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대비 하락한 160.8포인트를 기록하였다.
* 유엔식량농업기구(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 FAO 식량가격지수 : ’90년 이후 23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73개)을 모니터링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로 매월 작성․발표(2002-2004년 평균=100)
올해 6월부터 시작된 하락세가 6개월째 지속되고 있으며, 설탕 가격은 상승, 유지류·유제품·곡물 가격은 하락, 육류 가격은 안정세를 보였다.
* 식량가격지수 : (2018.8월)167.8→(9월)164.5→(10월)162.9→(11월)160.8
(설탕) 2018.10월(175.4포인트)보다 4.4% 상승한 183.1포인트 기록
설탕 가격은 3개월 연속 상승하였는데, 세계 최대 생산국이자 수출국인 브라질 중남부의 생산량이 작년 대비 27%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또한, 브라질 내 사탕수수의 상당량이 바이오에탄올 용도로 활용됨에 따라, 설탕 원료로 사용되는 비중이 작년 47.4%에서 올해 35.8%로 줄어들면서 가격 상승을 불러왔다.
다만, 휘발유 가격 하락으로 바이오에탄올 용 사탕수수 물량이 설탕용으로 일부 전환되면서 가격 상승폭은 제한되었다.
1. 안정 품목군
(육류) 2018.10월(160.3포인트)과 거의 비슷한 160.0포인트 기록
육류 가격은 작년 대비 7.4% 낮은 수준으로, 양고기, 가금육, 돼지고기 가격이 하락하였으며 쇠고기 가격은 소폭 상승하였다.
양고기 가격은 아시아권 수요 상승에도 불구하고, 오세아니아 수출 물량이 풍부하여 하락폭이 가장 컸다.
돼지고기 가격은 3개월 연속 내림세로, 주요 생산지역의 풍부한 수출 물량과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인한 교역 제한 조치들에 기인하였다. 가금육은 수요 부진으로 하락하였다.
쇠고기는 5개월 동안의 하락세를 마감하고 아시아 시장의 견고한 수요와 다소 제한된 현물 공급량으로 소폭 상승하였다.
2. 하락 품목군
(유지류) 2018.10월(132.9포인트)보다 5.7% 하락한 125.3포인트 기록
유지류 가격은 10개월 연속 하락하였으며 12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전반적으로 모든 품목이 약세를 보여주었으며, 팜유 가격의 뚜렷한 하락은 주요 수출국의 풍부한 재고가 계속되고 광물성 기름 가격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대두유 가격은 미국과 EU, 몇몇 신흥 시장에서의 공급량 증가로, 해바라기씨유는 흑해지역 생산량의 양호한 전망으로 하락하였다.
(유제품) 2018.10월(181.8포인트)보다 3.3% 하락한 175.8포인트 기록
유제품 가격은 6개월 연속 내림세를 기록하였으며, 1년 전 대비 13.9%, 올해 최고치(5월) 대비 18.3% 하락한 수준이다.
버터, 치즈, 전지분유 가격의 하락은 특히 뉴질랜드의 풍부한 재고량과 수출 물량 증가에 기인하였다.
탈지분유 가격은 소폭 상승했으며 바이어들이 즉각적 인도를 원하는 등 수입 패턴이 빨라지면서 영향을 미쳤다.
(곡물) 2018.10월(165.7포인트)보다 1.1% 하락한 164.0포인트 기록
곡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7.1% 높은 수준으로, 밀 가격은 대규모의 수출 물량으로, 옥수수 가격은 수출 경쟁 심화로 하락하였다.
필리핀의 쌀 수입 수요와 일부 주요 수출국의 향미 생산량 감소 전망에도 불구하고 신곡이 시장에 유입되면서 쌀 가격은 하락하였다.
3. 2018/19년도 세계 곡물 수급 전망
2018/19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595.2백만톤으로 2017/18년도 대비 2.4%(62.6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13백만톤(1.3%↑) / 잡곡 1,357(2.5%↓) / 밀 725(4.6%↓)
2018/19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649.3백만톤으로 2017/18년도 대비 1.3%(34.3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09백만톤(1.0%↑) / 잡곡 1,401(2.0%↑) / 밀 740(0.2%↑)
2018/19년도 세계 기말 재고량은 762.1백만톤으로 2017/18년도 대비 6.5%(52.9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177백만톤(2.7%↑) / 잡곡 321(12.4%↓) / 밀 265(4.4%↓)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