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 코로나19 피해 극복을 위한 긴급 자금 공급
18일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2020년 1차 추가경정예산안 국회 심사과정에서 정부안 보다 1조3,809억원 늘어난 3조667억원을 확보해 코로나19 피해에 따른 민생을 안정시키고,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피해 복구를 지원하는 데에 탄력을 받게 됐다고 밝혔다. 국회 심사과정에서 소상공인 지원 융자 8,000억원, 지역신보재보증 448억원 등이 증액 반영돼 긴급자금 공급, 보증지원, 매출채권보험 등 금융지원 예산이 2조6,594억원 편성됐다. 이에 따라 소상공인‧중소기업에 지원되는 금융 지원 총규모는 당초 5조4,500억원 대비 약 3조700억원 증가한 8조5,200억원으로 융자 3조1,450억원, 보증 5조1,750억원, 매출채권보험 2,000억원을 지원하게 됐다. 두 번째로 이번 추경 예산에서 코..
2020년 2월 소비자상담 67,359건, ‘국외여행’ 5,284건 가장 많아
한국소비자원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상담을 빅데이터시스템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2020년 2월 전체 상담 건수가 전월 대비 16.9% 증가했다고 밝혔다. 상담 다발 품목으로는 ‘국외여행’이 5,284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보건·위생용품’(4,321건), ‘의류·섬유’(2,653건) 순이었다. 상담 증가율 상위 품목을 분석한 결과, 전월 대비 ‘예식서비스’가 907.6%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보건·위생용품’(392.7%), ‘외식’(314.7%), ‘항공여객운송서비스’(94.6%), ‘호텔·펜션 등’(84.6%)이 그 뒤를 이었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높았던 품목도 ‘보건·위생용품’(6,547.7%), ‘외식’(884.3%), ‘예식서비스’(774.7%..
2020년 2월 월간 수출입 현황 및 무역수지
2020년 2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4.3% 증가한 412억 달러, 수입은 1.5% 증가한 372억 달러로, 무역흑자 40억 달러를 기록하여 2012.2월 이후 97개월 연속 흑자 달성 1. 수출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반도체(8.8%)․자동차 부품(10.4%)․무선통신기기(7.0%)․선박(6.8%)은 증가, 석유제품(△1.8%)․승용차(△15.4%)․가전제품(△18.0%)은 감소 * 중국(12.3%), 베트남(5.2%), 미국(14.3%) 등에 집적회로, 디램 등 수출 증가 * 라이베리아(2.9억 달러), 싱가포르(2.4억 달러) 등에 원유, LNG 선박 등 수출 증가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미국(9.8%), 베트남(10.4%), 중동(0.1%) 등은 증가,..
2020년 2월 ICT 수출 137.4억불, 수입 77.1억불, 수지 60.4억불 흑자
2020년 2월 정보통신기술(이하 ’ICT‘) 수출액은 137.4억불, 수입액은 77.1억불, 수지는 60.4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 ICT 수출은 반도체(9.3%↑) 및 휴대폰(4.7%↑) 수출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8.5% 증가하며, 2018년 11월(△1.7%) 이후 16개월만에 증가 전환 ※ ICT 수출 증감률 추이(전년 동월대비, %) :(2019.10월) △23.3→(11월) △21.8→(12월) △9.5→(2020.1월) △7.2→(2월) 8.5 주요 품목별로는 반도체(75.1억불, 9.3%↑)가 낸드(5.0억불, 34.0%↑) 및 시스템 반도체(23.8억불, 27.5%↑) 수출 호조세로 15개월(2018.12월, △9.3%)만에 증가 전환 ※ 2020.2월 현물가격($,증감률) : D램..
2020년 3월1~10일 수출입 실적(통관기준 잠정치)
1. 총 괄 (3.1.~3.10.) 수출 133억 달러, 수입 133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21.9%(24.0억 달러↑) 증가, 수입 14.2%(16.6억 달러↑) 증가 조업일수[(2019)6일,(2020)7.5일]기준 일평균수출액[(2019.3.)18.2,(2020.3.)17.8억 달러]은 2.5% 감소 2.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 반도체(22.0%), 석유제품(30.6%), 승용차(11.8%), 무선통신기기(17.3%) 등은 증가, 선박(△63.2%), 액정디바이스(△12.9%) 등은 감소 (주요국가) 중국(14.8%), 미국(45.4%), 베트남(27.2%), 일본(22.7%), 중동(51.0%) 등은 증가, EU(△0.4%)는 감소 3.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 동기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