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정치

경기연구원 보고서, 세대 간 사회이동과 지역이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반응형

경기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30~40대 경기도민의 절반 이상이 사회 상승이동을 경험했으나, 직업 지위 향상만으로는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부모 고향과 성장 지역이 수도권인 경우 사회 상승이동이 삶의 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세대 간 사회이동 및 지역이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연구 보고서 표지


수도권에서 성장한 30~40대 경기도민, 절반 이상이 사회 상승이동 경험

경기연구원이 2023년 10월 10~16일 경기도민 30~40대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2.5%는 경기, 서울,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서 청소년기를 보냈습니다. 이는 많은 수의 30~40대 경기도민이 고향을 떠나 수도권으로 이주한 부모 슬하에서 성장해 현재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14세 무렵 성장 지역과 아버지 고향 분포



또한, 현재 직업과 응답자가 14세 무렵 아버지의 직업을 비교해 부모 세대보다 직업 지위가 높아졌는지를 살펴본 결과, 응답자의 54.2%는 사회 상승이동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일하고 있는 30~40대 경기도민의 절반 이상이 부모보다 더 나은 직업 지위를 성취했음을 의미합니다.


직업 지위 향상만으로는 삶의 만족도 높아지지 않아

흥미로운 점은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사회 상승이동을 성취했지만, 직업 지위의 상승이동이 반드시 높은 삶의 만족도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삶의 만족도를 생활 수준에 대한 만족도와 사회관계 만족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아버지보다 더 나은 직업 지위를 성취한 도민의 평균 생활 수준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96, 사회관계 만족도 평균은 6.54이었다.

 

▲ 아버지 직업 지위별 자녀 직업 지위 비율



이는 수평 이동(아버지와 비슷한 직업 지위를 가진 경우)과 하향 이동(아버지 직업에 비해 지위가 낮은 직업을 가진 경우)을 경험한 응답자들의 생활 수준 및 사회관계 만족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모 고향과 성장 지역이 수도권인 경우, 사회 상승이동이 삶의 만족도 향상에 영향

다만 부모의 고향이 수도권이며, 응답자 역시 수도권에서 청소년기를 보내고 현재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에 한해서는 사회이동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모보다 더 나은 직업 지위를 성취한 응답자는 부모와 비슷한 지위에 머문 응답자에 비해 생활 만족도가 평균 0.59 높았으며 사회관계 만족도는 0.79 높았습니다.

 

▲ 사회이동 유형별 비율

  • 하향이동: 자녀의 현재 직업 지위가 14세 무렵 아버지의 직업 지위보다 낮은 경우
  • 수평이동: 자녀의 현재 직업 지위가 14세 무렵 아버지 직업 지위와 비슷한 경우
  • 상향이동: 자녀의 현재 직업 지위가 14세 무렵 아버지 직업 지위보다 높은 경우

반대로 하향 이동한 경우는 생활 수준 만족도와 사회관계 만족도가 수평이동한 경우에 비해 각각 0.74, 0.71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부모의 고향이 수도권이 아니거나 응답자의 성장 지역이 수도권이 아닌 경우에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연구 결과의 시사점

경기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했습니다.

30~40대 경기도민은 전국 각지에 고향을 둔 부모 슬하에서 성장한 사람들이나 대부분은 수도권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사람들이다.

부모 세대에 비해 더 나은 직업 환경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이 절반 이상이지만 부모 세대보다 더 높은 지위를 성취한 것 자체가 삶의 만족도를 높이지는 않는다.

오히려 삶의 만족도와 사회이동의 관계는 세대에 걸친 지역의 이동 경험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연구원은 ▲30~40대 경기도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 사업에 있어서 사회이동으로 대표되는 불평등의 문제와 세대에 걸친 지역이동 경험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습니다. 더불어 “사회이동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으로 변하고 있으며, 삶의 만족도는 매우 낮다”며 “다양한 정책적 사회적 개입을 통해 삶의 만족도를 제고하려는 노력은 사회이동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경기연구원의 보고서는 세대 간 사회이동과 지역이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연구 결과는 정책 입안자들이 사회 불평등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세대 간 사회 및 지역 이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pdf
1.08MB

 

 

 

출처 : 경기연구원

 

 

경기도민 1시간 이내 출퇴근, 대중교통·유연근무로 해결

경기도민의 1시간 이내 출퇴근을 위해 대중교통 공급 확대와 유연근무 확산을 추진한다.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경기도민의 출퇴근 시간은 승용차 이용 시 34분, 대중교통 이용 시 71분으로, 대중

webdraw.tistory.com

 

반응형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 share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