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본조사는 11월 12일부터 12월 10일까지의 변동을 조사함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 : -0.01%] 전국 월간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01% 하락했다. 수도권(0.25%→0.07%) 및 서울(0.20%→0.04%)은 상승폭 축소, 지방(0.02%→-0.08%)은 상승에서 하락 전환(5대광역시(0.14%→0.07%), 8개도(-0.06%→-0.17%), 세종(0.27%→0.05%))됐다.
(수도권) 서울은 9.13대책 등 정부정책과 대출규제 등으로 매수문의 급감하며 상승폭 축소, 인천은 역세권 및 저평가 단지 수요와 정비사업 영향으로 상승폭 확대, 경기는 서울 인근과 교통호재 지역 위주로 상승하였으나 상승폭은 축소
(서울 강북14개구) 정부정책 등 하방압력 커지고 상승폭 낮았던 단지의 키맞추기 상승 주춤해지며 강북구(0.22%), 성동구(0.19%), 동대문구(0.11%) 등은 상승폭 축소되고, 노원구(-0.03%)는 하락 전환되는 등 종로구(0.51%)를 제외한 지역 모두 아파트를 중심으로 상승세 둔화
(서울 강남11개구) 재건축단지 뿐만 아니라 일반아파트도 일부 하락세로 돌아서며 강남구(-0.32%), 송파구(-0.23%) 등 강남4구와 동작구(-0.05%)는 하락하고, 영등포구(0.09%), 양천구(0.00%) 등 나머지 구는 모두 상승폭 축소되거나 보합 전환
(지방) 계절적 비수기와 신규공급 증가,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매물 적체되며 대전․대구․광주 등 5대광역시를 비롯하여 전남․제주․세종 등 모든 지역에서 상승폭 축소되거나 하락폭 확대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격 : -0.19%] 전국 월간 주택종합 전세가격은 0.19% 하락했다. 수도권(-0.06%→-0.19%)은 하락폭 확대, 서울(0.00%→-0.13%)은 보합에서 하락 전환, 지방(-0.12%→-0.18%)은 하락폭 확대(5대광역시(-0.09%→-0.14%), 8개도(-0.20%→-0.26%), 세종(3.59%→2.52%))됐다.
(수도권) 신규 입주물량 증가, 계절적 비수기, 정비사업 이주수요 분산 등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하락함에 따라 서울과 인천은 하락 전환되고, 경기는 하락폭 확대되며 전체적으로 지난달 대비 하락폭 확대
(서울 강북14개구) 신규 입주물량 증가 영향으로 마포구(-0.36%)와 동대문구(-0.09%)는 하락 전환, 서대문구(-0.18%)와 은평구(-0.04%)는 하락폭 확대되고, 용산구(-0.23%)는 노후주택 수요 감소로 하락하는 등 전체적으로 지난달 상승에서 하락 전환
(서울 강남11개구) 서초구(-0.67%), 강동구(-0.45%) 등 강남4구와 동작구(-0.25%)는 헬리오시티, 흑석뉴타운 등 신규 입주물량 증가 영향으로 하락폭 확대되고, 영등포구(-0.08%)는 신축 다세대 공급 영향으로 하락 전환되는 등 대다수 지역에서 하락
(지방) 광주․대전․전남 등은 주거환경이 양호하여 선호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하였으나, 그 외 지역은 지역 기반산업 침체, 신규 입주물량 누적 등으로 하락세 지속되며 전체적으로 지난달 대비 하락폭 확대
[전국 주택종합 월세가격 : -0.11%] 전국 월간 주택종합 월세가격은 0.11% 하락했다. 수도권(-0.03%→-0.06%), 서울(-0.01%→-0.05%), 지방(-0.13%→-0.16%) 모두 하락폭 확대(5대광역시(-0.13%→-0.14%), 8개도(-0.16%→-0.20%), 세종(1.16%→1.38%))됐다.
(수도권) 서울은 신규단지 입주 및 노후단지 수요 감소 영향 등으로 하락폭 확대, 인천은 공급물량 증가로 보합에서 하락전환, 경기는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하락폭 확대되는 등 전체적으로 지난달 대비 하락폭 확대
(지방) 5대광역시 중 광주는 지난달 상승폭 유지되나, 부산․울산은 인구 유출, 경기침체, 구매력 감소 등으로 하락세 지속되고 8개도는 신규 공급 증가 및 수요 감소 영향으로 대부분 지역 하락하며 전체적으로 지난달 대비 하락폭 확대
주택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쉬운설치방법 : “구글 Play스토어” 또는 “Apple 앱스토어” 에서 “한국감정원” 검색 후 설치
출처: 한국감정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