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월 수출은 전년동월(555억 달러)비 △16.6% 감소한 462.7억달러, 수입은 전년동월(605억 달러)비 △2.6% 감소한 589.6억달러, 무역수지는 △126.9억달러 적자
(품목) 주요 품목 중 자동차·석유제품·이차전지·선박 등 수출 증가
(증가 품목) 자동차·석유제품 수출은 두 자릿수 증가
(감소 품목) 반도체·석유화학·디스플레이·철강 등의 수출은 글로벌 수요둔화 등 영향으로 감소
(지역) 9대 주요 지역 가운데 EU·중동에 대한 수출은 증가
(증가 지역) EU·중동 수출은 근소한 차이로 증가하며 작년 말에 이어수출 증가 계속
(감소 지역)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긴축정책 등에 따른 경제성장 둔화 영향으로 중국·아세안·미국·일본·중남미 수출은 감소
■ 수출입 주요 특징
1. 글로벌 경기둔화가 확산되며 1월 수출 감소
高물가·高금리 지속 등으로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확대되는 가운데, 반도체 업황이 악화*되면서 1월 수출은 △16.6% 감소
* D램 고정가($) : (2022.1분기)3.41 → (2분기)3.37 → (3분기)2.86 → (4분기)2.21 → (2023.1월)1.81
우리 주요 수출국인 중국·베트남 등도 글로벌 경기둔화 영향으로 최근對세계 수출이 감소했으며, 그 영향으로 우리 對中·아세안 수출도 감소
* 중 국 對세계 수출증감률(%) : (2022.9월)5.9 → (10월)△0.3 → (11월)△8.9 → (12월)△9.9
* 베트남 對세계 수출증감률(%) : (2022.9월)12.4 → (10월)5.2 → (11월)△8.9 → (12월)△16.1
2022년 1월 수출이 2021.1월 대비 +15.5% 증가하며 역대 1월 중 최고실적(554.6억 달러)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도 일부 영향
다만, 중국·일본 등 非산유 제조강국에서 베트남 등 제조기반을 보유한 신흥국까지 주요국 대부분 수출 감소를 겪고 있는 상황
2. 반도체 수출 감소 속 車·선박 등 수출은 증가
주요 품목 중 자동차·이차전지·석유제품·선박 등의 품목은 수출 증가
자동차·이차전지 수출은 역대 1月 중 최고실적을 기록했으며, 선박 수출(+86.3%)은 高부가선박 수출 증가에 힘입어 2개월 연속 증가
다만, 반도체를 포함한 대다수 주요 품목 수출이 줄어들며 전체 수출 감소
특히, 반도체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약 △48억 달러 감소(△44.5%)하면서 2023.1월 수출 감소(수출감소분 중 약 52%)에 크게 영향
* 2023.1월 수출감소율(%) : (총수출)△16.6, (반도체)△44.5, (반도체外)△9.8
그 외 油化(△12.7억 달러)·철강(△9.5억 달러) 등 중간재 수출도 감소
3. 대표적 전략시장인 중동·EU向 수출은 증가
세계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에도 불구, 중동·EU向 수출은 증가
EU는 최대 수출품목인 자동차 수출 확대에 힘입어 수출 증가
* 자동차의 주요지역별 수출증감률(1.1~25일, %) : (미국)+25.7, (EU)+10.5, (중동)+17.1
중동은 자동차 外 인프라 투자와 밀접한 철강·일반기계 등도 증가하며 2022.11월 이후 3개월 연속 수출 증가
다만, 우리 핵심 수출시장인 중국·베트남은 경기둔화 영향으로 對세계 수출입이 모두 감소한 바, 이는 우리 對中·아세안 수출 감소에 영향
* 중 국 對세계 수출입 증감률(2022.11월→12월, %) : (수출)△8.9→△9.9, (수입)△10.6→△7.5
* 베트남 對세계 수출입 증감률(2022.11월→12월, %) : (수출)△8.9→△16.1, (수입)△7.6→△13.7
특히, 중국·아세안 내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제품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줄어든 것이 2023.1월 수출 감소에 크게 작용
4. 수입은 소폭 감소했으나, 에너지 수입은 150억 달러대 유지
2023.1월 수입은 전년동월 대비 △2.6% 줄어들었으며, 우리 月 수입은 2022.12월에 이어 2개월 연속 감소 기록△
* 月 수입증감률(%) : (2022.10월)+9.9 → (11월)+2.6 → (12월)△2.5 → (2023.1월)△2.6
다만, 수출이 더 큰 감소 폭을 기록하며 2023.1월도 무역적자 발생
2023.1월 수입 감소는 반도체·철강 등 원부자재 수입이 줄어든 데 기인
* 2023.1월 품목 수입증감률(%) : (반도체)△12.4, (철강)△11.8, (알루미늄괴)△31.0, (동광)△35.4
반면, 원유·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은 2023.1월(157.9억 달러)에도 150억 달러 이상의 대규모 수입흐름이 계속
* 에너지 수입액·증감률(억달러) : (원유)69.4(△10.0%), (가스)67.7(+6.0%), (석탄)20.8(+0.3%)
유가가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면서 원유 수입은 전년비 소폭 감소했으나, 동절기 안정적인 에너지 수급을 위해 가스·석탄 등은 수입규모 확대
* 유가(두바이유, $/bbl) : (2022.1월)83.47 → (3월)110.93 → (7월)103.14 → (10월)91.16 → (2023.1월)80.42
전년비 에너지 수입이 소폭 감소한 것은 2022.1월 3대 에너지 수입이 역대 1월 중 가장 큰 161.7억 달러를 기록한 데 기인
→ 다만, 2022년을 포함해 지난 10년간 1월 평균 에너지 수입(103억 달러)과 비교 시 2023.1월 에너지 수입액(158억 달러)은 상당히 큰 규모
* 에너지 수입(지난10년간1월 평균→2023.1월, 억 달러) : (원유)60.2→69.4, (가스)30.5→67.7
그 외 자동차·무선통신 수입도 전년비 늘어나면서 2023.1월 수입(△2.6%)이수출(△16.6%)보다 낮은 감소율을 기록하는 데 영향
* 2023.1월 품목 수입증감률(%) : (자동차)+53.1, (무선통신)+41.6
5. 수출 둔화 및 감소는 제조기반 수출강국 공통 현상
최근 수출 증가세 둔화는 우리나라처럼 부족한 에너지 부존량으로 에너지수입의존도가 높은 중국‧일본‧독일 등 수출강국에서 공통적으로 관측
중국은 2022.10월 이후 3개월 연속 수출이 감소했으며, 2022.12월에는△9.9%로 가장 큰 감소폭 기록
* 中 수출증감률(WTO, %) : (2022.8월)7.4 → (9월)5.9 → (10월)△0.3 → (11월)△8.9 → (12월)△9.9
일본은 2022.4월(△3.0%) 이후 12월까지 9개월 연속 수출 감소(달러 기준)
* 日 수출증감률(WTO, %) : (2022.8월)△0.9 → (9월)△0.9 → (10월)△3.6 → (11월)△4.0 → (12월)△5.9
반도체 중심의 수출구조로 2022.상반기 높은 수출증가율을 보인 대만도2022.9월 이후 11월까지 3개월 연속 수출 감소
* 대만 수출증감률(WTO, %) : (2022.7월)14.2 → (8월)1.4 → (9월)△7.3 → (10월)△1.1 → (11월)△12.0
獨·伊·佛 등 EU 국가도 2022년 수출 감소가 발생하는 등 증가세 둔화
* 獨 수출증감률(WTO, %) : (2022.7월)△5.1 → (8월)5.9 → (9월)0.8 → (10월)△6.0 → (11월)0.8
* 伊 수출증감률(WTO, %) : (2022.7월)0.6 → (8월)7.0 → (9월)2.6 → (10월)△0.3 → (11월)5.4
* 佛 수출증감률(WTO, %) : (2022.7월)△1.0 → (8월)8.2 → (9월)4.8 → (10월)△1.7 → (11월)2.7
대규모 에너지 수입에 따른 무역수지 악화 또한 일본·독일·이탈리아 등을 비롯한 非산유 제조기반 수출강국에서 공통적으로 관측
일본은 에너지 수입 급증이 계속되면서 전체 수입규모도 급증하고 있으며, 2021.8월 이후 2022.12월까지 17개월 연속으로 무역적자 발생→ 2022년 무역적자는 △19.93조엔(1,500억 달러 규모)
독일·이탈리아·프랑스 등 EU 국가도 2022년 들어 에너지 수입이 급격히증가하면서 무역수지 악화 및 무역적자 발생
→①독일은 2022.1~11월 무역흑자(733억 달러)가 전년비 △64.7% 감소②이탈리아는 2022.1~11월 무역적자(△336억 달러) 발생(2012~2021년 흑자)③프랑스는 2022.1~11월 무역적자(△1,827억 달러)가 전년비 +58.0% 확대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자산관리공사, 2월 6 ~ 8일 1,067억원 규모 877건 공매 (0) | 2023.02.04 |
---|---|
2023년 1월 생활물가 전월대비 1.0% 상승, 전년동월대비 6.1% 상승 (0) | 2023.02.02 |
2022년 12월 온라인쇼핑 전년동월대비 5.2% 증가 18조 7,423억원 (0) | 2023.02.02 |
2022년 12월 사업체 종사자 2.3%↑, 입직자 3.6%↓ 이직자 4.4%↓ (0) | 2023.02.01 |
2022년 12월 산업활동 1.6% 감소, 광공업·서비스업 등 생산 줄어 (0) | 202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