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망고, 감말랭이 등 건조 과채류를 섭취하는 소비자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건조 과채류 30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식품첨가물을 넣지 않았다고 표시·광고한 일부 제품에서 이산화황(SO2)이 검출돼 개선이 필요하다.
* 건망고 10개, 감말랭이 10개, 고구마말랭이 10개
■ ‘무첨가’ 표시·광고하고 있는 일부 제품에서 이산화황 검출돼
식품첨가물인 아황산염류는 이산화황 잔류량 기준으로 사용량을 준수해야 하고 일부 민감한 사람이 섭취하면 과민반응이 일어날 수 있어 최종 제품에 이산화황이 10mg/kg 이상 잔류할 시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를 해야 한다.
* 갈변·산화 및 미생물 생장을 억제하는 용도의 식품첨가물,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시험검사 결과, 조사대상 30개 전 제품은 이산화황이 검출되지 않거나 기준 이내로 검출돼 적합했다. 그러나 제품 또는 판매페이지에 식품첨가물을 ‘무첨가’했다고 표시·광고한 20개 중 6개 제품에서 0.022 ~ 0.089g/kg 수준의 이산화황이 검출돼 사실과 다른 표시·광고를 하고 있었다.
* 건조 과일류 1.0g/kg 미만, 서류가공품 0.03g/kg 미만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제8조에 따라 식품 등의 제조 방법·성분 등에 관해 부당한 표시 또는 광고 행위를 할 수 없음.
■ 농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 마련 필요
한편, 조사대상 감말랭이 10개 중 9개 제품은 농산물에 해당되는데, 이 중 7개 제품에서 이산화황이 0.027 ~ 0.106g/kg 수준으로 검출돼 유황으로 훈증처리 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유황 훈증처리는 아황산류를 원재료로 첨가한 것으로 보지 않아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어 천식 환자 등 질환자가 해당 제품을 회피할 방법이 없어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았다.
* 유황을 태워 발생하는 이산화황 가스(SO2, 무수아황산)가 과일 표면에 엷은 막을 형성해 갈변·부패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이때 이산화황이 잔류할 수 있음.
* 아황산류를 첨가해 최종 제품에 이산화황이 10mg/kg 이상 잔류 시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를 해야하나(「식품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총리령 제1731호)[별표.2]) 유황 훈증으로 발생된 무수아황산은 원재료로써 직접 첨가한 것으로 보지 않아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 대상에서 제외됨.
따라서 농산물에 유황훈증을 금지하거나 식품첨가물로 허용된 아황산염류를 사용해 가공식품으로 제조·판매되도록 하는 등의 안전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식품원료(농·임·축·수산물 등)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제조·가공·포장할 경우 가공식품으로 분류되어 한글표시 생략이 불가하므로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이 가능함.(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식품등의 표시기준」참조)
■ 아황산염류 중 ‘무수아황산’의 성분규격 마련 필요
국내에는 6종의 아황산염류(산성아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 무수아황산, 메타중아황산칼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가 식품첨가물로 허용되어 있으나 이 중 무수아황산은 성분규격(함량, 성상, 순도시험 등)이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식품첨가물로서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우리나라도 유럽연합(EU)·중국 등과 같이 무수아황산에 대한 성분규격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건조 과채류 제품의 표시·광고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유황처리 농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 및 무수아황산의 성분규격 마련을 요청할 예정이다.
아울러 아황산염류에 민감한 소비자는 반드시 식품의 표시사항을 꼼꼼히 확인하고 구입할 것을 당부했다.
출처 : 한국소비자원
'생활·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새해 희망 기원 ‘삼성전자 세일 페스타’ 개최 (0) | 2021.12.26 |
---|---|
소비자원, 이미용품 리필스테이션 가격 비교 (0) | 2021.12.25 |
[카드뉴스] 식기세척기 5개 제품 대상, 품질비교 (0) | 2021.12.17 |
아파트 옵션 계약 시, ‘가전제품’ 피해가 가장 많아 (0) | 2021.12.17 |
상조서비스, 계약 해제·해지 관련 피해 58.7% (0) | 2021.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