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감정원

(119)
2020년 3월 둘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16%, 전세 0.07% 각각 상승 한국감정원이 한국감정원이 2020년 3월 2주(3.9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16% 상승, 전세가격은 0.07%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16%]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27%→0.28%) 및 서울(0.01%→0.02%)은 상승폭 확대, 지방(0.06%→0.05%)은 상승폭 축소(5대광역시(0.07%→0.06%), 8개도(0.01%→0.00%), 세종(1.02%→0.98%))됐다. 시도별로는 세종(0.98%), 경기(0.41%), 대전(0.40%), 인천(0.38%), 울산(0.11%), 충북(0.04%) 등은 상승, 전남(0.00%), 광주(0.00%)는 보합, 대구(-0.04%), ..
2020년 3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16%, 전세 0.06% 각각 상승 한국감정원이 한국감정원이 2020년 3월 1주(3.2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16% 상승, 전세가격은 0.06%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16%]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30%→0.27%)은 상승폭 축소, 서울(0.01%→0.01%)은 상승폭 유지, 지방(0.10%→0.06%)은 상승폭 축소(5대광역시(0.14%→0.07%), 8개도(0.02%→0.01%), 세종(1.52%→1.02%))됐다. 시도별로는 세종(1.02%), 인천(0.42%), 대전(0.41%), 경기(0.39%), 울산(0.16%), 충북(0.08%) 등은 상승, 전남(0.00%), 부산(0.00%)은 보합, 제주..
2020년 2월 전국 주택가격 매매 0.34%, 전세 0.21%, 월세 0.03% 각각 상승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 +0.34%] 전국 월간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34% 상승했다. 수도권(0.39%→0.51%)은 상승폭 확대, 서울(0.34%→0.15%)은 상승폭 축소, 지방(0.17%→0.18%)은 상승폭 확대(5대광역시(0.39%→0.32%), 8개도(-0.02%→0.05%), 세종(1.84%→1.99%))됐다. (수도권) 12.16. 대책의 영향으로 서울은 고가 단지 많은 강남권을 중심으로 하락 전환되며 상승폭 둔화되었으며, 경기·인천은 교통호재 및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세 유입되며 상승폭 확대 (서울 강북14개구) 대체로 상승폭 축소(9개구)된 가운데, 노원구(0.35%)는 소형·중저가 많은 상계동과 역세권 사업 있는 월계동 위주로, 동대문구(0.32%)는 중랑천 주..
2020년 2월 넷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20%, 전세 0.10% 각각 상승 한국감정원이 2020년 2월 4주(2.2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20% 상승, 전세가격은 0.10%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20%]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27%→0.30%)은 상승폭 확대, 서울(0.01%→0.01%)은 상승폭 유지, 지방(0.09%→0.10%)은 상승폭 확대(5대광역시(0.13%→0.14%), 8개도(0.02%→0.02%), 세종(1.41%→1.52%))됐다. 시도별로는 세종(1.52%), 대전(0.75%), 경기(0.44%), 인천(0.40%), 울산(0.19%), 충북(0.07%), 충남(0.04%) 등은 상승, 부산(0.00%)은 보합, 경북(-0.04..
2020년 2월 셋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18%, 전세 0.10% 각각 상승 한국감정원이 2020년 2월 3주(2.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18% 상승, 전세가격은 0.10%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18%]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23%→0.27%)은 상승폭 확대, 서울(0.01%→0.01%)은 상승폭 유지, 지방(0.05%→0.09%)은 상승폭 확대(5대광역시(0.07%→0.13%), 8개도(0.01%→0.02%), 세종(0.71%→1.41%))됐다. 시도별로는 세종(1.41%), 대전(0.53%), 경기(0.42%), 인천(0.30%), 울산(0.18%), 대구(0.07%), 충남(0.06%), 경남(0.05%), 충북(0.04%) 등은 상승, 경..
2020년 2월 둘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14%, 전세 0.10% 각각 상승 한국감정원이 2020년 2월 2주(2.1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14% 상승, 전세가격은 0.10%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14%]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13%→0.23%)은 상승폭 확대, 서울(0.01%→0.01%)은 상승폭 유지, 지방(0.04%→0.05%)은 상승폭 확대(5대광역시(0.06%→0.07%), 8개도(0.01%→0.01%), 세종(0.35%→0.71%))됐다. 시도별로는 세종(0.71%), 경기(0.39%), 대전(0.31%), 울산(0.13%), 인천(0.11%), 충북(0.07%), 대구(0.03%) 등은 상승, 전남(0.00%), 충남(0.00%)은 보..
2020년 2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08%, 전세 0.08% 각각 상승 한국감정원이 2020년 2월 1주(2.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8% 상승, 전세가격은 0.08%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8%]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13%→0.13%)은 상승폭 유지, 서울(0.02%→0.01%) 및 지방(0.06%→0.04%)은 상승폭 축소(5대광역시(0.10%→0.06%), 8개도(0.02%→0.01%), 세종(0.44%→0.35%))됐다. 시도별로는 세종(0.35%), 경기(0.22%), 대전(0.17%), 울산(0.09%), 인천(0.07%), 대구(0.05%), 충남(0.04%), 제주(0.04%), 충북(0.03%) 등은 상승, 강원(-0.06%..
2020년 1월 전국 아파트 매매 0.37% 상승, 전세 0.45% 상승 ※ 본조사는 2019년 12월 10일부터 2020년 1월 13일까지의 변동을 조사함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 +0.28%] 전국 월간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28% 상승했다. 수도권(0.62%→0.39%) 및 서울(0.86%→0.34%)은 상승폭 축소, 지방(0.16%→0.17%)은 상승폭 확대(5대광역시(0.46%→0.39%), 8개도(-0.04%→-0.02%), 세종(0.83%→1.84%))됐다. (수도권) 서울은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12.16)’ 영향으로 매수세 급감하며 전체 25개 구 중 24개 구에서 상승폭 축소, 경기·인천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는 가운데 교통 및 정비사업 등 개발호재와 서울 출퇴근 수요 등으로 상승했으나 상승폭은 축소 (서울 강북14개구) 마포구(0.41%)는 공덕·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