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아파트 가격동향

(179)
2020년 6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09%, 전세 0.08% 각각 상승 한국감정원이 2020년 6월 1주(6.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9% 상승, 전세가격은 0.08%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9%]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10%→0.12%)은 상승폭 확대, 서울(-0.02%→0.00%)은 보합 전환, 지방(0.06%→0.07%)은 상승폭 확대(5대광역시(0.06%→0.08%), 8개도(0.05%→0.05%), 세종(0.28%→0.44%))됐다. 시도별로는 대전(0.46%), 세종(0.44%), 충북(0.44%), 인천(0.21%), 경기(0.17%) 등은 상승, 서울(0.00%)은 보합, 경북(-0.07%), 제주(-0.04%), 광주(-0.0..
2020년 5월 전국 주택가격 매매 0.14%, 전세 0.09%, 월세 0.01% 각각 상승 1.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 +0.14% 전국 월간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14% 상승했다. 수도권(0.51%→0.25%)은 상승폭 축소, 서울(-0.02%→-0.09%)은 하락폭 확대, 지방(0.05%→0.03%)은 상승폭 축소(5대광역시(0.10%→0.06%), 8개도(-0.01%→0.00%), 세종(1.50%→0.32%))됐다. (수도권)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와 보유세 부담 영향 등으로 매수심리 위축된 가운데, 서울(-0.09%)은 강남권 고가주택 위주로 급매물 출현하며 하락폭 확대됐고, 경기(0.40%)·인천(0.59%)은 그 간 상승폭 낮았던 지역 위주로 상승했으나 지난달 대비 상승폭은 축소 (서울 강북14개구) 중랑(0.04%)·강북구(0.02%) 등은 중저가 단지 수요로 상승했..
2020년 5월 넷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08%, 전세 0.07% 각각 상승 한국감정원이 2020년 5월 4주(5.25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8% 상승, 전세가격은 0.07%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8%]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09%→0.10%)은 상승폭 확대, 서울(-0.04%→-0.02%)은 하락폭 축소, 지방(0.04%→0.06%)은 상승폭 확대(5대광역시(0.03%→0.06%), 8개도(0.04%→0.05%), 세종(0.24%→0.28%))됐다. 시도별로는 충북(0.35%), 대전(0.33%), 세종(0.28%), 인천(0.19%) 등은 상승, 경남(0.00%), 전북(0.00%), 부산(0.00%)은 보합, 제주(-0.04%), 경북(-0..
2020년 5월 셋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07%, 전세 0.04% 각각 상승 한국감정원이 2020년 5월 3주(5.18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7% 상승, 전세가격은 0.04%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7%]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07%→0.09%)은 상승폭 확대, 서울(-0.04%→-0.04%)은 하락폭 동일, 지방(0.02%→0.04%)은 상승폭 확대(5대광역시(0.02%→0.03%), 8개도(0.01%→0.04%), 세종(0.09%→0.24%))됐다. 시도별로는 충북(0.43%), 대전(0.27%), 세종(0.24%), 인천(0.22%), 경기(0.13%) 등은 상승, 제주(-0.04%), 서울(-0.04%), 경북(-0.03%), 광주(-0.0..
2020년 5월 둘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04%, 전세 0.05% 각각 상승 한국감정원이 2020년 5월 2주(5.1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4% 상승, 전세가격은 0.05%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4%]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0.06%→0.07%)은 상승폭 확대, 서울(-0.06%→-0.04%)은 하락폭 축소, 지방(0.00%→0.02%)은 보합에서 상승 전환(5대광역시(0.00%→0.02%), 8개도(0.00%→0.01%), 세종(0.08%→0.09%))됐다. 시도별로는 인천(0.24%), 대전(0.15%), 충북(0.11%), 경기(0.10%), 세종(0.09%) 등은 상승, 대구(0.00%)는 보합, 제주(-0.07%), 서울(-0.04%), ..
2020년 5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03%, 전세 0.04% 각각 상승 한국감정원이 2020년 5월 1주(5.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3% 상승, 전세가격은 0.04%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3%]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6%→0.06%)은 상승폭 동일, 서울(-0.07%→-0.06%)은 하락폭 축소, 지방(0.00%→0.00%)은 보합 유지(5대광역시(0.00%→0.00%), 8개도(-0.01%→0.00%), 세종(0.04%→0.08%))했다. 시도별로는 인천(0.22%), 경기(0.10%), 대전(0.08%), 세종(0.08%), 충북(0.08%) 등은 상승, 강원(0.00%)은 보합, 제주(-0.12%), 서울(-0.06%), 경북(-0.04..
2020년 4월 전국 주택가격 매매 0.27%, 전세 0.11%, 월세 0.01% 각각 상승 1.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 +0.27% 전국 월간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27% 상승했다. 수도권(0.93%→0.51%)은 상승폭 축소, 서울(0.13%→-0.02%)은 상승에서 하락 전환, 지방(0.19%→0.05%)은 상승폭 축소(5대광역시(0.26%→0.10%), 8개도(0.06%→-0.01%), 세종(4.24%→1.50%))됐다. (수도권) 코로나19와 보유세 부담 영향 등으로 매수심리 위축된 가운데, 서울은 2019.6월 이후 상승세가 10개월 만에 하락 전환됐고, 경기·인천은 서울 출퇴근 용이한 역세권 지역 또는 교통호재·정비사업 이주 수요 있는 지역 위주로 상승했으나 상승폭은 축소 (서울 강북14개구) 인기지역인 마포(0.01%)·용산(0.03%)·성동구(0.02%)는 고가의 대표 단지..
2020년 4월 넷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03%, 전세 0.04% 각각 상승 한국감정원이 2020년 4월 4주(4.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3% 상승, 전세가격은 0.04% 상승했다. 1.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3%]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수도권(0.08%→0.06%)은 상승폭 축소, 서울(-0.05%→-0.07%)은 하락폭 확대, 지방(-0.01%→0.00%)은 하락에서 보합 전환(5대광역시(-0.01%→0.00%), 8개도(-0.02%→-0.01%), 세종(0.06%→0.04%))됐다. 시도별로는 인천(0.24%), 경기(0.10%), 대전(0.09%), 충북(0.07%), 울산(0.04%) 등은 상승, 전남(0.00%)은 보합, 서울(-0.07%), 경북(-0.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