가 확보되어 농가 소득향상 등이 기대된다. * 비규격품 : 농산물의 품목 또는 품종별 특성에 따라 고르기, 형태, 색깔, 신선도, 건조도, 결점, 숙도 및 선별상태 등 품질 구분의 기준을 미달하는 제품 그동안 수출 농가들은 비규격품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없어서 자체 폐기하거나 부정기적으로 헐값에 판매하여왔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2020년 5월 15일 농산물 비규격품을 원료로 한 가공식품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4개 품목 생산자 대표 수출회사(코파(KOPA, 파프리카), 케이베리(K-berry, 딸기), 케이그레이프(K-grape, 포도), 케이머쉬(K-..
‘K-워크스루’ 브랜드 달고 태국, 러시아 등 9개국 300대 이상 수출 특허청은 지난 4월 중순 ‘K-워크스루’ 브랜드화 등 범정부 차원의 지원을 시작한 이후, 한국형 워크스루 장비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수출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범정부 지원 이후 한국형 워크스루 장비는 ‘K-워크스루’ 브랜드를 달고 태국, 러시아 등 9개국에 300대 이상(예정 포함) 수출되고 있다. ㈜ 고려기연은 6개국에 42대의 장비가 수출하여 총 31만불의 수출을 창출했고, 양지병원은 해외 각지의 요청에 따라 현지에서 장비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워크스루 기술 노하우를 6개국 9개 기관에 전수했다. * (주) 고려기연 : 태국 31대, 일본 3대, 말레이시아·필리핀·카타르에 각각 2대 수출, 이탈리아 적십자사의 요청으로 2대 기부 * 양지병원 : 미국 매사추세츠 병원, 일본 T..
2020년 4월 자동차산업 전년동월대비 내수 8.0% 증가 167,375대 판매 (총괄) 2020년 4월 국내 자동차산업은 코로나19 영향 지속 등 대내외 환경악화에 따른 글로벌 수요 위축으로 생산(22.2%)과 수출(44.3%)은 전년동월 대비 감소했으나, 자동차 내수 진작 정책 등으로 내수는 증가(8.0%)한 것으로 잠정 집계 (생산) 조업일수 감소(△2일), 해외 판매수요 위축에 따른 생산량 조정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22.2% 감소한 289,515대 생산(일평균 생산은 14.4% 감소) (내수) 개별소비세 인하(3~6월), 신차효과, 업계별 프로모션 및 마케팅 강화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8.0% 증가한 167,375대 판매 (국산차) 최근 다양한 신차출시에 따른 판매호조, 업계별 특별할인 및 할부혜택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6.4% 증가한 144,230대 판매 * 주요신차 판매..
2020년 4월 전년 전월 대비 수출 24.3% 감소 369.2억달러, 수입 15.9% 감소 378.7억달러 1. 4월 수출입 동향 개요 (실적) 4월 수출은 △24.3% 감소한 369.2억달러, 수입은 △15.9% 감소한 378.7억달러, 무역수지는 9.5억달러 적자 * 수출 증감률(%):(2019.4)△2.1→(5)△9.8→(6)△13.8→(7)△11.1→(8)△14.0→(9)△11.9→(10)△15.0→(11)△14.5→(12)△5.3→(2020.1)△6.6→(2)+3.8→(3)△0.7→(4)△24.3 (평가) 4월 수출은 코로나19 본격화에 따른 美·EU 등 주요 시장의 수입수요 급감, 中 경기회복 지연, 유가 급락 등이 더해져 큰 폭 감소 코로나19 사태는 ①금융위기(2008∼2009년)+②바이러스 위기(사스:2003년, 신종플루:2009년, 메르스:2015년)+③저유가 위기(2015∼2016년)를 모..
올해 1분기 수출입 물동량 총 3억 3,273만톤 전년 동기 대비 4.5% 감소 해양수산부는 2020년 1/4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은 총 3억 8,892만 톤으로 전년 동기(3억9,899만톤) 대비 2.5%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수출입 물동량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글로벌 교역이 위축됨에 따라 총 3억 3,273만톤으로 전년 동기(3억 4,824만톤) 대비 4.5% 감소하였다. 2월과 3월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 4.8%로 감소폭이 확대되어 코로나19 영향이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안 물동량은 총 5,619만톤으로 전년 동기(5,075만톤) 대비 10.7% 증가하였다. 이는, 인천지역 모래 채취허가 재개(2019.10)에 따라 모래 물동량이 524만톤(연안 물동량의 9.3%)으로 전년 동기(83만톤) 대비 530%로 크게 증가한 것이 주 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