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감정원은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2018년 4분기 기준 전분기 대비(2018년 9월 10일 대비 12월 10일 기준)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보합, 전세가격은 0.03% 하락, 월세가격은 0.2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한국감정원은 최근 1~2인 가구 증가, 주택의 대체재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2018년 1월부터 서울시, 6대 광역시, 세종시 및 경기도 등 9개 시·도를 대상으로 매월 오피스텔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동향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다.
* 통계청 국가통계승인(2017.12.27, 승인번호 : 408002)
(매매동향)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정부대책과 경기부진,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시장 관망세가 짙어지는 가운데 수도권 지역은 전분기 대비 0.09% 상승, 지방은 0.41% 하락하며 전국적으로는 전분기 대비 보합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세동향) 서울, 인천 등 일부지역은 가을 이사수요로 인해 전세가격 상승세를 보였으나, 최근 시장 상황은 신규 입주물량 증가에 따른 전세 매물 과다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지역산업경기 및 부동산경기가 부진한 지방시장에서 하락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월세동향) 임대인 월세 선호, 오피스텔 및 공동주택의 신규 입주물량 증가에 따른 월세 매물 적체와 함께 전세가격 하락으로 임차인 전세 이동이 증가하고 월세수요는 더욱 감소하면서 전분기 대비 월세가격 0.2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세부적인 매매, 전세, 월세 가격과 전월세전환율, 수익률 등 구체적인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매가격 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보합세, 수도권 0.09% 상승, 지방 0.41% 하락
(지역별) 서울(0.23%), 인천(0.07%), 광주(0.73%) 등은 상승한 반면, 울산(-1.79%), 세종(-0.67%), 부산(-0.51%), 대구(-0.38%) 등은 하락
[수도권 : 0.09%]
[서울 : 0.23%] 서울시의 높은 아파트 가격에 따른 대체수요로 오피스텔 매매가격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신축입주물량과 전반적인 시장 관망세에 따라 가격상승폭은 다소 둔화됨
[인천 : 0.07%] 미추홀구 등에서 재개발 이주에 따라 소규모 저가 주택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대체 관계에 있는 주거용 오피스텔의 매매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며 전분기 대비 0.07% 상승
[경기 : -0.09%] 신규 오피스텔 및 아파트 입주(예정)물량의 증가로 인한 공실 증가 및 수익률 악화 우려에 따라 노후화된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매매가격 하락하며 전분기 대비 0.09% 하락
[지방 : -0.41%] 재개발․재건축 이주수요 등에 의해 부동산경기 상승세인 광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경기 부진과 공급물량 증가로 인해 투자수요 감소하며 전분기 대비 0.41% 하락
2. 전세가격 동향
전세가격은 전국 0.03% 하락, 수도권 0.04% 상승, 지방 0.33% 하락
(지역별) 서울(0.23%), 광주(0.33%), 대전(0.21%) 등은 상승한 반면, 부산(-0.43%), 울산(-1.77%), 경기(-0.24%), 세종(-0.21%) 등은 하락
[수도권 : 0.04%]
[서울 : 0.23%] 전세 물량의 희소성과 매매가격 상승에 따라 전세가격은 전분기 대비 0.23% 상승을 기록했으나, 최근 서울 부동산 시장의 관망세가 짙어짐에 따라 상승폭은 둔화됨
[인천 : 0.06%] 재개발 이주수요 및 가을 이사수요로 인해 직주근접지역을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상승세를 보였으나, 신규 입주물량의 영향으로 전세 매물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소폭 상승에 그침
[경기 : -0.24%] 오피스텔 및 공동주택의 신규 입주 물량 증가로 전세 매물이 적체되어 있는 상황에서 임차인 전세수요가 신축으로 몰리면서 기존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하락세를 보임
[지방 : -0.33%] 울산은 자동차, 조선 등 주력 제조업 경기부진 장기화로 부동산 경기 하락세가 심화되는 가운데 대부분의 지방 시장에서 경기부진과 공급증가로 하락세를 보이며 전분기 대비 0.33% 하락
3. 월세가격 동향
월세가격은 전국 0.21% 하락, 수도권 0.13% 하락, 지방 0.57% 하락
(지역별) 인천(0.08%), 광주(0.24%) 지역에서 상승한 반면, 서울(-0.07%), 울산(-2.55%), 세종(-1.11%), 대전(-0.99%), 경기(-0.27%) 등은 하락
[수도권 : -0.13%]
[서울 : -0.07%] 전반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관망세를 보이는 가운데 신규 공급물량 증가로 인해 기존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월세가격 하락세를 나타내며 전분기 대비 0.07% 하락
[인천 : 0.08%] 역세권 및 직주근접지역을 중심으로 가을 이사수요가 증가하였고, 미추홀구에서 재개발 사업 진행에 따른 이주수요가 발생하며 전분기 대비 0.08% 상승
[경기 : -0.27%] 임대인의 월세 선호, 오피스텔 및 공동주택 신규 입주 물량 과다로 월세매물이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오피스텔과 가격차이가 크지 않아 월세 수요가 신축 위주로 이동하며 전분기 대비 0.27% 하락
[지방 : -0.57%] 지역경기 부진, 임대인의 월세선호, 지속적인 신규 오피스텔 공급과 전세가격 하락에 따른 임차인 월세수요의 전세 이동으로 월세 매물 적체되어 전분기 대비 0.57% 하락
4. 평균가격(2018.12월 기준)
매매평균가격은 전국 178,694천원, 수도권 192,775천원, 지방 119,793천원
(지역별) 서울(227,353천원), 경기(169,668천원), 부산(132,879천원) 순으로 나타남
(규모별) 40㎡이하는 전국 122,003천원, 수도권 135,499천원, 지방 66,176천원으로 나타났으며, 40㎡초과는 전국 306,544천원, 수도권 321,032천원, 지방 244,362천원으로 나타남
(지역별·규모별) 40㎡이하는 서울(158,048천원), 경기(117,433천원), 세종(98,607천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40㎡초과는 서울(424,510천원), 부산(302,742천원), 경기(270,534천원) 순으로 나타남
전세평균가격은 전국 141,722천원, 수도권 154,322천원, 지방 89,014천원
(지역별) 서울(177,649천원), 경기(142,886천원), 부산(96,451천원) 순으로 나타남
(규모별) 40㎡이하는 전국 98,127천원, 수도권 109,259천원, 지방 52,077천원으로 나타났으며 40㎡초과는 전국 240,037천원, 수도권 255,229천원, 지방 174,832천원으로 나타남
(지역별·규모별) 40㎡이하는 서울(125,102천원), 경기(99,018천원), 세종(74,482천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40㎡초과는 서울(327,131천원), 경기(227,595천원), 부산(210,906천원) 순으로 나타남
월세보증금평균가격은 전국 14,360천원, 수도권 15,065천원, 지방 11,410천원
(지역별) 서울(19,481천원), 부산(13,500천원), 경기(10,792천원) 순으로 나타남
(규모별) 40㎡이하는 전국 7,571천원, 수도권 8,177천원, 지방 5,068천원으로 나타났으며 40㎡초과는 전국 29,669천원, 수도권 30,490천원, 지방 26,145천원으로 나타남
(지역별·규모별) 40㎡이하는 서울(9,867천원), 경기(6,376천원), 부산(5,361천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40㎡초과는 서울(46,830천원), 부산(34,171천원), 경기(19,318천원) 순으로 나타남
월세평균가격은 전국 651천원, 수도권 696천원, 지방 466천원
(지역별) 서울(772천원), 경기(652천원), 대전(485천원) 순으로 나타남
(규모별) 40㎡이하는 전국 494천원, 수도권 534천원, 지방 331천원으로 나타났으며 40㎡초과는 전국 1,006천원, 수도권 1,058천원, 지방 781천원으로 나타남
(지역별·규모별) 40㎡이하는 서울(588천원), 경기(491천원), 대구(385천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40㎡초과는 서울(1,297천원), 경기(965천원), 부산(890천원) 순으로 나타남
5. 전월세전환율(2018.11월 기준) & 수익률(2018.12월 기준)
2018년 11월 신고 기준 실거래정보를 활용하여 산정한 결과 전국 오피스텔의 전월세전환율은 5.31%를 기록하였으며, 수도권 5.24%, 지방 6.47%, 서울 5.21%를 기록
지역별로는 부산 7.21%, 대전 6.92%, 대구 6.09% 순으로 높았으며, 인천 5.02%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 오피스텔의 수익률은 5.46%를 기록하였으며, 수도권 5.22%, 지방 6.48%, 서울 4.87%를 기록
지역별로는 광주 8.57%, 대전 7.12%, 대구 6.54% 순으로 높았으며, 세종 4.24%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6.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 & 전세가격 대비 월세보증금 비율(2018.12월 기준)
전국 오피스텔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은 79.94%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80.47%, 지방 77.74%, 서울 79.16%를 기록
지역별로는 경기 83.22%, 대전 82.52%, 대구 80.98% 순으로 높았으며, 세종 75.44%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국 오피스텔의 전세가격 대비 월세보증금의 비율은 9.28%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8.85%, 지방 11.11%, 서울 9.45%를 기록
지역별로는 부산 11.83%, 광주 11.50%, 울산 10.38% 순으로 높았으며, 세종 4.23%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7. 규모별 가격 동향
(매매가격) 전국 40㎡이하는 0.06% 하락, 40㎡초과는 0.12% 상승함
(전세가격) 전국 40㎡이하는 0.03% 상승, 40㎡초과는 0.15% 하락함
(월세가격) 전국 40㎡이하는 0.18% 하락, 40㎡초과는 0.29% 하락함
오피스텔 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 www.r-one.co.kr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kr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출처: 한국감정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