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수출

(134)
경기도,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 기업인과 간담회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판로행사 취소나 계약파기, 수출대금 미회수, 긴급 운영자금 부족 등으로 많은 수출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효과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현장 목소리 청취에 나섰다. 경기도는 24일 안양 소재 R사 회의실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 기업인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김규식 경기도 경제기획관, 이대표 경기도수출기업협회장, 코로나19 피해 수출 중소기업 대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신보, 경기FTA활용지원센터 관계자 등 1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긴급 자금지원부터 부품 국산화에 이르기까지 단기적 처방과 중장기적 대안을 함께 강구해야 한다는데 목소리를 같이했다. 코로나19 진단키트 제조사 P사 대표는 “최근 국산 진단키..
2020년 1/4분기 FTA 발효국과 전년 대비 수출 963억불 1.2% 감소 1. FTA 교역 총괄 2020년 1/4분기 FTA 발효국과의 교역액은 수출 963억불(전년대비1.2%↓), 수입 799억불(전년대비1.3%↑)로 전년동기 대비 0.1% 감소한 전체 1,762억불을 기록했다. 코로나19가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으로 번져 교역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전체 교역액은 지난 동기대비 1.2% 줄었으나, FTA 비발효국과의 무역수지가 76억불 적자인 것과 대조적으로 발효국과의 무역수지는 164억불 흑자를 기록하여 여전히 FTA 발효국과의 교역이 우리나라 무역수지 흑자 유지에 큰 힘이 되고 있다. 2. 협정별 활용률 FTA 활용률은 수출 75.2%, 수입 72.7%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0.5%p, 0.4%p 상승하는 등 FTA 활용이 수출과 수입에서 소폭 증가세를 보였다. 협정..
경기도, 섬유기업 생산 항균 마스크 세계 각국에 마스크 수출 추진 경기도가 ‘코로나19’ 확산으로 항균기능을 갖춘 ‘생활용 일반 마스크’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도내 섬유기업들을 대상으로 해외 판로개척을 도모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최근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으로 수출계약이 연기·파기되며 섬유산업 등 많은 기업들이 타격을 입은 만큼, 이들을 지원해 코로나19 예방과 판로개척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데 목적을 뒀다. 이번 ‘생활용 일반 마스크’는 마스크 수요 충족을 위해 원사, 편직, 염색, 봉제 등 도내 섬유기업들이 워킹그룹을 결성해 생산중인 제품들로, 항균섬유원사로 제작돼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는 워킹그룹 참여 섬유기업들의 국내외 판로개척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일환으로 도내 시군·공공기관·소상공인·기업체 등을 ..
중소벤처기업부, ‘2020년도 1분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발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4월 16일(목) 2020년도 1분기 중소기업 수출동향을 발표했다. 1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2.0% 증가한 242억달러 기록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 사태 등 어려운 여건 하에서도 ①주요시장 ②주력품목 수출 호조, ③조업일수 확대 및 기저효과 등의 영향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우선, 국가별로 보면 총수출의 56.9%를 차지하는 상위 5개국 시장의 수출이 0.02% 소폭 증가하였다. 주요국의 수출 동향을 보면 중국(△4.8%), 일본(△1.6%), 홍콩(△5.5%) 등의 수출은 감소하였으나 미국(8.0%), 베트남(4.9%), 대만(20.8%), 러시아(4.0%) 등의 국가에 대한 수출이 증가하였다. 1분기까지는 코로나19에 따른 부정적 영향보다는 국가별 수출..
2020년 3월 자동차산업 전년동월대비 내수 10.1%, 수출 1.3% 각각 증가 2020년 3월 국내 자동차산업은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대내외 환경악화에도 불구하고, 개별소비세 인하정책 및 신차효과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생산(6.8%), 내수(10.1%), 수출(1.3%) 모두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 (생산) 최근 모델(GV80, XM3 등) 판매호조와 신차효과(G80, 아반떼 등), 조업일수 증가(+2일)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6.8% 증가한 369,165대 생산 (내수) 개별소비세 인하효과 및 일부업체의 특별할인 프로모션,영업일 증가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10.1% 증가한 172,956대 판매 (국산차) 트레일블레이저와 XM3* 본격 판매, 기존 모델(그랜저, K7 등)**의 판매호조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9.3% 증가한 149,912대 판매 * 트레일블레이저 : (2020...
2019년 수출액 5,412억불 전년대비 10.3% 감소 1. 기업특성별 무역통계(TEC) 수출입 현황 2019년 수출기업은 97.4천개로 전년대비 1.2% 증가하였고, 수출액은 5,412억불로 전년대비 10.3% 감소 *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 0.8천개(-0.1%), 중견기업 2.0천개(3.9%), 중소기업 94.6천개(1.2%) 2019년 수입기업은 192.7천개로 전년대비 4.2% 증가하였고, 수입액은 4,955억불로 전년대비 6.4% 감소 *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 1.1천개(1.0%), 중견기업 2.5천개(4.1%), 중소기업 189.1천개(4.2%) 2. 기업규모별 무역 수출은 대·중견·중소기업 모두 감소한 가운데 특히 대기업 중심으로 감소, 수입은 대·중소기업 감소, 중견기업 전년 동일 수준 (수출) 2019년 대기업은 자동차 등 소비재(4.1%)는..
2020년 2월 자동차산업 전년동월대비 내수 18.8%, 수출 25.0% 각각 감소 2020년 2월 국내 자동차산업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중국산 부품조달 차질,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생산(△26.4%), 내수(△18.8%), 수출(△25.0%)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 (생산) 일부 중국산부품 재고 부족, 코로나 19 확진자 발생에 따른 일시 공장가동 중단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26.4% 감소한 189,235대 생산 * 조업감소 : (현대) △10.6일, (기아) △8.9일, (지엠) △2일, (쌍용) △8.5일, (르노) △4일 *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생산감소는 약 13만대로 추산(전년동월 대비 감소분 6.8만대 이상 차지) (내수) 코로나 19로 인한 자동차 부품 공급차질 및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전년동월 대비 18.8% 감소한 97,897대 판매 * ..
2020년 2월 전년 전월 대비 수출 4.5% 증가 412.6억달러, 수입 1.4% 증가 371.5억달러 1. 2월 수출입 동향 개요 (실적) 2월 전체 수출은 4.5% 증가한 412.6억달러, 수입은 1.4% 증가한 371.5억달러, 무역수지는 41.2억달러로 97개월 연속 흑자 * 수출 증감률(%):(2019.2)△11.3→(3)△8.4→(4)△2.1→(5)△9.8→(6)△13.8→(7)△11.1→(8)△14.0→(9)△11.9→(10)△15.0→(11)△14.5→(12)△5.3→(2020.1)△6.3→(2)+4.5 (평가) 코로나19 확산에도 불구, 2월 수출은 15개월만에 플러스 전환 2019.10월 수출 저점 이후 감소세가 지속 개선 추세를 보인 가운데, 2월 수출은 +4.5% 증가하며 15개월만에 반등 다만, 코로나19 영향이 장기화될 경우, 세계 경기 둔화에 따른 교역 부진 및 중국發 수요 둔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