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19년 2월 수출 395.6억달러, 수입 364.7억달러

반응형

2019년 2월 수출 395.6억달러, 수입 364.7억달러▲ 연간 수출입액 및 수출입 증감률 추이




1. 2월 수출입 동향 개요


(금액) 2월 수출 395.6억달러(△11.1%), 수입 364.7억달러(△12.6%)


2월 수출 감소 불구, 무역수지는 31.0억 달러로 85개월 연속 흑자


① 반도체 시장은 상저하고 흐름속에 하반기부터 안정화 전망


반도체 메모리 단가 하락 및 수요부진의 지속에 따라 반도체 수출은 연속 감소 ⇒ 상저하고(上低下高) 흐름속에서 하반기에 안정화 전망


* D램價(8Gb,$):(2018.2)9.3→(2019.2)5.9(△36.8%)

* 낸드價(128Gb,$):(2018.2)6.7→(2019.2)5.0(△25.2%)

* 2019년 공급초과율 전망(1Q→3Q)(가트너, 2019.1) : (D램)1.8%→△2.5%, (낸드)2.1%→△1.0%


② 자동차 등 주력 품목 및 新수출성장동력품목 호조세 지속


자동차(+2.7%)·일반기계(+2.7%)·철강(+1.3%) 등 주력 품목 호조세 유지 + 新수출성장동력인 바이오헬스(+24.5%), 이차전지(+10.7%), OLED(+7.9%), 전기차(+92.4%), 농수산식품(+2.9%) 등 新수출성장동력 견조한 성장세


* 13대 주력 vs 非13대 비중 : (2018.2)78.4%vs21.6%→(2019.2월)75.6%vs24.4%


③ 금년 1월 대비 2월 일평균 수출은 증가


1월보다 2월 수출 감소율이 확대(△5.9%→△11.1%)되었으나, 조업일 영향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7.9% 상승하였는바, 이를 통해 볼 때 연초 급속한 수출악화로 보기 곤란


* 일평균 수출 : (2019.1월)19.3억 달러 → (2019.2월)20.8억 달러(+7.9%)


④ 전년 2월 기저효과로 금년 2월 수출 감소폭 확대


금년 2월 일평균 수출액은 역대 2월 중 3위에도 불구하고, 전년 2월 일평균 수출액(22.8억 달러, +16.4%)이 역대 2월중 최대 실적 기록⇒ 기저효과 영향으로 일평균 수출 감소


* 역대 2월 일평균 순위(억 달러) : (1위)22.8(2018.2월), (2위)21.8(2015.2월), (3위)20.8(2019.2월)


⑤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세계 10대 수출국 동반 부진


IMF가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지속적으로 하향 조정(2018.7월 이후 연속 3차례)하는 등 2019년 세계 경제의 불확실이 증대


* 2019년 경제성장률(IMF, 전망 시점) : 3.9%(2018.7)→3.7%(2018.10)→3.5%(2019.1)


세계 수출 상위 10개국 중 중국(2019.1월 증가)·미국(未발표)을 제외한 주요국 수출이 11월 이후 감소세이며, 싱가포르·대만 등도 연속 하락


세계 무역전망지수(World Trade Outlook Indicator) 또한 하락 추세


* (WTO,2019.2) : (2018.1Q)102.3→(2Q)101.8→(3Q)100.3→(4Q)98.6→(2019.1Q)96.3


2. 주요 수출 품목 규모 및 증감률


13대 주력품목과 7개 新수출성장동력 등 총 20개 품목 중 전년동월대비 증가한 품목은 8개(40.0%), 금액기준으로 37.5%


자동차, 일반기계, 철강 등 주력품목 호조세 유지 + 전기차, OLED, 플라스틱제품, 바이오헬스 등 新수출성장동력 견조한 성장세


3. 2월 수출 감소 요인


반도체 단가 하락 등 경기적 요인 지속, 중국 경제 성장둔화 요인과 함께 2월 조업일 감소(△0.5일) 및 설 연휴 영향 등으로 하락


① (반도체 : △24.8%) 메모리 반도체의 단가 하락세 지속, 스마트폰 판매 부진 및 글로벌 IT기업의 데이터센터 투자 시기 조정

* (반도체 일평균 수출, 억 달러) (2019.1)3.09 → (2019.2)3.56(+15.2%)

* D램(8Gb, $)9.3(2018.2)→5.8(2019.2e, △37.6%)/낸드(128Gb, $)6.7(2018.2)→5.0(2019.2e, △25.4%)


다만, 올해 반도체 메모리 가격과 수출 하락 국면은 상저하고(上低下高) 추세에 따라 하반기에 안정화 될 전망


② (석유品 : △14.0%, 석화 : △14.3%) 국제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미국발 공급물량 증가 등 영향으로 수출 단가가 지속 하락


* 국제유가(Dubai유, $/B): (2018.2)62.7 → (2019.2)64.6(+3.0%)


(석유제품) 유가상승에도 불구하고, 中 석유제품 수출쿼터 증가, 美 對세계 수출량 증가, 베트남 신규시설 가동 등 공급량 증가로 단가상승폭 제한 ⇒ 하반기에는 수요 증가로 수출 회복 전망


* 석유제품 일평균 수출 (2019.1)1.44 → (2019.2)1.50(+4.17%)

* 석유제품 수출단가($/B, 전년비) : (2018.2)74.6 → (2019.2e)71.3(△4.4%)

* 2019년 1차 석유제품 수출쿼터는 21.5백만톤으로 전년대비 7.5% 증가

** 美 원유 생산 증가로 정제시설 가동률 상승 → 전년대비 9.5% 수출 증가

*** 베트남 제2 정유공장(Nghi son, 20만b/d)이 2018.12월 본격 양산에 돌입


(석유화학) 유가상승에도, 美 에탄크래커(ECC) 신증설에 따른 공급 과잉으로 단가 하락, 중국(석화수출 1위국) 경기 둔화로 對中 거래 부진⇒ 유가상승 효과가 공급과잉을 상쇄하는 하반기부터 수출 회복 전망

* 석유화학 일평균 수출 (2019.1)1.66 → (2019.2)1.84(+10.8%)

* 석유화학 수출단가($/톤, 전년비) : (2018.2)1,322 → (2019.2e)1,180(△11.4%)

* 2.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中)13.8(△6.4), (亞)3.3(△9.0) (美)1.2(△31.7)

* 석유화학 수출(억 달러) : (2018.2)40.7→(2019.2)34.9(△14.3%)


③ 선박(△46.5%)은 2016년 세계 선박 발주량 급감에 따른 수주 하락 ⇒ 2017년 호조세가 영향을 미치는 2분기부터 회복 전망(연간은 플러스 예상)

* 발주(만CGT, %) : (2015)4,275→(2016)1,338(△69)→(2017)2,822(111)→(2018)2,973(5)

* 수주(만CGT, %) : (2015)1,099→(2016)222(△80)→(2017)760(242)→(2018)1,298(71)


④ (對중국 수출 : △17.4%) 우리나라 제1수출국(수출비중 : 26.8%, 2018년)인 중국의 성장둔화 등 영향으로 4개월 연속 수출 감소 ⇒ 中 정부는 2019년 경기하방 압력을 인식하고, 경기부양 대책 추진 전망

* 2019년 중국 GDP 성장률 전망(2018.7→2018.10, IMF) : 6.4 → 6.2%로 조정

* 中 對세계 수입 증감률(%) : (2018.9)14.3→(10)20.3→(11)2.9→(12)△7.6→(2019.1)△1.5

* 中 제조업 PMI(Trading Economics) : (2018.3Q)50.5→(4Q)50.0→(2019.1)49.5→(2)49.2


⑤ (對EU 수출 : △8.5%) 최근 EU의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및 제조구매지수(PMI)의 지속 하락추세 등 경기 둔화 영향 ⇒ 양적완화 재개 검토 및 파리올림픽(‘24년) 특수 등 긍정 요인 有

* EU 2019년 연간 경제성장률(2018.11→2019.2, EU집행위) : 1.9→1.3%로 하향 조정

* EU 제조업 PMI(Trading Economics) : (2018.2Q)55.5→(3Q)54.3→(4Q)51.7→(2019.1)50.5


4. 新수출 성장동력의 성장세


바이오헬스(+24.5%), 이차전지(+10.7%), OLED(+7.9%), 전기차(+92.4%) 화장품(+21.5%), 농수산식품(+2.9%), 플라스틱제품(+5.7%) 등 新수출성장동력 품목 호조세 지속


① (바이오헬스) +24.5%(6.3억 달러)로, 지난달 감소에서 큰 폭 증가세 회복

* 연도별 수출(억 달러) : (2015)57.5→(2016)64.1→(2017)71.8→(2018)81.4

* 최근 수출 추이(억 달러) : (2018.2)5.0→(3)7.3→(4)6.7→(5)7.2→(6)7.1→(7)6.5→(8)6.8→(9)6.1→(10)7.6→(11)7.6→(12)7.8→(2019.1)5.6→(2)6.3(24.5%)


② (이차전지) +10.7%(5.5억 달러) 증가로,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 지속

* 연도별 수출(억 달러) : (2015)45.7→(2016)49.7→(2017)59.5→(2018)72.3

* 최근 수출 추이(억 달러) : (2018.2)5.0→(3)5.9→(4)5.6→(5)5.9→(6)5.7→(7)6.3→(8)6.1→(9)5.7→(10)7.2→(11)6.9→(12)6.2→(2019.1)6.6→(2)5.5(10.7%)


③ (OLED) +7.9%(6.2억 달러) 증가로, 4개월 연속 안정적인 증가세 시현

* 연도별 수출(억 달러) : (2015)55.3→(2016)68.6→(2017)93.3→(2018)103.0

* 최근 수출 추이(억 달러) : (2018.2)5.7→(3)7.4→(4)6.6→(5)5.9→(6)7.0→(7)9.6→(8)13.2→(9)10.8→(10)11.0→(11)10.0→(12)8.7→(2019.1)8.0→(2)6.2(7.9%)


④ (전기차) +92.4%(1.6억 달러)로 3개월 연속 세 자릿수 이상 고속 성장세

* 연도별 수출(억 달러) : (2015)3.4→(2016)3.2→(2017)9.0→(2018)18.0

* 최근 수출 추이(억 달러) : (2018.2)0.8→(3)1.1→(4)1.1→(5)1.5→(6)1.2→(7)1.0→(8)1.2→(9)1.3→(10)2.4→(11)2.1→(12)3.3→(2019.1)2.8→(2)1.6(92.4%)


⑤ (화장품) +21.5%(4.7억 달러)로 2개월 연속 증가 가운데, 증가폭 확대

* 연도별 수출(억 달러) : (2015)29.3→(2016)41.9→(2017)49.6→(2018)62.8

* 최근 수출 추이(억 달러) : (2018.2)3.8→(3)6.1→(4)5.8→(5)6.0→(6)5.5→(7)5.1→(8)5.1→(9)4.9→(10)5.7→(11)5.5→(12)4.6→(2019.1)4.6→(2)4.7(21.5%)


⑥ (농수산식품) +2.9%(5.9억 달러)로 2개월 연속 증가세 유지

* 연도별 수출(억 달러) : (2015)71.9→(2016)77.0→(2017)81.8→(2018)83.1

* 최근 수출 추이(억 달러) : (2018.2)5.8→(3)7.3→(4)7.0→(5)7.6→(6)7.4→(7)6.8→(8)6.7→(9)6.0→(10)7.3→(11)7.7→(12)6.7→(2019.1)7.1→(2)5.9(2.9%)


⑦ (플라스틱제품) +5.7%(7.4억 달러)로 올해 최초 100억 달러 돌파 전망

* 플라스틱 제품 : 욕실․주방용품, 플라스틱관, 플라스틱필름 등

* 연도별 수출(억 달러) : (2015)80.9→(2016)84.1→(2017)91.5→(2018)98.5

* 최근 수출 추이(억 달러) : (2018.2)7.0→(3)8.2→(4)7.9→(5)8.4→(6)8.3→(7)8.5→(8)8.7→(9)8.0→(10)9.2→(11)8.8→(12)7.8→(2019.1)8.9→(2)7.4(5.7%)


5. 수출활력 제고대책 발표


산업통상자원부 성윤모 장관은 "최근의 대외 수출여건에 대하여 엄중하게 인식하고 1월부터 범정부 역량을 결집하여 수출기업과 함께 총력 대응하고 있다"라고 말하면서


* 장관주재 범부처 민관합동 수출전략회의(1.21일), 수출활력촉진단(1.31∼2.26, 총7회 지역현장 방문 등)


"그동안 발굴된 현장의 애로사항과 수출기업의 건의사항을 바탕으로 3월 4일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수출기업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관계부처 합동의 「수출활력 제고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라고 밝힘.


* 수출채권 조기 현금화, 수출 계약기반 특별보증, 시설 운전 제작 자금 적기지원 등 수출기업의 자금 활용에 숨통을 터주는 대책과 함께 전시회 해외지사화 등 수출마케팅 지원 강화, 중장기 근본적 산업 체질개선 대책 포함


또한 성윤모 장관은 "수출활력 제고대책을 기반으로 중소기업, 농식품, 바이오헬스, 한류 연계 문화콘텐츠, 서비스산업 해외진출 지원방안 등 분야별 대책도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언급함.


나아가 성윤모 장관은 "‘위기 속에 기회가 있다’며 정부와 수출기업이 합심하여 단기수출 활력 회복에 총력 대응, 2년 연속 수출 6천억 달러 달성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힘.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반응형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 share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