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반도체

(54)
2022년 2분기 승용차 수출 114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5.8% 증가 2022년 2분기 승용차 수출액은 114억 달러(전년동기대비 +5.8%)로 증가, 수입액은 34억 달러로(△15.0%) 감소 수출대수는 55만 대로(전년동기대비 +3.2%) 증가, 수입대수는 8만 대로(△8.3%) 감소 1. 수출 주요 수출 대상국(금액기준)은 미국, 호주, 캐나다, 영국 순으로 미국(+13.3%)·호주(+41.2%)·캐나다(+7.3%)·영국(+1.9%)·프랑스(+17.5%)·사우디아라비아(+115.8%)·스페인(+27.4%) 등은 전년동기대비 증가 독일(△24.6%)·베트남(△6.3%)·이탈리아(△30.8%) 등 전년동기대비 감소 친환경 승용차 수출액은 37억 달러(전년동기대비 +36.9%)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 코로나19, 차량 반도체 수급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어려운 여..
27개 원자로 구성된 가장 작은 반도체 나노클러스터 결정 구조 규명 기초과학연구원(IBS) 현택환 나노입자 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 연구팀은 27개의 원자로 구성된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 구조를 규명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광촉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연구 결과이다. QLED TV에 들어가는 반도체 나노입자인 양자점은 크기·모양에 따라 광학적, 전기적 특성이 달라진다. 최근 나노과학 분야에서는 반도체 나노입자를 원하는 크기, 모양, 조성으로 합성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가장 정밀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원자적 수준에서 균일한 나노입자를 합성하기 힘들었다. 반도체 나노입자는 반도체 나노클러스터라는 핵으로부터 시작해 안정된 성장을 거쳐 만들어진다. ‘나노클러스터’란 여러 원자가 뭉쳐 원자 1개와 유사한 성질을 보이는..
IBS, 고신축성 반도체 양자점 복합소재 기반의 포토트랜지스터 어레이 기술 개발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손동희 객원연구원(성균관대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조교수), 김대형 부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현택환 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석좌교수) 공동연구팀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해도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정밀하게 감지 가능한 신축성 나노소자를 개발했다. 인공망막 구현, 신축성 광전자 소자 개발 등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인공망막: 인간의 망막 기능과 형태를 모사한 기기로, 외부에서 들어온 빛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뇌에 전달함. 구 형태인 사람의 눈은 곡률변화에도 다양한 파장대의 빛을 어떠한 시력 저하 없이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지만 전자소자는 형태가 변화하면 빛 감지 능력이 떨어진다. 연구진은 인체 눈의 기능성을 모사하기 위해, 양자점 , 유기 반도체성 ..
반도체 특성 띤 새로운 2차원 탄소 동소체 ‘홀리그래파인’ 개발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단장 이영희) 이효영 부연구단장(성균관대학교 교수) 연구팀은 반도체 특성을 띠는 새로운 2차원 탄소 동소체인 ‘홀리그래파인’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반도체 구현이 어려운 그래핀의 단점을 보완하는 물질을 합성함으로써 광전자공학, 촉매,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탄소 동소체와 그래핀, 현대 나노물질 과학의 핵심대표적인 탄소 동소체는 다이아몬드와 흑연이다. 그래핀, 풀러렌, 탄소 나노튜브 등 현대에 발견된 다양한 탄소 동소체는 나노물질 과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그래핀의 전자 이동 속도는 실리콘의 140배에 이르고 강도는 강철의 200배에 달하여 꿈의 소재로 각광을 받았다. 하지만 그래핀은 밴드갭이 없어 반도체로 사용하기에 ..
2022년 1분기 승용차 수출 109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0.6% 감소 2022년 1분기 승용차 수출액은 109억 달러, 수입액은 3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액은 0.6% 감소, 수입액은 4.6% 증가 수출대수는 52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8.3% 감소, 수입대수는 7만 대로 3.1% 감소 1. 수출 주요 수출 대상국(금액기준)은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순으로 호주(18.2%)·영국(45.7%)·프랑스(15.8%)·이스라엘(80.4%)·사우디(29.9%) 등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 미국(△1.5%)·캐나다(△17.2%)·독일(△18.0%)·러시아(△37.7%)·스페인(△16.1%) 등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 1분기 승용차 수출 감소에도, 친환경 승용차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8.3% 증가한 36억 달러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 * (2020.4Q..
‘인공지능(AI) 반도체’, 산업경쟁력 심층 분석 연구 결과 발표 특허청은 경제추격연구소과 함께 특허정보를 활용해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산업경쟁력을 심층 분석한 연구 결과를 3월 22일(화)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디지털 뉴딜의 필수 산업인 인공지능 반도체에 대해 기존과 달리, 기술 발전 단계(1~3세대*)별로 전 세계 특허를 분류한 후 각각에 대해 심층적인 특허 분석을 수행하였다. *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은 ①중앙처리장치(CPU)ㆍ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활용한 1세대에서 시작하여, ②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어레이(FPGA) 및 주문형반도체(ASIC)칩을 활용하는 2세대를 거쳐, ③뉴로모픽 칩을 활용하는 3세대로 진화 중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 반도체 특허신청은 최근(’16 → ’19) 3배 이상 폭증했는데, 이러한 증가세는 ’16년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국 이..
2022년 2월 ICT 수출 188.8억불, 수입 113.9억불, 수지 74.9억불 흑자 2022년 2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은 188.8억불로 전년 동월 대비 23.7% 증가(21개월 연속 증가), 역대 2월 중 최고 수출 실적 달성 * 역대 2월 수출 순위(억불) : (1위)188.8(‘22), (2위)156.8(’18), (3위)152.6(‘21) 일평균 수출(9.4억불, 20.0일)은 전년 동월(7.8억불, 19.5일) 대비 20.6% 증가, 역대 2월 일평균 수출액 중 1위 기록 * (1위)(’22) 9.4억불(20.0일), (2위)(’18) 8.0억불(19.5일), (3위)(’21) 7.8억불(19.5일) (품목별) 주요 3대 품목은 증가하였으나, 휴대폰은 감소 (국가별) 주요 5개국으로의 수출 모두 증가(10개월 연속 증가) (수입) 정보통신기술(ICT) 수입액(113.9억..
삼성 14나노 기반 LPDDR5X D램, 동작 속도 7.5Gbps 검증 삼성전자가 지난해 11월 업계 최초로 개발한 14나노 기반 LPDDR5X D램을 퀄컴 최신 모바일 플랫폼에서 성능 검증을 마치고 차세대 저전력 D램 시장 선도에 나섰다. *LPDDR5X : Low Power Double Data Rate 5X 삼성전자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모바일 플랫폼에 LPDDR5X D램 8GB 패키지를 탑재해 업계 최고 동작 속도인 7.5Gbps를 검증했다. *Gbps : Gigabit per second (1초당 전송 되는 기가비트 단위의 데이터) 삼성전자 LPDDR5X D램은 이전 세대 제품인 LPDDR5 대비 약 1.2배 빨라져, 한층 향상된 초고해상도 영상 촬영과 인공지능(AI)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삼성전자 LPDDR5X D램은 혁신적인 회로 설계와 저전력 동적 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