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무역수지

(18)
2023년 9월 수출 4.4%↓ 546.6억달러, 수입 16.5%↓ 509.6억달러 [총괄] 2023.9월 수출은 전년 대비 △4.4% 감소한 546.6억 달러, 수입은 △16.5% 감소한 509.6억 달러, 무역수지는 37.0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수출] 9월에는 수출이 감소세로 전환된 작년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출 감소율을 기록하며, 2개월 연속 한 자릿수 감소율을 이어나갔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 또한 26억 달러로 작년 10월 이후 최고 실적을 보이며, 작년 9월(26.6억 달러)과 매우 근접한 수치를 기록하였다. 한편 수출물량은 수출액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0.3% 증가하였다. * 수출 증감률(%):(2023.1분기)△12.7 → (2분기)△12.0 → (7월)△16.2 → (8월)△8.3 → (9월)△4.4 * 수출물량 증감률(%):(2023.1월)..
2023년 6월 수출 6.0%↓ 542.4억달러, 수입 11.7%↓ 531.1억달러 2023년 6월 수출은 전년비 6.0% 감소한 542.4억 달러, 수입은 11.7% 감소한 531.1억 달러, 무역수지는 11.3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수출은 반도체 업황 회복지연, 작년 6월 수출이 역대 6月 기준 최고 실적(577억 달러)을 기록한 데 따른 逆기저효과 등으로 감소하였다. 다만, 수출 감소율은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 수출감소율(%) : (2023.1월)△16.4 → (2월)△7.7 → (3월)△13.8 → (4월)△14.4 → (5월)△15.2 → (6월)△6.0 [품목별 수출] 자동차(+58.3%), 일반기계(+8.1%), 선박(+98.6%), 이차전지(+16.3%) 등 7개 품목의 수출은 증가하였으며, 자동차 수출은 지난 3월 이후 60억 달러 이상의 수출..
2023년 3월 수출 13.6%↓ 551.2억달러, 수입 6.4%↓ 597.5억 달러 2023년 3월 수출은 전년동월보다 △13.6% 감소한 551.2억 달러, 수입은 △6.4% 감소한 597.5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무역수지는 △46.2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다. 3월 수출은 글로벌 경기둔화, 반도체 업황 악화, 작년 3월 수출이 역대 최고실적(638억 달러)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감소했으나, 수출규모는 2022년 9월(572억 달러) 이후 6개월 만에 550억 달러대를 회복하였다. 자동차(+64.2%)·이차전지(+1.0%) 등 車 관련 품목 수출은 증가했으나, 반도체(△34.5%)·디스플레이(△41.6%) 등 IT품목, 석유화학(△25.1%)·철강(△10.7%) 등 중간재 품목 수출은 감소하였다. 특히,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는 제품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수출이 크게 줄..
2022년 수출 6.1%↑, 수입 18.9%↑,무역액 12.4%↑, 수지 472억불 적자 2022년 수출은 전년비 +6.1% 증가한 6,839억 달러를 기록했으며,일평균 수출은 전년비 +6.3% 증가한 25.1억 달러를 기록 러·우 전쟁, 3고 현상 등으로 경제성장이 둔화되는 등 우리 수출여건이 결코 우호적이지 않았음에도 불구, 2년 연속 수출 증가 기록 * 2022년 경제전망 변화(IMF, 2022.1월→2022.10월, %) : (세계)4.4→3.2, (미국)4.0→1.6,(중국)4.8→3.2, (유로존)3.9→3.1 2022년 수입은 전년비 +18.9% 증가한 7,312억 달러 공급측면 불안정성 심화로 수입의존도가 높은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수입은 2021년(+31.5%, 6,151억 달러)에 이어 높은 증가세 기록 (무역) 2022년 무역액은 전년비 +12.4% 증가한 1조 4,1..
2021년 3월 수출 전년동기비 16.5% 증가한 538억 달러 1. 수출 현황 전년 동월 대비 16.5% 증가한 538억 달러 기록 반도체(8.3%)․승용차(14.7%)․석유제품(17.4%)․선박(67.3%)․자동차 부품(12.1%)․무선통신기기(8.5%)․가전제품(2.4%) 등 증가, 액정디바이스(△22.8%)는 감소 중국(26.0%)․미국(9.2%)․유럽연합(36.7%)․베트남(5.4%)․대만(51.3%) 등은 증가, 일본(△2.6%)․중동(△17.5%) 등은 감소 (수출중량) 전년 동월 대비 8.2% 감소한 1,626만 톤 (주요품목별) 석유제품․가전제품․무선통신기기․반도체․승용차․자동차 부품․선박 등은 증가, 액정디바이스는 감소 (석유제품) 전년 동월 대비 17.4% 증가한 27억 6천만 달러 (철강제품) 전년 동월 대비 14.8% 증가한 41억 9천만 달러..
2021년 2월 수출 전년동기비 9.5% 증가한 448억 달러 1. 수출 현황 전년 동월 대비 9.5% 증가한 448억 달러 기록 반도체(12.6%)․승용차(48.5%)․자동차 부품(7.2%)․무선통신기기(23.2%)․선박(4.9%)․가전제품(3.8%)․액정디바이스(8.6%) 등 증가, 석유제품(△13.4%)은 감소 중국(26.9%)․미국(7.9%)․유럽연합(48.2%)․대만(56.4%) 등은 증가, 베트남(△0.6%)․일본(△3.7%)․중동(△23.8%)․싱가포르(△39.5%) 등은 감소 (수출중량) 전년 동월 대비 10.8% 감소한 1,448만 톤 (주요품목별) 가전제품․무선통신기기․반도체․액정디바이스․승용차․선박 등은 증가, 석유제품은 감소 (석유제품) 전년 동월 대비 13.4% 감소한 24억 달러 (철강제품) 전년 동월 대비 4.5% 증가한 35억 4천만 달..
2021년 1월 수출 전년동기비 11.4% 증가한 480억 달러 2021년 1월 수출 480억 달러, 수입 441억 달러, 무역수지 40억 달러 흑자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1.4%(49.0억 달러↑) 증가, 수입 3.1%(13.4억 달러↑) 증가(무역수지 9개월 연속 흑자) ※ 조업일수[(2020)21.5일,(2021)22.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0.1.)20.1,(2021.1.)21.3억 달러]] 6.4% 증가 출처: 관세청
2020년 11월 수출 전년동기비 4.1% 증가한 399억 달러 2020년 11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4.1% 증가한 458억 달러, 수입은 1.9% 감소한 399억 달러로, 무역흑자 59억 달러를 기록하여 7개월 연속 흑자 1. 수출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반도체(16.4.%)․승용차(2.5%)․무선통신기기(37.5%)․자동차 부품(7.0%)․선박(32.0%) 등은 증가, 석유제품(△49.1%)․가전제품(△7.9%) 등은 감소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중국(1.2%), 미국(6.8%), EU(24.6%), 베트남(11.2%) 등 증가, 일본(△12.1%), 중동(△20.7%) 등 감소 2. 수입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기계류(2.7%)․승용차(73.8%)는 증가, 원유(△51.1%)․의류(△6.9%)는 감소 (소비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