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물다양성

(13)
옥덩굴, 2024년 9월의 해양생물 선정 – 기후변화의 상징 해양수산부는 2024년 9월의 이달의 해양생물로 옥덩굴(Caulerpa okamurae)을 선정했습니다. 옥덩굴은 약 5~20cm 길이의 가지에서 포도와 같은 작은 가지들이 돋아나는 독특한 형태의 해조류로, 주로 암반에 붙어 자랍니다. 이 해조류는 원래 제주도와 동해안 일부 지역에 서식했으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지가 확장되어 현재는 강원도 주문진까지 발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기후변화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실감하게 해줍니다. 또한, 옥덩굴은 그 생태적 중요성으로 인해 더 많은 관심을 받아야 할 해양생물입니다. 옥덩굴의 생태적 특성과 중요성옥덩굴은 따뜻한 바다에 서식하는 아열대성 해조류로, 주로 조간대 하부에서 조하대까지 파도의 영향을 적게 받는 곳에서 발견됩니다. 여름철 수온이 상승..
여우, 2024년 9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 2024년 9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된 여우는 과거 우리나라 전역에서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포획과 2차 중독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했습니다. 여우는 과거 한국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포유동물이었지만, 1970년대 이후 쥐약으로 인한 2차 중독과 같은 이유로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1980년대에는 사실상 멸종 위기에 처했습니다. 이에 따라 소백산 복원 사업을 통해 현재 약 120마리가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의 생태와 보호 노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여우의 생태와 특징여우는 개과에 속하는 소형 포유동물로, 몸길이는 60~78cm, 꼬리는 40~50cm 정도이며 체중은 수컷이 5.9kg, 암컷이 5.2kg 내외입니다. 여우는 주로 야행성으로 활동하며, 산지의 숲, 초원, 바위틈이나 굴에..
부안종개, 변산반도에서 촬영된 멸종위기 담수생물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최근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 부안종개와 10여 종의 담수생물(쏘가리, 뱀장어, 돌고기, 줄새우, 두드럭징거미새우, 갈겨니, 피라미, 긴몰개, 밀어)이 공존하는 장면을 영상으로 촬영해 공개했습니다. 부안종개는 전북 부안군 백천에만 서식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이번 영상은 그들의 생태적 가치를 조명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변산반도국립공원 계곡 수생태계부안종개의 생태적 특성부안종개는 미꾸리과에 속하며, 전북 부안군 백천 상류의 1급수 지역에만 서식하는 고유종입니다. 길이 6~8cm의 작은 몸집을 가졌으며, 등쪽과 측면 중앙에 독특한 가로무늬가 특징입니다. 주로 물살이 느리고 자갈이 깔린 지역을 선호하며, 수질 변화에 민감한 종입니다.서식지 보호 활동국립공원공단은 부안종..
팔색조, 2024년 8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 매년 여름, 우리는 자연의 신비로움을 대표하는 손님, 팔색조를 맞이합니다. 이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무지개처럼 다양한 색깔을 자랑하며, 한국의 여름철새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팔색조를 8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보호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합니다.팔색조의 생태 및 외형팔색조(Pitta nympha)는 참새목 팔색조과에 속하는 중소형 조류로, 몸길이 16~20cm, 무게 68~155g의 다양한 깃털 색상을 자랑합니다. 검은색, 녹색, 푸른색, 빨간색 등의 색상이 햇빛에 따라 다채롭게 반사됩니다. 이들은 주로 하천, 계곡 주변의 울창한 숲에서 서식하며, 경계심이 강해 쉽게 모습을 드러내지 않습니다. 서식지와 번식팔색조는 바위틈이나 나무줄기 사이에 둥지를 만들며, 번식기는 5월..
장수하늘소, 광릉숲에서 11년 연속 발견! 국립수목원의 보호 노력 결실 광릉숲에서 11년 연속 발견된 장수하늘소는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로, 국립수목원의 보호와 복원 노력의 결실입니다. 이 글에서는 장수하늘소의 중요성과 복원 활동에 대해 살펴봅니다. 장수하늘소의 특징과 현황장수하늘소는 우리나라에서 1980년대 중반 이후 자취를 감추었으나, 2006년 광릉숲에서 다시 발견되었습니다. 그 후 2014년부터 11년 연속으로 서식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장수하늘소는 천연기념물 제218호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장수하늘소는 수컷 1개체로, 몸길이 84.4mm와 체중 9.4g으로 상태는 양호했습니다.  국립수목원의 복원 노력국립수목원은 ‘산림곤충스마트사육동’을 통해 장수하늘소 인공사육과 복원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매년 자..
산양 출현! 광릉숲, 자연보호구역으로 다시 주목받다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인 광릉숲에서 멸종위기종 산양이 처음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산양은 법적 보호종으로, 이번 발견은 자연보호와 생태계 복원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워줍니다. 이 글에서는 산양의 발견 배경과 중요성, 그리고 향후 계획을 다룹니다.  광릉숲과 생물다양성광릉숲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자연 보호구역입니다. 이곳은 지난 560년간 엄격한 보호 관리를 통해 장수하늘소, 광릉요강꽃, 수달 등 18종의 천연기념물과 21종의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물다양성 덕분에 광릉숲은 국내 최고의 자연 생태 보고로 알려져 있습니다.  광릉숲에서의 산양 최초 발견이번 산양의 출현은 담비의 행동권 관찰을 수행 중인 KBS 환경스페셜 촬영팀 카메라에 의해 포착되었..
표범장지뱀, 2024년 7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 표범장지뱀은 한국의 멸종 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주로 서해와 남해의 해안 사구에 서식합니다. 개발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표범장지뱀의 생태와 멸종 위기 원인, 그리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활동들을 소개합니다. 이를 통해 표범장지뱀의 보호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독자들이 보호 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자 합니다.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동물 선정 환경부는 매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선정하여 대중의 관심과 보호 활동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7월의 멸종위기 야생동물로 선정된 표범장지뱀은 이러한 캠페인의 일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캠페인은 멸종위기종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보호 활동에 대한 참여를 장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표범장지뱀 소개 ..
이달의 생태관광지, 2024년 7월 인제 대암산 용늪 선정 강원도 인제에 위치한 '대암산 용늪'은 국내 유일의 고층습원으로, 7월 생태관광지로 선정되었습니다. 이곳은 4천여 년의 자연 역사를 간직한 생태계의 보고로,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서식하는 생물다양성의 중심지입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대암산 용늪의 매력과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대암산 용늪의 특징 대암산 용늪은 해발 1,280m에 위치한 고층습원으로, 4천여 년 동안 식물이 썩지 않고 쌓여 형성된 이탄층이 있습니다. 이곳은 국내 유일의 람사르습지로 등록되어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931종이 서식하는 생물다양성의 보고입니다. 용늪의 독특한 자연환경과 생태적 중요성을 소개합니다. 대암산 용늪은 기온이 낮고 습도가 높아 식물이 썩지 않고 쌓이는 고유의 생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곳은 자연의 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