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지표

(13)
2025년 3월 소비자물가 동향 2025년 3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1% 상승하여 지난달보다 소폭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공업제품과 서비스, 전기·가스·수도 요금이 상승한 가운데, 농축수산물 가격도 전반적으로 오름세를 나타냈습니다. 반면 신선식품지수는 과일류 중심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전년동월대비 1.3% 감소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세종이 2.6%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고용동향 2024년 9월: 청년 고용률 하락 이유와 산업별 숨겨진 비밀 2024년 9월의 고용동향은 어떤 모습일까요? 고용률이 상승하면서도 청년층의 고용률은 하락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단순한 통계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현재 경제의 흐름을 이해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데 중요한 힌트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9월의 주요 고용지표와 산업별 고용 변화, 그리고 그 속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들을 살펴보겠습니다.  KOSIS통계보기 15세 이상 인구 및 경제활동 인구2024년 9월, 15세 이상 인구는 4,559만 명으로 전년 대비 0.3% 증가했으며, 경제활동 인구는 2,946만 4천 명으로 0.4% 늘어났습니다. 이 수치만 보면 별다른 변화가 없어 보일 수 있지만, 사실 그 이면에는 흥미로운 이야기가 숨어 있습니다. 특히, 남성 경제활동 인구가 감소한 반면,..
고용동향 2024년 8월: 2,880만 취업, 청년 실업률 4.1% 감소 2024년 8월 고용동향 보고서는 한국 경제의 고용 상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자료입니다. 고용률과 실업률, 취업자 및 비경제활동인구의 변화를 다루고 있으며, 특히 청년층 고용 상황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용시장의 변화와 그 의미를 분석하고, 향후 고용 시장의 전망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KOSIS통계보기  15세 이상 인구 및 경제활동 참가율2024년 8월 15세 이상 인구는 4,557만 6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만 2천 명 증가했습니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64.4%로,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72.7%로 소폭 하락한 반면, 여성의 참가율은 56.4%로 소폭 상승하여 남녀 간 격차가 여전히 존재합니다. 이..
2024년 7월 산업활동동향 인포그래픽 이번 포스터는 산업 생산, 소비, 투자, 경기 동향을 한눈에 보여줍니다. 2024년 7월 전 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0.4% 감소했으며, 소매판매는 1.9% 줄었습니다. 반면, 설비투자는 10.1% 증가하는 등 다양한 변동이 있었습니다. 각 부문별로 변화한 주요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인포그래픽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생산: 전산업생산은 서비스업(0.7%)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광공업(-3.6%)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4% 감소소비: 소매판매는 차량연료, 승용차 등에서 판매가 줄어 전월대비 1.9% 감소투자: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투자가 늘어 전월대비 10.1% 증가, 건설기성은 토목에서 공사실적이 줄어 전월대비 1.7% 감소경기: 동행종합지수 ..
IMF, 2022년 10월 한국 경제성장률 2.6%, 7월보다 0.3%P 상승 IMF는 2022년 10월 11일 22:00(워싱턴 시간 10.11, 09:00)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발표 1. (세계 경제성장률) 2022년 3.2%로2022.7월 전망과 동일(2023년 2.7%, △0.2%p) 전세계 33%의 국가가 2분기 연속 GDP 감소를 경험하였으며, 리스크 장기화에 따라 2023년 성장률 추가 하향 전망 2. (그룹별 성장전망) 선진국 2022년 2.4%(△0.1%p), 2023년 1.1%(△0.3%p)신흥국 2022년 3.7%(+0.1%p), 2023년 3.7%(△0.2%p) (선진국) 미국은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에 따라 2022년 대폭 하향조정, 유럽은 관광ㆍ제조업 회복 등으로 2022년 일부 상향되었으나, 러시아 가스공급 중단, ..
국제통화기금(IMF), 2022년 7월 한국 경제성장률 2.3% 1. 보고서 주요내용 ※ IMF는 2022.7.26 22:00(워싱턴 시간 7.26, 09:00)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Gloomy and More Uncertain‘)을 발표 ■ (세계경제) ‘22년 3.2%로‘22.4월 대비 △0.4%p(‘23년 2.9%, △0.7%p) 예상 보다 높은 인플레이션(특히 미국, 유럽), 중국 성장둔화, 전쟁 및 코로나 영향 등으로‘22.2분기 성장률 대폭 감소 ■ (그룹별 전망) ‘22년 선진국 2.5%(△0.8%p), 신흥국 3.6%(△0.2%p)‘23년 선진국 1.4%(△1.0%p), 신흥국 3.9%(△0.5%p) (선진국) 미국은 강력한 통화 긴축 및 구매력 하락으로 대폭 하향, 유럽도 우크라이나 전쟁과 통화긴축의 영향으로 대폭..
국제통화기금(IMF), 2022년 4월 한국 경제성장률 2.5% 1. 보고서 주요내용 ※ IMF는 ‘22.4.19(화), 22:00(현지 시간 4.19(화), 09:00)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발표(IMF는 매년 4ㆍ10월 전체 회원국 전망, 1ㆍ7월 주요국 수정 전망 발표) ■ (세계경제)‘22년 3.6%로 22.1월 대비 △0.8%p(‘23년 3.6%, △0.2%p) 전쟁, 긴축적 통화ㆍ재정정책, 中 성장둔화, 코로나 영향 등에 기인 * ’23년 성장률은 소폭 상승할 전망이나, ’22년 하락을 상쇄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 ■ (그룹별 전망) ①‘22년 선진국 3.3%(△0.6%p), 물가 5.7%(+1.8%p) ②‘22년 신흥국 3.8%(△1.0%p), 물가 8.7%(+2.8%p) (선진국) 유럽은 에너지가격 폭등, 공급망 훼손..
2022년 국제통화기금(IMF) 한국 성장률 3.0%, 물가 3.1% 예상 1. 보고서 주요내용 한국은 코로나를 성공적으로 극복했으나 부문별 회복양상은 상이 * Korea has recovered impressively from the COVID-19 shock. (성장ㆍ물가) ’21년 성장률 4%, 물가 2.5%(근원 인플레이션 1.4%) (대외부문) 코로나 및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로 인해 원달러 환율이 상승했으나 외환보유액 및 대외포지션은 적정 수준 유지 (금융) 낮은 부실채권 및 FX 리스크 등으로 건전성은 확보했으나 중소기업의 부채ㆍ수익성 등은 취약 (가계부채ㆍ부동산) 낮은 대출금리, 높은 신용대출, 부동산 투자수요 등에 의해 가계부채는 증가, 부동산 가격도 상승 (전망) ’22년 성장률 3.0%, 물가 3.1% 예상, 경상수지 흑자는 일부 축소 전망 (성장) 오미크론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