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은 2022년 3월 중순 경 한국형전투기(이하 KF-21) 능동형전자주사식위상배열(이하 AESA) 레이다의 성능을 사전에 검증하고 보완하기 위한 시험항공기(FTB) 국내 비행시험에 착수할 예정이다.
* 능동형전자주사식위상배열(AESA,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레이다 : 안테나에 약 1천여 개의 소형 송수신 모듈을 장착하고, 전파위상을 조정하여 전자적으로 레이다 빔을 조향하는 레이다
* 시험항공기(FTB, Flying Test Bed) : 시험항공기 (B-737 항공기 개조)
금번에 착수하는 비행시험은 전투기 탑재용 AESA 레이다의 최초 개발에 따른 위험을 완화하고 개발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목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KF-21 탑재용 AESA 레이다를 시험항공기에 장착하여 국내 환경에서 수행하는 최초의 비행시험이다.
비행시험은 총 50회 비행을 통해 약 62개의 항목을 테스트 할 예정이며, 공대공 모드의 탐지?추적 기능 및 성능시험과 SAR 영상 획득 등의 설계 검증을 수행 할 예정이다.
* SAR(Synthetic Aperture Radar) : 합성 개구면 레이다
방위사업청 한국형전투기사업단장 직무대리(공군대령 노지만)는 “시험항공기를 이용한 국내 비행시험으로 KF-21 AESA 레이다 성능이 보다 안정화 될 것이다.” 라며, “ 국방과학연구소 및 공군 등 유관기관과의 지속적이고 긴밀한 협조를 통해 KF-21 AESA 레이다가 성공적으로 개발 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그동안 국방과학연구소는 AESA레이다 입증시제*를 먼저 제작 후 지속적인 시험 및 분석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보완해 왔으며, 지난해 KF-21 AESA 레이다를 장착한 시험항공기로 국외 비행시험을 실시하여 KF-21 AESA 레이다 개발 가능성을 재확인한 바 있다.
* 입증시제 : AESA 레이다 안테나장치·송수신처리장치 등의 국내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 확보된 기술을 KF-21 탑재시제에 적용하기 위한 시제
국내 시험항공기 비행시험은 개발시험평가를 포함하여 내년 4월 까지 진행하며, 이후 2026년 상반기까지 KF-21에 탑재하여 개발 및 운용시험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출처 : 방위사업청
'국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대역 잡음레이더 기술’ 통해, 레이더 핵심기술 개발 (0) | 2022.03.24 |
---|---|
신형 호위함(FFX Batch-II) 8번 춘천함 진수식 개최 (0) | 2022.03.23 |
잠수함 잠항시간 증가, 연료전지용 수소 생산기술 독자개발 (0) | 2022.02.24 |
국산 소형 무장 헬기(LAH) 캐나다 옐로우나이프에서 저온시험 성공 (0) | 2022.02.20 |
120mm자주박격포와 사격지휘차량 최초양산 물량 육군 인도 (0) | 2022.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