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지표

(13)
IMF, 2022년 세계경제전망 4.4%, 한국 3.0% ※ IMF는 2022.1.25(화) 23:00(워싱턴 시간 1.25(화), 09:00)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Rising Caseloads, A Disrupted Recovery and Higher Inflation)을 발표 ■ (세계경제) 2022년 4.4%로 2021.10월대비 0.5%p 하향(2023년 3.8% +0.2%p) ①오미크론 확산, ②예상보다 높은 인플레이션, ③중국 부동산 시장 리스크 및 소비감소로 세계 성장 둔화 * 2023년 성장률은 소폭 상승할 전망이나, 2022년 하락을 상쇄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 ■ (국가별 전망) ①선진국 2022년 3.9%(△0.6%p)로 하향(2023년 2.5%, +0.3%p)②신흥국 2022년 4.8%(△0.3%p)로..
국제통화기금(IMF), 2021년 10월 한국 경제성장률 4.3% 유지 1. 보고서 주요 내용 ※ IMF는 2021.10.12(화) 22:00(워싱턴 현지시간 10.12(화) 09:00) 세계경제전망(Recovery During a Pandemic : Health Concerns, Supply Disruptions, Price Pressures)을 발표 (세계경제) 2021년 세계경제 성장전망을 5.9%(2021.7월比 △0.1%p)으로 하향 조정, 2022년은 4.9%로 전망 유지 백신접종, 정책지원 격차로 국가간 불균등 회복 지속 다만, 선진국은 미국의 대규모 부양책 등으로 2022년 중 코로나 이전 경제 규모로 회복 예상 (국가별 전망) 선진국의 2021년 전망은 5.2%(2021.7월比 △0.4%p)으로 하향, 신흥·개도국은 6.4%(+0.1%p)로 상향 조정 (선진..
국제통화기금(IMF), 2021년 한국 경제성장률 4.3% 상향 전망 국제통화기금(IMF)은 2021월 7월 27일(화) 22:00(워싱턴 D.C 현지시간 7.27(화) 09:00) 세계경제전망(’Fault Lines Widen in the Global Recovery’)을 수정 발표 (세계경제전망) 2021년 성장률 6.0%로 유지(2022년 4.9%, +0.5%p) 다만, 2021.4월 전망시보다 국가간 불균등 회복이 심화되는 양상 (국가그룹별) 대체로 선진국은 상향, 신흥ㆍ개도국은 하향조정 (선진국) 백신공급 확대, 미국의 경기부양책 등에 힘입어 2021년 5.6%로 0.5%p 상향조정(2022년 4.4%, +0.8%p) * 주요국 2021년 성장률(%) : (美)7.0(+0.6%p) (유로)4.6(+0.2%p) (英)7.0(+1.7%p) (日)2.8(△0.5%p) ..
국제통화기금(IMF), 2021년 한국 경제성장률 3.6% 상향 전망 국제통화기금(IMF)은 2021.4.6.(화) 21:30(워싱턴 현지시간 4.6.(화) 08:30)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을 발표 (세계경제) 2021년 세계경제 성장전망을 6.0%(2021.1월比 +0.5%p), 2022년 4.4%(2021.1월比 +0.2%p)로 상향 조정 (최근상황) 전례없는 정책 대응으로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 * IMF는 각국의 정책대응으로 2020년 세계경제 성장률이 약 6%p 상향됐다고 분석 다만, 경제 회복은 불균등하며, 작년 하반기 GDP가 예상을 상회하였으나, 여전히 코로나 이전 성장경로를 하회할 전망 (전망) 선진국의 추가 재정 확대 및 백신 보급의 영향으로 하반기 이후 경제 회복 모멘텀 강화 (국가별 전망) 선진국의 2021년 전망은 5..
국제통화기금(IMF), 2021년 한국 경제성장률 3.1% 전망 1. (세계경제) 2021년 5.5%(2020.10월比 +0.3%p), 2022년 4.2%(전망 유지) (최근 상황) 작년말 백신 승인 및 접종 개시, 최근 경제지표 등 감안시, 작년 하반기 성장 모멘텀은 당초 예상(2020.10월 WEO) 상회 * 미국, 일본, 한국 등의 3분기 GDP 실적은 2020.10월 전망을 크게 상회 작년말 미ㆍ일 등의 추가 경기부양책도 2021~2022년 전망에 긍정적 요인이나, 코로나 재확산 및 봉쇄, 백신 지연 등 부정적 요인 상존 (전망) 코로나19 확산과 봉쇄로 2021년초 성장 모멘텀이 약화되나, 백신ㆍ치료 보급이 확대되며 2분기에 모멘텀 강화 * 기본 시나리오 가정① (백신 등) 선진국 및 일부 신흥국의 경우 금년 여름, 기타 대부분 국가는 2022년 하반기까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