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천연기념물

(10)
목도: 2024년 9월 무인도서 선정, 동백나무 천연기념물 탐방 2024년 9월, 해양수산부는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목도를 이달의 무인도서로 선정했습니다. 목도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섬의 모양이 사람의 눈과 닮아 있어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 작은 섬은 동백나무를 비롯한 다양한 식물들로 덮여 있으며, 그 아름다움으로 인해 ‘동백섬’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도는 독특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만큼 중요한 자연유산이며, 이번 글에서는 이 목도의 자연적 가치와 특징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목도의 특징 및 자연경관목도는 고도 10m, 길이 200m, 면적 15,074㎡의 작지만 아름다운 섬으로, 울산 신항에서 남쪽으로 약 1㎞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섬은 그 이름처럼 사람의 눈을 닮아 ‘목도’라 불리며, 울창한 동백나무 숲으..
장수하늘소, 광릉숲에서 11년 연속 발견! 국립수목원의 보호 노력 결실 광릉숲에서 11년 연속 발견된 장수하늘소는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로, 국립수목원의 보호와 복원 노력의 결실입니다. 이 글에서는 장수하늘소의 중요성과 복원 활동에 대해 살펴봅니다. 장수하늘소의 특징과 현황장수하늘소는 우리나라에서 1980년대 중반 이후 자취를 감추었으나, 2006년 광릉숲에서 다시 발견되었습니다. 그 후 2014년부터 11년 연속으로 서식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장수하늘소는 천연기념물 제218호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장수하늘소는 수컷 1개체로, 몸길이 84.4mm와 체중 9.4g으로 상태는 양호했습니다.  국립수목원의 복원 노력국립수목원은 ‘산림곤충스마트사육동’을 통해 장수하늘소 인공사육과 복원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매년 자..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 지정 문화재청은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扶安 蝟島 鎭里 大月褶曲, Daewol recumbent fold in jin-ri, Wido Island, Buan)」을 10월 12일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로 지정한다.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은 부안군 위도에 위치하는 횡와습곡으로, 백악기 이후에 형성되었다. 백악기 이전에 형성된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형 습곡과는 형성 시기나 과정, 형태 등이 차별성을 가지고 있어 지질학적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고 경관 또한 매우 아름다워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게 되었다. * 횡와습곡: 수평의 퇴적층이 미는 힘(횡압력)에 의해 주름과 같은 굴곡 형태를 가지는 것이 습곡인데, 이 중 습곡 작용이 고도로 진행되어 습곡의 기울어짐이 거의 수평으로 누운 습곡을 횡와습곡이라 함. 거대한 반원..
천연기념물 장수하늘소, 인공증식 방사 개체의 자연번식 확인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천연기념물 장수하늘소의 서식지(광릉숲) 내 복원연구를 진행하던 인공증식 개체와 야생서식 개체의 번식장면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연구진은 장수하늘소 행동권을 연구하기 위해 인공증식한 장수하늘소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하여 방사하였다. 방사한 장수하늘소 암컷의 위치를 추적하던 중, 자연 서식 중인 야생 수컷이 방사한 암컷을 찾아와 짝짓기를 시도했고, 암컷이 기주식물인 서어나무에 산란하는 모습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국립수목원과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천연기념물 장수하늘소의 복원을 위한 협업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 중이다. 그 일환으로 이들의 생태적 특성 파악하고자 2021년부터 현재까지 3년째 인공증식한 장수하늘소에게 위치추적기를 부착하여 광릉숲 내 행동권을 연구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장수하늘소 광릉숲에서 9년 연속 발견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광릉숲에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야생생물I급인 장수하늘소를 2014년 이래 9년 연속 발견하였다고 밝혔다. * 발견일: 2022년 7월 18일(월), 26일(화) 이번에 발견된 장수하늘소는 수컷 2개체로, 하나는 국립수목원 내 비개방 지역의 고사목에서 우화하였고, 다른 하나는 광릉숲 인근 점포의 불빛에 유인되어 날아온 것을 확인한 주민의 제보로 발견되었다. 국립수목원은 장수하늘소의 서식지 내 보전을 위해 2017년부터 확보한 야생 개체들로부터 알을 받아 실내 대량사육기술을 발전시켜 왔으며, 나아가 생물학적 특성과 복원 연구를 수행 중이다. 야생에서 발견된 수컷 개체는 인공사육을 통해 확보한 암컷 개체들과의 짝짓기를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한 후 모두 광릉숲으로 방사할 예정이다. 장수..
‘문경 장수황씨 종택 탱자나무’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558호 승격 문화재청은 경상북도 문경시에 있는「문경 장수황씨 종택 탱자나무(聞慶 長水黃氏 宗宅 탱자나무)」(경상북도기념물 제135호)를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558호로 승격하였다. 종택 안마당에 자리한 이 탱자나무는 두 그루가 마치 한 그루처럼 자라고 있다. 2000년 2월에 경상북도기념물 제135호로 지정되었다가 이번에 30일간의 지정예고 기간을 거쳐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승격 지정되었다. ‘문경 장수황씨 종택 탱자나무’는 수고(樹高, 나무의 높이) 6.3m, 수관(樹冠, 가지나 잎이 무성한 부분) 폭은 동-서 9.2m, 남-북 10.3m, 수령(樹齡, 나무의 나이)은 약 400년으로 추정된다. 탱자나무의 수종으로서는 매우 큰 나무로서 대단히 희귀하며, ..
문화재청, ‘상주 두곡리 뽕나무’ 천연기념물 승격 예고 문화재청은 경상북도 기념물 제1호인「은척면의 뽕나무」를 「상주 두곡리 뽕나무(尙州 豆谷里 뽕나무)」라는 명칭으로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경북 상주 은척면 두곡리 마을의 끝자락에 있는 농가 뒤편에 자리한 이 뽕나무는 1972년 12월에 경상북도 기념물 제1호로 지정된 바 있는데,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승격 예고되었다. 수고(樹高, 나무의 높이)는 10m, 가슴높이 둘레는 3.93m, 수관(樹冠, 가지나 잎이 무성한 부분) 폭은 동-서 12.7m, 남-북 16.2m, 수령(樹齡, 나무의 나이)은 300년으로 추정된다. * 가슴높이: 지면에서 가슴 높이 즉, 1.2m가 되는 곳의 나무의 직경 상주 두곡리 뽕나무는 뽕나무로는 보기 드믄 노거수로서 아름다운 수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가평 연인산 도립공원에서 멸종위기종 1급 ‘산양’ 발견 멸종위기종 1급이자 천연기념물 제217호 동물인 ‘산양’이 가평군 연인산 도립공원에서 처음 발견됐다. 경기도는 연인산 도립공원 내에 설치된 무인센서 카메라에 산양이 산길을 달리는 모습이 포착됐다고 2일 밝혔다. 산양은 우리나라에 800~900마리밖에 살지 않는 희귀종이다. 주로 설악산과 비무장지대(DMZ), 강원 양구군 등 높고 가파른 산악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단독 혹은 무리생활을 하는 초식동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도내에서는 2013년 10월 포천에서 산양 1마리가 올무에 걸려 죽은 채로 발견된 이래 한동안 보이지 않다가, 최근 들어서는 포천 소흘읍(2018년 7월), 동두천 소요산(올해 2월) 일원에서 드물게 발견되곤 했다. 경기도가 관리하는 도립공원 내에서는 이번이 최초다. 이번에 포착된 산양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