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엔피넷뉴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디엔피넷뉴스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뉴스 (6960) N
    • 가전 (64) N
    • 건강 (103)
    • 건설 (44)
    • 건축 (13)
    • 게임 (35)
    • 경제 (1054) N
    • 교육 (73)
    • 교통 (141)
    • 공연·전시·축제 (187) N
    • 국방 (43)
    • 날씨 (377)
    • 농축수산 (217)
    • 레저 (28)
    • 반려동물 (13)
    • 법률 (1)
    • 보건 (66)
    • 부동산 (574)
    • 사진 (13)
    • 사회·정치 (390)
    • 생활·문화 (438)
    • 세계 (4)
    • 스포츠 (15)
    • 안전 (88)
    • 여행 (441)
    • 영화 (9)
    • 외교 (6)
    • 요리 (2)
    • 육이·결혼 (3)
    • 의학 (39)
    • 인터넷 (21)
    • 정책 (13)
    • 자동차 (902) N
    • 자전거 (5)
    • 통신 (3)
    • 패션·뷰티 (9)
    • 항공 (14)
    • 화훼 (12)
    • 환경 (155)
    • IT·과학 (492)

검색 레이어

디엔피넷뉴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건강

  • 올해 4월 말부터 수족구병 환자 증가 예상 ‘수족구병’ 감염 주의

    2019.04.19 by 디엔피넷

  • 농촌진흥청, 저장성 및 항암·항바이러스에 좋은 ‘느티만가닥버섯’ 소개

    2019.04.18 by 디엔피넷

  • ‘제26회 경기도 노인게이트볼 대회’, 12일 수원 여기산 게이트볼 경기장 개최

    2019.04.14 by 디엔피넷

  • ‘2019 한마음 치매극복 걷기행사’ 13일 수원 장안공원 개최

    2019.04.14 by 디엔피넷

  • 약용작물 ‘하수오’ 슈퍼박테리아 황색포도상구균(MRSA) 항생제 내성 억제 효과

    2019.04.13 by 디엔피넷

  • 봄철 춘곤증에 좋은 약초이면서 나물로도 즐기기 좋은 작물 소개

    2019.04.09 by 디엔피넷

  • 제주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 발견,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2019.04.08 by 디엔피넷

올해 4월 말부터 수족구병 환자 증가 예상 ‘수족구병’ 감염 주의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4월 말부터 수족구병 환자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등 수족구병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수족구병: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등 장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열 및 입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특히 영유아에서 많이 발생하며, 감염된 사람의 분비물(침, 가래, 콧물, 수포의 진물 등) 또는 대변 등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전파됨 전국 95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 의사환자 분율은 2019년 13주(3.24.~3.30.) 1.8명(외래환자 1,000명당), 14주(3.31.~4.6.) 2.4명, 15주(4.7.~4.13.) 2.5명으로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 기온 상승과 실외활동의 증가로 환자수가 증..

건강 2019. 4. 19. 08:06

농촌진흥청, 저장성 및 항암·항바이러스에 좋은 ‘느티만가닥버섯’ 소개

농촌진흥청은 느타리(애느타리), 팽이와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아직 소비자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느티만가닥버섯’의 장점을 소개하고 소비 활성화에 나섰다. 느티만가닥버섯은 만가닥버섯 과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 갈색과 흰색(백색)이 있으며, 다양하게 불리지만 정확히는 ‘느티만가닥버섯’으로 불러야 한다. 일반적으로 버섯 재배 기간은 60일 정도지만 느티만가닥버섯은 100일가량이어서 ‘백일송이’라고도 부른다. 만가닥버섯은 ‘느티만가닥버섯’ 외에도 이름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버섯인 ‘땅지만가닥버섯’, ‘잿빛만가닥버섯’, ‘연기색만가닥버섯’ 등 여러 종류로 나뉜다. 느티만가닥버섯 중 갓 부위는 식감이 오독오독하고, 줄기는 쫄깃쫄깃하다. 또한, 다른 버섯보다 육질이 치밀하고 단단해 으깨질 걱정 없이 요리에 활용할 수 ..

건강 2019. 4. 18. 11:23

‘제26회 경기도 노인게이트볼 대회’, 12일 수원 여기산 게이트볼 경기장 개최

‘제26회 경기도 노인게이트볼 대회’가 지난 12일 수원 여기산 게이트볼 경기장에서 도내 27개 시군 500여명의 어르신이 참가한 가운데 도민 화합과 어르신들의 건강을 기원하는 ‘축제 한마당’으로 펼쳐졌다. 건강하고 활기찬 어르신 생활체육 문화를 만들고, 도내 어르신들의 화합을 위해 열린 이날 행사에는 이종한 대한노인회 경기도연합회 회장, 류영철 도 보건복지국장, 최종현‧이애형 경기도의원, 도내 40개 시‧군‧구 노인회 지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서 40개 팀을 구성한 400여명의 어르신들은 그동안 갈고 닦은 기량을 마음껏 펼치며, 모처럼만에 즐거운 한때를 보냈다. 매 경기 치열한 접전이 이어진 결과, 대한노인회 화성시지회가 최종 우승의 영광을 안았으며 대한노인회 수원시 팔달구지회가 준우승을 차지..

건강 2019. 4. 14. 09:47

‘2019 한마음 치매극복 걷기행사’ 13일 수원 장안공원 개최

‘2019 한마음 치매극복 걷기행사’가 13일 수원 장안공원에서 치매환자와 가족, 자원봉사자, 도민 등 1,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치매 애(愛) 희망을 나누다’를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에서 참가자들은 수원 장안공원을 출발해 홍난파 노래비와 정조대왕 동상을 거쳐 다시 장안공원으로 돌아오는 ‘팔달산 둘레길 4km 구간을 가족, 친구와 함께 거닐었다. 이와 함께 참가자들은 민속예술단 ‘나눔소리’의 풍물 공연과 ‘치매안녕! 100세 경기’ 기념 현수막 퍼포먼스 등을 관람하는 한편 행사장에 배치된 ▲치매예방존(치매 조기검진 및 두근두근 뇌운동 체험) ▲치매정보존(치매예방 음식정보 및 치매OX퀴즈, 치매상담콜센터 안내) ▲치매홍보존(치매예방체조 시연 및 홍보물)를 돌아보며 치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건강 2019. 4. 14. 09:28

약용작물 ‘하수오’ 슈퍼박테리아 황색포도상구균(MRSA) 항생제 내성 억제 효과

농촌진흥청은 약용작물 '하수오'가 슈퍼박테리아인 황색포도상구균(MRSA)의 항생제 내성을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 MRSA: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이며, 메티실린 이외에도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동시에 보이므로 다재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도 불림. 건강한 사람의 피부나 구강, 콧속 점막 등에도 흔히 존재하며 피부, 균혈증, 폐렴, 식중독 등 다양한 감염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음. 황색포도상구균은 병원에서 많이 분리되는 의료 관련 감염 원인균이다. 면역력이 떨어진 경우, 폐렴·식중독 등을 유발하는 기회 감염균으로 여러 항생 물질에 내성이 있다. 법정 감염병 중 지정 감염병으로 분류되며, 가장 강력한 항생제..

건강 2019. 4. 13. 12:02

봄철 춘곤증에 좋은 약초이면서 나물로도 즐기기 좋은 작물 소개

농촌진흥청은 일교차가 큰 환절기를 맞아 춘곤증을 이기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약초이면서 나물로도 즐기기 좋은 작물을 소개했다. 쑥= 단군신화에도 등장하는 쑥(艾葉·애엽)은 우리 민족에게 친숙한 식물로 오래전부터 식재료와 약재로 이용돼 왔다. '동의보감'을 보면 '맛이 쓰며 맵고 성질이 따뜻해 오장의 좋지 않은 기운과 풍습을 다스려 장기 기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고 전한다. 된장을 풀어 냉이를 넣어 끓인 쑥국은 맛과 향, 영양이 뛰어나며 춘곤증을 이기는 데 도움을 준다. 최근에는 암 예방, 노화 지연, 아토피 치료로 효능이 재평가 되고 있다. 두릅= 두릅나무(楤木皮·송목피)와 땅두릅(獨活·독활)의 새순은 쌉싸래한 듯 향긋함이 일품이다. 단백질과 비타민C, 칼슘이 풍부해 신경 안정과 혈액 순환을 돕는..

건강 2019. 4. 9. 18:09

제주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 발견,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질병관리본부는 제주지역에서 올해 첫 번째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채집(4월 6일)됨에 따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였다. 일본뇌염 주의보는 매년 감염병 매개모기 감시사업(3~11월)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를 처음 발견한 때 발령하며, * 일본뇌염 예측을 위해 매년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및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 등 59개 조사 지점에서 공동으로 모기를 채집하여 일본뇌염 매개모기 발생, 밀도 및 분포를 분석하는 사업으로,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 발령을 위한 자료로 활용 현재 제주 이외 지역에서는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

건강 2019. 4. 8. 16:47

추가 정보

인기글

  1. -
    -
    KCP 2023년 1월 카드사 무이자할부 이벤트

    2022.12.31 06:09

  2. -
    -
    소비자원, 프라이팬 품질비교시험

    2023.01.19 07:55

  3. -
    -
    소비자원, 아보카도 오일 품질 및 안전성 조사

    2022.12.31 16:26

  4. -
    -
    OECD 회원국 중, 인구 10만 명 당 교통사고 사망자 6.5명 27위

    2021.12.21 07:02

  5. -
    -
    2023년 부동산 가격공시 표준지 5.92%↓, 표준주택 5.95% ↓

    2023.01.25 11:00

최신글

  1. -
    -
    ‘2023년 여주 남한강 대보름 달집태우기 축제’ 2월 5일 개최

    공연·전시·축제

  2. -
    -
    삼성전자 2023년형 ‘비스포크 무풍에어컨·공기청정기’ 신제품 공개

    가전

  3. -
    -
    2023년 1월 22일, 우회전 일시정지 의무 명시 개정 도로교통법 시행

    자동차

  4. -
    -
    한국자산관리공사, 1월 30일 ~ 2월 1일 국유부동산 70건 대부 및 매각

    경제

  5. -
    -
    한국자산관리공사, 1월 30~2월 1일 789억원 규모 731건 공매

    경제

페이징

이전
1 ··· 10 11 12 13
다음
TISTORY
디엔피넷뉴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