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월 1~10일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3.3% 증가한 반면, 수입은 15.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12월 1~10일 한국 수출입 동향
관세청은 11일, 12월 1일~10일 기간의 수출입 현황을 발표했다.
2023년 12월 1 ~ 10일 수출은 158억 달러, 수입은 172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수출 3.3%(5.0억 달러↑) 증가, 수입 △15.3%(31.0억 달러↓) 감소했다.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증가했으나, 수입은 감소하면서 무역수지는 14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수출 증가는 미국, 홍콩, 대만 등 주요 수출국으로의 수출 증가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입 감소는 원유, 반도체 등 주요 품목의 수입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한국의 수출입 동향은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주요 수출국으로의 수출 증가세가 지속될지, 원유 등 주요 품목의 수입 감소세가 이어질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현황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승용차(13.2%), 선박(141.3%), 무선통신기기(18.0%) 등 10대 주요품목 중 8개 품목이 증가했고, 반도체(△4.0%), 석유제품(△4.5%) 등 2개 품목이 감소했다.
주요 품목별 수출액은 승용차 22억 달러(13.2%), 선박 15억 달러(141.3%), 무선통신기기 14억 달러(18.0%), 반도체 25억 달러(△4.0%), 석유제품 10억 달러(△4.5%) 등이었다.
반도체 수출 비중은 16.0%로 전년동기대비 1.2%p 감소했다.
주요 국가별 수출액은 미국 37억 달러(23.7%), 홍콩 7억 달러(48.7%), 대만 2억 달러(13.0%), 중국 21억 달러(△6.7%), 베트남 18억 달러(△0.9%) 등이었다.
상위 3국(중국, 미국, 베트남) 수출 비중은 49.1%를 기록했다.
수입현황
수입은 전년동기대비 기계류(1.2%), 승용차(3.6%) 등 7개 품목이 증가했고, 원유(△19.4%), 반도체(△14.8%), 가스(△31.7%) 등 3개 품목이 감소했다.
주요 품목별 수입액은 원유 31억 달러(△19.4%), 기계류 25억 달러(1.2%), 승용차 16억 달러(3.6%), 반도체 23억 달러(△14.8%), 가스 10억 달러(△31.7%) 등이었다.
에너지(원유, 가스, 석탄) 수입액은 6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4.6% 감소했다.
주요 국가별 수입액은 호주 10억 달러(40.4%), 사우디아라비아 6억 달러(14.3%), 미국 18억 달러(△10.3%), 중국 26억 달러(△10.3%), 유럽연합 15억 달러(△15.4%) 등이었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수출입 영향
글로벌 경기 침체가 현실화될 경우, 한국의 수출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 측면에서는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면서 수출이 감소할 수 있다. 특히, 미국, 유럽 등 주요 수출국으로의 수출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수입 측면에서는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면서 수입이 감소할 수 있다. 다만, 원유, 천연가스 등 일부 품목은 수요가 탄탄해 수입이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
향후 대응 방안
한국 정부는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비해 수출입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수출입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수출 기업의 경우, 글로벌 경기 침체에 대비해 신규 시장 개척, 수출 상품 다변화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 조업일수[(2022)8.0일,(2023)7.0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2.12.)19.1,(2023.12.)22.6억 달러] 18.0% 증가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4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출처 : 관세청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11월 고용률 0.6%p↑, 취업 2,869만 8천명, 청년 실업률 하락 (0) | 2023.12.13 |
---|---|
2022년 1인가구 34.5%인 750만 2천 가구…4가구 중 1가구 차지 (0) | 2023.12.13 |
2023년 가계경제, 자산 감소·부채 증가·소득 증가 (0) | 2023.12.08 |
2022년 노동조합 재무현황 공시율 91.3%, 수입 8,424억원, 지출 8,183억원 (0) | 2023.12.07 |
2022년 일자리 3.4% 증가 87만개, 60세이상 가장 많아 (0) | 2023.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