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반도체

(54)
2023년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170.6억불, 전년 동월 대비 4.5% 감소 메모리 반도체 수출, 16개월 만에 증가 전환 디스플레이 수출, 9개월 만에 증가 중국향 반도체 수출, 16개월 만에 증가 전환 베트남향 디스플레이 수출, 3개월 연속 증가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액은 170.6억불, 수입액은 126.1억불, 무역수지는 44.4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10월 ICT 수출은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메모리 반도체가 단가 상승으로 인해 16개월 만에 증가 전환(45.1억불, 1.0%↑)하여 전체 반도체 수출 감소폭 축소를 견인, 올해 4월 저점을 기록한 이후 개선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품목별로 디스플레이(22.9억불, 13.1%↑)는 모바일향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출 확대가 전체 디스플레이 수출 증가를 견인하며 3개월..
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적층 소자에서 ‘다크 엑시톤’ 최초 감지 전자 대신 준입자 ‘엑시톤’을 활용하는 차세대 반도체가 나올 전망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이영희 연구단장(성균관대 HCR 석좌교수) 연구팀은 윤석준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 팰로우, 독일 필립스-마르버그 대학 에르민 말릭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반도체 소재를 적층한 소자에서 ‘다크 엑시톤(어두운 엑시톤)’을 최초로 감지했다. * 준입자 : 입자가 아니지만, 입자처럼 행동하는 객체를 말한다. 반도체 소재는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두 개의 밴드를 갖는데 전자가 차 있는 아래쪽 밴드를 ‘가전자대’, 전자가 비어있는 위쪽 밴드를 ‘전도대’라 부른다. 외부 에너지를 받게 되면 가전자대에 있는 전자는 전도대로 들뜨게 되고, 전자가 사라진 빈자리를 정공이라 한다. 정공은 전..
2023년 5월 ICT 수출 144.5억 달러, 수입 112.0억달러, 무역수지 32.5억 달러 흑자 2023년 5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144.5억불, 수입은 112.0억불, 무역수지는 32.5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국제 경기 둔화에 따른 정보통신산업(ICT) 수요 회복 지연, 반도체 업황 부진, 역대 5월 중 최고 실적을 기록한 전년 동월(202.0억불)의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8.5% 감소하였다. 품목별로는 반도체(△35.7%), 디스플레이(△12.0%), 휴대폰(△17.2%), 컴퓨터·주변기기(△53.1%), 통신장비(△11.1%) 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31.6%), 베트남(△14.6%), 미국(△36.0%), 유럽연합(△30.7%), 일본(△10.9%) 등이 감소하였다. 정보통신산업(ICT) 수입액(..
2023년 3월 ICT 수출 157.8억 달러, 수입 118.5억달러, 무역수지 39.9억 달러 흑자 2023년 3월 정보통신산업은 수출 157.8억불, 수입 118.5억불, 무역수지 39.9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ICT 수출액(157.8억불)은 전년 동월(232.6억불) 대비 32.2% 감소하고, 글로벌 경기 둔화 및 반도체 업황 부진 지속으로 9개월 연속 감소했으나, 수출규모는 ’22.12월(168.8억불) 이후 3개월 만에 150억불 이상으로 회복하였다. ※ ICT 수출(억불) : (’22.12)168.8 → (’23.1)131.0 → (’23.2)128.2 → (’23.3)157.8 품목별로는 반도체(△33.9%), 디스플레이(△41.4%), 휴대폰(△49.3%), 컴퓨터·주변기기(△52.5%), 통신장비(△9.2%) 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40.1%..
2023년 2월 ICT 수출 128.2억불, 수입 110.0억불, 무역수지 18.2억불 흑자 2023년 2월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수출 128.2억불, 수입 110.0억불, 무역수지 18.2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 (수출) ICT 수출액(128.2억불)은 전년 동월(188.5억불) 대비 32.0% 감소, 글로벌 경기 둔화 및 반도체 업황 부진 지속으로 8개월 연속 감소 * ICT 수출(억불, %) : (’22.6) 206.0(6.8↑) → (‘22.7) 193.1(△0.9) → (’23.2) 128.2(△32.0) 품목별로는 반도체(△41.5%), 디스플레이(△42.2%), 휴대폰(△5.5%), 컴퓨터‧주변기기(△58.6%) 등은 감소하였고, 통신장비(0.8%↑)는 증가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39.4%), 베트남(△31.7%), 미국(△20.7%),유럽연합(△23.5%), 일본(..
2022년 ICT 수출 2,333억불, 수입 1,525억불, 수지 809억불 1. 2022년 연간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입 2022년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은 2,333억불로 전년 대비 2.5% 증가, ’96년 집계 이후 역대 최대 수출 실적 달성 * 수출 2,333억불(2.5%↑), 수입 1,525억불(12.9%↑), 수지 809억불 * 정보통신기술 수출 추이(억불) : (2019) 1,769 → (2020) 1,835 → (2021) 2,276 → (2022) 2,333 (품목) 반도체는 역대 최고 실적 달성·3년 연속 천억불 돌파하며 수출 증가 견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2차 전지 및 시스템 반도체 등 성장 품목 중심의 증가 기록 * 핵심 품목 수출(억불, %) : (반도체) 1,309(1.7↑), (시스템반도체) 507(27.5↑), (유기발광다이오드) 15..
2022년 8월 ICT 수출 193.1억불, 수입 135.2억불, 수지 57.9억불 흑자 2022년 8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은 전년 동월(202.3억불) 대비 4.6% 감소한 193.1억불 기록 일평균 수출액(8.0억불, 24.0일)은 전년 동월(8.8억불, 23.0일) 대비 8.6% 감소 주요 4대 품목은 반도체(△6.8%), 디스플레이(△5.3%), 휴대폰(△3.3%), 컴퓨터‧주변기기(△25.3%) 모두 감소 주요 5개국 중 유럽연합(4.7%↑)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14.4%), 베트남(△8.1%), 미국(△5.2%), 일본(△4.3%)은 감소 정보통신기술(ICT) 수입액(135.2억불)은 전년 동월 대비 18.7% 증가 정보통신기술 8월 무역수지는 57.9억불 흑자로,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전체 수출 적자(△94.7억불) 보전에 기여 1. 수출 현황 ① 주요 품..
2022년 7월 ICT 수출 193.4억불, 수입 132.2억불, 수지 61.2억불 흑자 2022년 7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은 전년 동월(194.8억불) 대비 0.7% 감소한 193.4억불 기록 7월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1.0일) 등의 영향으로 소폭 감소 일평균 수출액(8.2억불, 23.5일)은 전년 동월(7.9억불, 24.5일) 대비 3.5% 증가, 역대 7월 일평균 수출액 중 1위 기록 * (1위)(’22) 8.2억불(23.5일), (2위)(’21) 7.9억불(24.5일), (3위)(’18) 7.7억불(24.0일) (품목별) 주요 4대 품목 중 반도체(3.1%↑)는 증가, 디스플레이(△4.7%), 휴대폰(△29.2%), 컴퓨터‧주변기기(△21.9%)는 감소 (지역별) 주요 5개국 중 베트남(5.7%↑), 유럽연합(12.9%↑)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8.2%), 미국(△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