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제주개오지, 2024년 1월 이달의 해양생물 선정

반응형

해양수산부는 2024년 1월 이달의 해양생물로 제주개오지(Lyncina vitellus)를 선정했다. 제주개오지는 개오지과에 속하는 연체동물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20여 종이 서식하고 있다. 이 중 제주개오지는 가장 큰 종으로, 성체는 최대 10cm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024년 1월 이달의 해양생물 포스터

 

눈송이가 쌓인 집의 주인, ‘제주개오지’ 

제주개오지는 겉모양이 사람의 주먹 쥔 모양을 닮았고, 껍질은 두껍고 단단하며 등면은 광택이 난다. 겉모양이 화려하여 예로부터 노리개 등 장식용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제주개오지는 아열대 및 열대 지역의 수심 25m 사이 해역에 서식하며, 특히 제주도 문섬, 범섬, 섶섬 주변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제주개오지는 아열대·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희귀 해양생물로, 화려한 외모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며 “이번 이달의 해양생물 선정을 통해 제주개오지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보호 의식을 높이고자 한다”고 말했다.


제주개오지, 아열대·열대해역 서식하는 최대 개오지 종

제주개오지는 개오지과에 속하는 연체동물로, 전 세계적으로 약 20여 종이 서식하고 있다. 이 중 제주개오지는 가장 큰 종으로, 성체는 최대 10cm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개오지는 겉모양이 사람의 주먹 쥔 모양을 닮았고, 껍질은 두껍고 단단하며 등면은 광택이 난다. 껍질의 색깔은 주로 암청색 또는 흑갈색을 띠며, 표면에 흰색 또는 붉은색의 무늬가 있다.

제주개오지는 아열대 및 열대 지역의 수심 25m 사이 해역에 서식하며, 특히 제주도 문섬, 범섬, 섶섬 주변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개오지는 먹이로 조류, 성게, 해면 등을 먹으며, 번식기는 6월에서 8월이다.


제주개오지, 화려한 외모로 장식용으로 활용

제주개오지는 겉모양이 화려하여 예로부터 노리개 등 장식용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제주도에서는 제주개오지의 등껍질을 가공하여 만든 장신구를 ‘개오지 장신구’라고 부르며, 전통적으로 귀걸이, 팔찌, 목걸이 등으로 만들어 착용했다.

제주개오지의 장신구는 제주도에서만 볼 수 있는 전통적인 민속공예품으로, 많은 관광객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최근에는 제주개오지의 화려한 외모를 활용하여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주도에서는 제주개오지의 껍질을 활용하여 만든 액세서리, 인테리어 소품, 기념품 등이 판매되고 있다.

제주개오지의 화려한 외모는 우리에게 아름다움을 선사할 뿐만 아니라, 제주도만의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보여주는 상징이기도 하다. 제주개오지의 보호를 통해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문화를 함께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제주개오지, 보호가 필요한 희귀 해양생물

제주개오지는 아열대·열대 해역에 서식하는 희귀 해양생물로,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서 관심대상(LC)으로 분류되어 있다.

제주개오지의 개체 수는 최근 몇 년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해양오염, 기후변화, 남획 등의 영향으로 추측된다.

해양수산부는 제주개오지의 보호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제주개오지의 서식지 보호를 위한 해양보호구역 지정
  • 제주개오지 보호를 위한 교육 및 홍보 활동 강화
  • 제주개오지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연구개발

해양수산부는 제주개오지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과 보호 의식 제고를 통해, 제주개오지가 건강하게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제주개오지 보호를 위한 생활 속 실천

제주개오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생활 속 실천이 필요하다.

  • 해양오염을 줄이기 위해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생활하수 및 오수의 적절한 처리에 참여한다.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노력을 한다.
  • 남획을 방지하기 위해 불법조업 근절에 동참한다.

제주개오지는 우리에게 아름다운 모습을 선사하는 소중한 해양생물이다. 제주개오지의 보호를 위해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하자.

 

제주개오지를 비롯한 해양생물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해양생명자원통합정보시스템(MBRIS)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해양수산부

 

 

2023년 12월 해양생물 ‘참고래’, 지구에서 두 번째로 큰 해양포유류

해양수산부는 2023년 12월 ‘이달의 해양생물’로 지구상에 현존하는 동물 중 두 번째로 큰 ‘참고래’를 선정하였다. 참고래는 몸길이가 최대 24m, 몸무게는 75톤에 육박하는 거대한 해양포유류

webdraw.tistory.com

 

반응형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 share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