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무인도서

(43)
2021년 10월 무인도서, 경남 남해군 ‘세존도’ 선정 2021년 10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선정된 세존도는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에 위치한 면적 33,000㎡의 섬이다. 남해군의 남쪽 끝부분에 자리를 잡고 있으며, 육지에서는 직선거리로 25km 정도 떨어져 있다. 섬은 뾰족한 기암괴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형상이 마치 해룡 두 마리가 몸을 비비는 것 같이 보이기도 하고, 정교하게 쌓아 올린 성벽처럼 보이기도 한다. 섬의 한가운데에는 세존도의 가장 큰 특징인 남과 북을 관통하는 두 개의 바위 구멍이 있다. 이 바위 구멍은 ‘씨 아치(sea arch)’라고 불리는데, 파도에 의해서 생긴 해식동굴이 더 침식되면서 아치 모양의 구멍이 된 것이다. 세존도는 불교와 인연이 깊은 섬이다. 옛날 세존(석가모니의 다른 이름)이 남해 금산 상봉에서 득도를 한 후 돌..
2021년 9월 무인도서, 전남 진도 ‘방아섬’ 선정 2021년 9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선정된 방아섬은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리에 위치한 면적 11,801㎡의 섬이다. 인근 유인도인 관매도와 인접해 있어 관매도에 입도할 때 쉽게 볼 수 있는 섬이기도 하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에 속해 있는 관매도는 아름답고 기묘한 풍경으로 유명한데, 그중에서 여덟 곳을 골라 ‘관매8경’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 중 방아섬은 제2경에 속하는데, 진도에서 1시간 20분 정도 배를 타고 관매도로 갈 때 북동쪽의 방아섬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방아섬은 타원형의 무인도서로, 썰물 때는 관매도와 이어지는 바윗길이 드러나 걸어서 섬으로 들어갈 수 있지만, 밀물 때는 주위가 바닷물에 잠겨 걸어 들어갈 수 없다. 섬 꼭대기에는 5m 높이의 바위가 우뚝 솟아 있는데, 상투나 송이..
2021년 8월 무인도서, 제주 서귀포 ‘문섬’ 선정 2021년 8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선정된 문섬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면적 94,533㎡, 높이 약 82m의 무인도서다. 문섬은 서귀포항 남쪽 1.3km 떨어진 해상에 위치하여 외돌개에서 보면 손에 잡힐 듯 가까이 있다. 문섬의 탄생과 관련해 전해 내려오는 설화가 있는데, 옥황상제가 아름다운 제주를 돌아보러 내려왔다가 사냥꾼이 잘못 쏜 화살을 맞고 화가 나서 한라산 봉우리를 움켜쥐고 던져 그 중 일부가 섶섬과 문섬, 범섬이 되었고, 한라산 꼭대기가 뽑힌 자리는 움푹 패여 백록담이 되었다고 한다. 문섬이라는 이름은 민둥섬이어서 ‘믠섬’이라 불리다가 음이 변해 ‘문섬’이 됐다고 하는데, 실제로 문섬 안에는 제주도에만 자생하는 보리밥나무와 큰보리장나무, 후박나무 등 난대상록수가 울창하여 제주도 지정..
2021년 7월 무인도서, 완도군 청산면 ‘상도’ 선정 2021년 7월 이달의 무인도서로는 완도군 청산면에 위치한 상도가 선정되었다. 상도는 산과 바다, 하늘이 모두 푸르러 청산이라 이름 붙여진 청산도 옆에 위치한 면적 14,604㎡의 작은 무인도이다. 상도는 두 개의 크고 작은 삼각형 모양의 바위가 붙어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상도라는 이름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설이 전해져 내려오는데, 옛날 섬에 뽕나무가 있어 뽕나무 상(桑)자를 앞에 붙여 상도라고 부른다는 이야기와 바다 위에서 보면 누에같이 보인다고 하여 누에 상(蟓)자를 쓴다는 이야기, 코끼리 상(象)자를 쓴다는 이야기 등이 있다. 상도는 여느 무인도와 다른 특별한 점이 있는데, 상도에서는 나침반이 북쪽을 가리키지 못하고 방향을 잃는 신비한 경험을 해볼 수 있다. 이는 상도 근처 ‘범바위’라는 곳의 자력..
2021년 6월 무인도서, 경남 창원시 ‘대죽도’ 선정 2021년 6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선정된 대죽도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덕산동에 위치한 25,785㎡ 면적의 작은 무인도서이다. 진해 속천항에서 1.4km, 주변 육지와 최단거리 0.5km 떨어져 있어 육안으로 쉽게 조망할 수 있다. 대죽도 주위는 급경사 바위나 절벽으로 되어 있어 섬에 들어가려면 섬 북동쪽의 길이 30m 가량 모래 해안에 배를 대고 들어가야 하는데, 모래 해안 뒤로 계단을 따라 언덕을 오르면 진회색 2층 기단 위에 해군 특수전전단(UDT) 충혼탑이 세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정식 명칭은 UDT/SEAL(Underwater Demolition Team / SEa Air Land)이며, 상륙작전의 선봉으로 목표지점 해안의 수중 정찰과 장애물을 폭파해 공격로를 열고, 해상․공중․지..
2021년 5월 무인도서, 인천 옹진군 ‘상공경도’ 선정 2021년 5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선정된 상공경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승봉리에 위치한 면적 약 205,983㎡의 무인도서다. 인천항과는 45.6km, 인근 유인도서인 승봉도와는 2.2km 떨어져 있다. 상공경도는 과거에는 유인도서였는데, 중석(텅스텐) 광산이 있어 광부 수십 명이 거주하면서 채굴하였으나 지금은 폐광되었다. 광산 동굴은 아직도 남아있으며 동굴 안에는 자연적으로 생성된 우물이 존재한다. 상공경도 주변해역은 해양생태계보호구역으로 지정될 정도로 청정한 모래갯벌과 바위해안이 위치해 있고, 신비한 모래섬이라 불리는 ‘풀등’ 등의 특이한 지형을 보유하고 있다. 넙치, 가자미 등의 해양생물 서식지도 넓게 분포하고 있어서 생태적 가치도 높다. * 풀등 : 바다 한 가운데에 상류로부터 흘러들어온 모..
2021년 4월 무인도서, 경남 사천시 ‘개섬’ 선정 2021년 4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선정된 개섬(구도)은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다평리에 위치한 면적 56,926㎡의 작은 무인도서이다. 개섬은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어미 개가 작은 개(소개섬)를 향해 짖는 모양으로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한자로는 ‘구도(狗島)’라고 표기한다. 이 섬의 명칭에 깃든 전설로 ‘노부부와 충견’의 이야기도 전해져 내려오는데, 옛날 다맥마을에 금실 좋은 한 부부가 자식처럼 키우던 개 한 마리가 있었는데 부부가 세상을 떠나자 노부부의 무덤을 만들고 죽는 날까지 묘 옆에 엎드려 지켰다고 한다. 그래서 섬이 이 충견의 모습과 닮아 ‘개섬’이라 불렸다는 이야기인데, 12년마다 돌아오는 개띠 해에는 집중적으로 세간의 관심을 받기도 한다. 개섬 주변에서는 예로부터 질 좋은 굴 유생이 ..
2021년 3월 무인도서, 울릉군 ‘공암’ 선정 2021년 3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선정된 공암은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현포리에 위치한 바위섬으로, 면적 6,327㎡, 높이 약 59m, 길이 약 80m 규모의작은 섬이다. 울릉도 해상 3대 비경 중에서도 첫 번째로 꼽히는 공암은 원래 울릉도와 이어져 있었으나, 오랜 세월 바람과 파도 등으로 연결 부위가 깎여 나가면서 육지와 단절된 바위섬이 되었다. 이 섬은 거대한 코끼리 한 마리가 바다에 긴 코를 넣은 채 물을 마시는 모습을 하고 있는데, 코끼리 코에 해당하는 해식동굴은 높이가 10m 정도 되는 아치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울릉도를 찾는 관광객들은 울릉도 주변을 일주하는 해상관광을 선호하는데, 해상에서 마주한 공암은 용암이 식으면서 형성된 다각형 모양의 주상절리가 마치 코끼리의 가죽을 연상하게 하고, 보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