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홈택스

(11)
추석 전 지급되는 근로자녀장려금! 혜택 및 신청 방법 안내 2023년 국세청은 저소득 근로자와 그 가족을 위한 지원책으로 근로·자녀장려금을 지급합니다. 특히 이번 지급은 추석을 앞두고 가계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법정기한(9.30.)보다 한 달 빠른 8월 29일에 지급되었습니다. 전년 대비 대폭 확대된 이번 장려금 제도로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장려금 신청 및 확인  이 글에서는 지급 대상, 금액, 신청 방법, 그리고 주의해야 할 사항을 상세히 안내하며, 이러한 정보를 통해 장려금 신청과 수령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지급 대상 및 금액2023년 귀속 근로·자녀장려금은 총 299만 가구에 지급되며, 그 규모는 무려 3조 1,705억 원에 달합니다. 근로장려금은 218만 가구에 2조 3,836억 원이, 자..
부가가치세 변경: 간이과세 기준 상향과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의무 2024년 7월부터 시행되는 부가가치세 제도 변경 사항은 소상공인의 세부담을 경감하고 거래 투명성을 제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간이과세 적용 기준 상향,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의무 확대 등 주요 변경 사항을 소개합니다. 이러한 변경 사항은 사업자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세무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돕고, 투명한 거래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간이과세 적용 기준 상향2024년 7월 1일부터 간이과세 적용 기준금액이 기존 8천만 원에서 1억4백만 원으로 상향됩니다. 이에 따라 많은 영세사업자들이 간이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간이과세는 소규모 사업자가 비교적 낮은 세율로 부가가치세를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세금 부담을 줄이고 신고 절차를 간소화하는 효과..
2022년 제1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7월 25일까지 신고·납부 2022년 제1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대상자 613만 명은 7월 25일(월)까지 부가가치세를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 2022년 제1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대상자: 개인 일반과세자 496만 명, 법인사업자 117만 개 또한, 세법개정에 따라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간이과세자도 신고의무가 신설되어 7월 25일(월)까지 부가가치세를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지 않은 간이과세자는 고지된 세액을 7월 25일(월)까지 납부하면 됩니다. (세정지원) 국세청은 코로나19 피해 사업자 등의 신속한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납부기한 연장 등 적극적 세정지원을 실시합니다. 방역조치로 매출이 감소한 개인사업자(41만명)에 대해 납부기한을 2개월(9.30.까지) 직권 연장하고, 그 밖에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
2021년 제2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1월 25일(화)까지 신고·납부 2022년 1월은 부가가치세를 확정 신고·납부하는 달로서, 개인·법인 과세사업자 전체는 신고대상 과세기간의 사업실적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1월 25일(화)까지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이번 신고 대상자는 817만 명으로, 지난 해 확정신고 인원(768만 명) 보다 49만 명(법인 10↑, 개인 39↑) 증가하였습니다. * 법인사업자 113만 명, 개인사업자 704만 명(일반 475만 명, 간이 229만 명) (전자신고)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에서 신고서 주요 항목을 바로 조회하여 채울 수 있는 ‘미리채움’(28종) 서비스를 이용하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고서 접수가 집중되는 시기에 홈택스 이용시간을 종전 24시에서 다음날 새벽 1시까지 연장 운영하여..
공공웹사이트에서 카카오‧PASS 등과 같은 민간전자서명 이용 1월 13일부터 공공웹사이트에서도 카카오‧PASS 등과 같은 민간전자서명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15일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국세청)에 앞서 13일 정부24 ‘연말정산용 주민등록등본 발급 서비스’(행정안전부)에서 처음으로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와 함께 민간 전자서명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29일부터는 국민신문고 ‘민원․제안 신청 서비스’(국민권익위원회)에도 적용된다. 개정된 전자서명법이 지난 2020년 12월 10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공인인증서 제도가 폐지되어 민간의 다양한 전자서명에도 동등한 법적 효력이 부여되었다. 정부는 2020년 9월부터 “공공분야 전자서명 확대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을 진행하였고, 카카오, 통신사PASS(SKT, KT, LGU+), 한국정보인증..
2020년 제2기 확정 부가가치세 개인사업자 2/25일까지 신고·납부 (신고개요) 이번 2020년 제2기 확정 부가가치세 신고·납부는 법인사업자(103만명)의 경우 1월 25일(월)까지, 개인사업자(665만 명)의 경우 2월 25일(목)까지 하시면 됩니다. 국세청은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고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사업자를 지원하기 위해 “개인사업자”에 대해 이번 부가가치세 신고기한을 1개월 직권 연장하였습니다. (세정지원) 개인사업자 납부세액 감면1)·면제2) 등 세제지원과 중소기업 등 경영이 어려운 사업자에 대한 환급금 조기지급, 납기연장 등 세정지원을 적극적으로 실시합니다. 1) 과세기간(6개월) 공급가액 4천만원 이하 개인 일반과세자는 간이과세자 수준으로 감면 2) 간이과세자 납부의무면제 기준금액을 30백만원에서 48백만원으로 상향 (사전안내)성실신고를 지원하기 위해..
[영상] 2019년 제2기 확정 부가가치세 1월 28일까지 신고 올해부터는 매출액 3천만 원 미만 간이과세자도 모바일 홈택스 앱을 통해 신고할 수 있도록 모바일 신고대상이 확대됩니다. 또, 일선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납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올해 1월10일부터 세무서 ‘개인납세과’를 ‘부가가치세과’와 ‘소득세과’로 개편하는데요. 달라진 2019년 제2기 확정 부가가치세 신고·납부 안내, 지금 시작합니다. 출처: 국세청
2019년분 종합부동산세 납부안내문 발송, 12월 16일까지 납부 국세청은 2019년분 종합부동산세 납세의무자에게 납세고지서와 납부안내문을 발송하였습니다. 금년도 납세고지받은 납세의무자는 59만5천명, 세액은 3조3,471억원으로, 인원은 전년 고지 대비 12만9천명(+27.7%), 세액은 1조2,323억원(+58.3%)이 증가하였습니다. * 고지 후 합산배제 신청 등으로 최종 세액은 고지 대비 약 8% 감소(2018년 2.15조 고지→ 최종 1.88조)되는 점을 감안시, 2019년 최종세액은 약 3조1천억원 전망 납세인원과 세액의 증가는 종합부동산세법 개정과 공시가격 정상화에 따른 효과로 분석됩니다. 부동산 자산에 대한 과세형평성 제고를 위하여 2018년 종합부동산세법 개정으로 다주택자 및 고가 주택 소유자에 대한 과세를 강화하였으며, 공시가격은 상대적으로 불균형성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