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21년 세계경제전망 발표 1. OECD는 2021년 한국경제 성장률은 3.8%로 전망(기존 3월 전망 대비 +0.5%p) ① 최근 빠르고 강한 회복세를 반영하여 성장률 전망 대폭 상향 * 2021년 성장률 전망 조정폭(2021.3월→2021.5월, %p) : (세계)+0.2 (G20)+0.1 (한국)+0.5 (미국)+0.4 (독일)+0.3 (일본)△0.1 (프랑스)△0.1 한국경제 1/4분기 성장률은 1.6%로 OECD 평균(0.3%)을 큰폭 상회하고, 美·加와 함께 주요선진국 중 가장 높은 수준 * 2021.1/4 성장률(전기비, %) : (한‧미‧캐나다)1.6 (유로존)△0.6 (일본)△1.3 (영국)△1.5 주요 선진국 중 가장 빠르게 1/4분기중 위기 전 GDP 수준 회복 * 경제규모 10위권내 선진국 중에서 유일하게 1.. ‘OECD 교육지표 2020’ 주요 지표 분석·발표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에서 2020년 9월 8일 11:00(프랑스 기준)에 공개하는「OECD 교육지표 2020」의 주요 지표를 분석·발표했다. 「OECD 교육지표」는 회원국들이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교육의 사회적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국제 비교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교육정책 수립 및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조사 근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관한 협약(’96.12.18., 조약 제1358호)◈ (조사 대상) 46개국(OECD 회원국 38개국, 비회원국 8개국)◈ (조사 내용) 학생, 교원, 재정, 교육 참여 및 성과 등 교육 전반에 관한 사항◈ (조사 기준연도) 학생·교원(2018년~2019년), 재정(2017년), 교육 참여·성과(201.. 세계은행(World Bank) 발표, 2020년 세계 경제성장률 2.5% 전망 세계 경제성장률은 예상보다 부진한 무역·투자 성과를 반영하여 2019.6월 전망 대비 0.2%p 하향 조정한 2.5%로 전망 * 성장률 전망(%, 시장환율 기준): (2020) 2.5 → (2021) 2.6 → (2022) 2.7 ※ IMF·OECD 등은 PPP환율 기준으로 성장률 전망, WB 전망(시장환율 기준)을 PPP기준으로 환산시 3.2%(IMF(2019.10) 3.4%, OECD(2019.11) 2.9%) 선진국은 지속된 제조업 부진과 무역분쟁에 따라 0.1%p 하향 조정된 1.4% 예상 신흥시장·개도국은 무역과 투자 둔화 등으로 0.5%p 낮은 4.1%로 전망 지역별로는 동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무역 긴장에 따른 국제 무역 축소 등으로 2019년 5.8%에서 2020년 5.7%로 성장세 둔화 전..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