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3년 한국 사회는 인구 감소, 고령화, 외국인 증가, 합계출산율 감소 등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2023년 한국 사회의 주요 지표를 분석하고 변화하는 사회의 모습을 살펴봅니다.

인구 구조 변화: 감소하는 인구, 증가하는 외국인
- 2023년 총인구는 5,171만 명으로 전망되며, 2072년에는 3,622만 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은 2023년 18.2%에서 2072년 47.7%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2022년 장기체류외국인 수는 168.9만 명으로 전년보다 11.9만 명 증가했습니다.
- 2023년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1970년 통계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이며, 모의 연령대별 합계출산율은 30~34세, 35~39세, 25~29세 순으로 높았습니다.


건강과 생활환경: 감소하는 건강수명, 변화하는 생활습관
- 2022년 기대수명은 82.7년으로 2000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습니다.
- 2022년 건강수명은 65.8년으로 2020년보다 0.5년 감소했습니다.
- 2023년 인구 천 명당 사망자 수는 6.9명으로 전년보다 0.4명 감소했습니다.
- 2022년 사망원인 1위는 악성신생물(암)입니다.
- 2022년 19세 이상 인구의 현재 흡연율은 16.9%로 전년보다 1.3%p 감소했습니다.
- 2022년 음주율은 54.0%로 전년보다 0.5%p 증가했습니다.


교육과 노동: 변화하는 교육 참여율, 높아지는 고용률
- 2023년 취학률은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전년보다 감소, 초등학교와 고등교육기관에서 증가했습니다.
- 2023년 사교육 참여율은 78.5%로 전년보다 증가했습니다.
- 2023년 고용률은 62.6%로 통계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 2023년 실업률은 2.7%로 전년보다 0.2%p 하락했습니다.
- 2023년 임금근로자 중 전반적 근로여건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35.1%입니다.

소득과 소비: 증가하는 1인당 국민총소득, 활성화되는 여가 활용
- 2023년 우리나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2,236.3조 원으로 전년보다 3.4%p 증가했습니다.
- 2023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3,745달러로 전년보다 2.6%p 증가했습니다.
- 2022년 가구의 연 평균소득은 6,762만 원으로 전년보다 292만 원 증가했습니다.
- 2022년 지니계수는 0.324로 전년보다 0.005 만큼 감소했습니다.
- 2023년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79.2만 원으로 전년보다 15.2만 원 증가했습니다.
- 2023년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률, 레저시설 이용률, 국내·해외여행 경험 비율 모두 2021년보다 증가했습니다.

주거와 범죄: 주택가격 변화, 증가하는 범죄 건수
- 2022년 기준 인구 천 명당 주택 수는 430.2호로 전년보다 6.6호 증가했습니다.
- 2022년 주택보급률은 102.1%로 전년보다 0.1%p 하락했습니다.
- 2022년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은 6.3배로 전년보다 0.4배p 감소했습니다.
- 2022년 월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은 16.0%로 전년보다 0.3%p 증가했습니다.
- 2022년 10만 명당 범죄 건수는 3,048건으로 전년보다 89건 증가했습니다.
- 2020년 사람들은 사기, 폭행 순으로 두려움을 많이 느꼈습니다.

사회통합과 주관적 웰빙: 사회갈등 인식, 변화하는 웰빙 지표
- 2023년 사람들이 크게 느낀 사회갈등은 ‘보수와 진보’(82.9%), ‘빈곤층과 중상층’(76.1%), ‘근로자와 고용주’(68.9%) 순입니다.
- 2023년 어려울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다고 답한 비중은 2021년보다 증가했습니다.
- 2023년 ‘외롭다’라고 느끼는 비중은 18.5%로 전년보다 감소했습니다.
- 2023년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중(74.1%)과 자신이 하는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비중(68.4%)은 각각 전년보다 감소했습니다.


변화하는 한국 사회에 대한 대응
2023년 한국 사회는 인구 감소, 고령화, 외국인 증가, 합계출산율 감소, 건강수명 감소, 사망률 변화, 생활습관 변화, 교육 참여율 변화, 고용률 및 실업률 변화, 근로여건 변화, 1인당 국민총소득 증가, 소비 지출 증가, 여가 활용 증가, 주택가격 변화, 범죄 건수 증가, 사회갈등 인식, 웰빙 지표 변화 등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시민 사회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정부는 인구 구조 변화, 건강과 생활환경 변화, 교육과 노동 변화, 소득과 소비 변화, 주거와 범죄 변화, 사회통합과 주관적 웰빙 변화 등에 대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합니다. 기업은 변화하는 사회의 요구에 맞춰 새로운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근로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시민 사회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통합과 협력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본 글은 2023년 한국 사회의 주요 지표를 분석하고 변화하는 사회의 모습을 살펴본 것입니다. 변화하는 사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모두가 함께 노력한다면, 더 나은 한국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 통계청
반응형
'사회·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래인구추계, 2052년까지 인구 감소와 고령화 시도별 분석 (0) | 2024.05.28 |
---|---|
경기도 반지하주택 대책, ‘침수 반지하주택 ZERO’ 보고서 발간 (0) | 2024.05.05 |
경기도, 전세피해 긴급생계비 100만원 지원! 내‧외국인 구분없이 지원 (0) | 2024.03.17 |
인천, 2026년 7월 2군 9구 체제 출범…준비 현황 및 전망 (0) | 2024.03.12 |
여성 노인 빈곤율, 남성보다 8%p 높아… 빈곤 노인 특징 및 규모 분석 (0) | 2024.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