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455만 7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6만 5천명(+4.0%) 증가
고용보험 가입자는 내수 개선, 수출 호조 및 비대면, 디지털 전환 등에 힘입어 모든 업종에서 증가
전체 가입자수 증감(천명): (‘21.10)356→ (11)334→ (12)432→ (’22.1)548→ (2)565
제조업 증가세 지속, 비대면 디지털 수요 증가 및 대면서비스업 개선 등에 힘입어 2개월 연속 50만명 이상 증가
비대면·디지털 일자리 확대, 정부 일자리 사업, 두루누리사업, 고용유지지원금, 채용장려금 등 고용안전망 강화 노력을 지속해 온 결과
■ 모든 업종에서 증가
제조업은 내수 개선 및 수출 호조로 전자통신, 식료품, 금속가공, 전기장비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
제조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1.10)89→ (11)92→ (12)87→ (’22.1)88→ (2)82
서비스업도 보건 및 비대면 수요 증가, 디지털 전환 가속화,대면서비스업 개선에 힘입어 모든 업종에서 증가
서비스업 가입자수 증감(천명): (‘21.10)235→ (11)210→ (12)313→ (’22.1)426→ (2)449
다만, 세부업종별 고용회복 격차로 체감여건은 어려운 상황
비대면 서비스 확대로 창고,운송서비스(물류센터), 무점포소매업(온라인쇼핑), 비알콜음료점(카페)와 제조업·건설업 경기 회복 영향으로 사업시설관리, 인력공급, 경비,경호업 등은 대부분 업종에서 증가하였으나,
대면접촉도가 높은 육상운송(택시), 항공업, 백화점, 여행업 등은 감소를 지속하고 있어, 체감여건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
■ 모든 연령층에서 증가
인구 감소에도 전 연령에서 증가하였으며, 연령대별 증가는 업종별로 상이한 양상
39세이하는 출판영상통신(+36천명), 숙박음식(+30천명), 전문과학기술(+19천명) 등
60세이상은 보건복지(+77천명), 제조업(+42천명), 사업서비스(+34천명) 등을 중심으로 증가
■ 구직급여 신규신청자 감소 지속, 수혜금액 6개월 연속 1조원 하회
구직급여 신규신청자(9만4천명)는 노동시장 회복, 기저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면서 건설업(-4천명), 숙박음식(-3천명), 제조업(-2천명) 등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13.9%(-1만5천명) 감소
신규신청자수(천명): (‘21.10)78→ (11)89→ (12)102→ (’22.1)187→ (2)94
구직급여 수혜자(60만8천명)는 13.0%(-9만1천명) 감소, 수혜금액은 8,784억원으로 1,365억원(-13.4%) 감소하였으며, 1회당 수혜금액은 약 139만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8% 증가
출처 : 고용노동부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자산관리공사, 3월 21 ~ 23일 690억원 규모 746건 공매 (0) | 2022.03.18 |
---|---|
2022년 2월 취업자 2,740만 2천명 전년동월대비 1103만 7천명 증가 (0) | 2022.03.16 |
2022년 3월 1~10일 수출 187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14.9% 증가 (0) | 2022.03.12 |
2022년 2월 생활물가 전월대비 0.9% 상승, 전년동월대비 4.1% 상승 (0) | 2022.03.07 |
2022년 1월 온라인쇼핑 전년동월대비 11.5%증가 16조 5,438억원 (0) | 2022.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