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소비자원

(51)
상위 4개 중고거래앱 소비자 만족 조사 결과, 응답자 23.8% 피해 경험 실용적 소비문화 확산과 개인 간 거래 등 거래방식의 다양화로 중고거래앱을 이용한 거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상위 4개 중고거래앱 이용 경험자의 소비자 만족도 등을 조사한 결과, 서비스 체험 만족도가 가장 낮고, 응답자의 23.8%는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중고거래 거래액 규모 : (’08년) 약 4조원 → (’20년) 약 20조원으로 추정(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20) ■ 조사개요 o 조사대상 : 당근마켓, 번개장터, 중고나라, 헬로마켓(이용자수‧거래금액 규모 등 상위 4개 업체, 가나다순) o 조사방법 : 최근 3개월 이내 중고거래앱 이용 경험이 있는 10대~50대 이상 소비자 1,150명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22. 4. 6. ∼ 4. 20.) 실시 o 분석개요..
소비자원, 12개 브랜드 스포츠 티셔츠 품질비교 기능성 스포츠 티셔츠는 운동을 위한 기본적인 의류로 소비자의 관심이 높은 제품이지만, 흡한속건성 등 기능성과 품질 및 안전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 흡한속건성: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건조시키는 기능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에게 객관적인 제품 선택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12개 브랜드의 스포츠 티셔츠에 대한 품질 및 안전성 등을 시험한 결과, 내구성은 전 제품이 한국소비자원의 섬유제품권장품질기준(이하 권장기준)을 충족했으나, 흡수성, 건조속도, 색상변화 등은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다. ■ 스포츠 티셔츠 품질비교 ㅇ 대상 제품 : 빠른 땀 흡수와 건조를 광고하는 라운드형의 검은색 반팔 티셔츠(폴리에스터 소재 제품) ㅇ 조사 항목 : 품질(기능성, 내구성, 색상변화 등), 안전성(pH, ..
소비자원, 스마트워치 8개 제품 품질비교시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스마트워치를 활용하여 건강관리를 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 *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문자・전화 수발신 뿐 아니라 심박수, 걸음수, 혈중산소농도 측정 등의 건강관리가 가능한 대표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에게 객관적인 제품선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스마트워치 8개 브랜드, 8개 제품을 종합적으로 시험・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제품별로 운동량 측정 정확도, 배터리 사용 시간 등의 핵심 성능에 차이가 있어 주로 사용하는 용도, 제품 가격을 고려한 합리적인 제품 선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심박수ㆍ걸음수 등의 운동량 측정 정확도, 제품 간 차이 있어 * 스마트워치와 정밀측정장비를 착용하고 실내외 걷기(6km/h, 30분 : 설..
8개 브랜드 3겹 화장지에 대해 품질, 안전성 및 표시사항 등 시험 화장실용 화장지는 대표적인 국민 다소비 제품으로 다양한 제품이 판매되나, 이에 대한 품질 및 안전 정보는 부족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소비자에게 객관적인 상품 선택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8개 브랜드의 3겹 화장지(천연펄프 제품 8개, 재생펄프 제품 5개)에 대해 품질, 안전성 및 표시사항 등을 시험했다. * 천연펄프 : 목재 등 자연에서 얻어진 재료로 만들어진 펄프 * 재생펄프 : 자원재활용을 위해 우유팩, 종이컵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펄프 시험 결과, 흡수량은 모든 제품이 우수했고 안전성 및 표시사항은 전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그러나 화장지의 튼튼한 정도인 파열강도와 가루 떨어짐 및 물 풀림성 등은 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흡수량은 모든 제품이 우수하나, 파열강도,..
로열젤리제품 20개 대상, 안전실태 조사 결과 코로나19 환경의 장기화로 건강과 면역력 향상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로열젤리 관련 제품의 수입·판매량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로열젤리 관련 제품 20개를 대상으로 품질을 점검한 결과, 해외직구를 통해 유통되는 일부 제품은 최소한의 품질기준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필요했다. * 온라인 판매(14개), 홈쇼핑(온라인) 판매(3개) 및 주요 백화점 오프라인 판매 제품(3개) 선정 ■ 일부 해외직구 제품의 10-HDA 함량은 국내 ‘로열젤리제품’ 기준에도 미달 로열젤리 관련 제품은 ‘로열젤리류’로 분류되고, 세부적으로는 순수하게 로열젤리만을 원료로 한 것은 ‘로열젤리’, 첨가물을 포함시켜 제조·가공한 것은 ‘로열젤리제품’으로 구분된다. 로열젤리..
2005년 9월 이전에 생산된 뚜껑형 구조 모델 위니아딤채 리콜 조치 한국소비자원과 국가기술표준원은 현재 리콜이 진행 중인 ㈜위니아딤채의 노후 김치냉장고로 인한 화재가 계속 발생하고 있어 노후 김치냉장고 화재 발생 방지를 위한 소비자안전주의보를 공동으로 발령했다. 리콜 대상인 김치냉장고는 2005년 9월 이전에 생산된 뚜껑형 구조 모델로, 제품 노후에 따른 일종의 내부부품 합선으로 화재빈도가 높아 ㈜위니아딤채는 2020년 12월 2일부터 자발적 리콜을 실시하고 있다. 리콜 공표 이후 한국소비자원과 국가기술표준원, 해당 제조사의 적극인 홍보 및 안내 활동으로 해당 제품에 대한 리콜이행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여전히 추가 화재가 발생하고 있어 이번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을 통해 해당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반드시 리콜 조치를 받도록 요청하게 된 것이다. * 202..
암보험, 대장암과 갑상선암 관련 피해구제 신청 가장 많아 소비자가 암으로 진단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보험사가 자체적인 의료자문을 시행하거나 설명하지 않은 약관상 면책사항을 근거로 암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사가 암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경우에도 법원 판례 등으로 비추어 볼 때 암보험금 지급이 가능할 수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 암보험, 대장암과 갑상선암 관련 피해구제 신청이 가장 많아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3년간(2018 ~ 2020년) 접수된 암보험 관련 피해구제 신청 451건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보험금 지급을 거절하거나 과소 지급하는 등의 ‘암보험금 지급’ 관련 피해구제 신청이 88.2%(398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 피해구제 신청 : (2018년) 164건 → (2019년) 132건 → (2020년)..
소비자원 사칭 스미싱 피해예방주의보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한국소비자원을 사칭한 사기성 문자메시지(SMS)를 받았다는 신고가 급증해 소비자 피해예방주의보를 발령했다. * 9월 7일 하루 동안 한국소비자원 대표번호 및 1372소비자상담센터를 통한 소비자들의 문의 전화가 100여건 접수 한국소비자원이 확인한 바에 따르면, 소비자에게 “구글페이 등을 통해 제품 구입 및 특정 금액이 결제되었으니 기관 전화번호로 문의바란다”는 문자 메시지를 보내어 이에 현혹되어 전화를 걸 경우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더욱이 알려준 전화번호(1670-2108, 02-859-0108)로 연락할 경우 1372소비자상담센터와 유사한 ARS멘트를 사용하고 있어 소비자가 속을 우려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이 개인 거래나 결제와 관련하여 문자메시지를 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