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코로나 사태 관련 긴급재난지원금을 사칭한 스미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 스미싱(smishing):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ing)의 합성어로 악성 앱 주소가 포함된 휴대폰 문자(SMS)를 대량 전송 후 이용자가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여 금융정보·개인정보 등을 탈취하는 사기수법
최근 발생한 스미싱 문자는 “〔긴급재난자금〕상품권이 도착했습니다”라는 내용과 함께 인터넷주소(URL) 클릭을 유도하고 있다. 이용자가 해당 인터넷주소(URL)를 무심코 클릭하게 되면 ‘구글 앱 스토어’를 사칭한 악성 앱이 설치되어 스마트폰에 저장된 전화번호, 문자메시지 등의 개인정보가 고스란히 탈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당 악성앱 유포지는 발견 즉시 차단 조치를 완료(4.8. 22:19)하였으나, 방송통신위원회는 코로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이 개시됨에 따라 관련된 스미싱이 증가하고 그 수법도 보다 교묘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용자들에게 아래와 같은 피해예방 수칙을 지킬 것을 당부하였다.
< 스미싱 피해예방 행동수칙 >
1) ‘알 수 없는 출처’의 앱이나 문서는 설치 제한 기능을 설정하여 스마트폰 보안설정 강화하기
※ 설정방법 : 환경설정 > 보안 > 디바이스 관리 > 알 수 없는 출처에 V체크 해제
2) 스마트폰 내 백신 프로그램은 실시간 감시를 유지하고 업데이트를 통해 바이러스 감염에 대비하기
3)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메시지는 보는 즉시 바로 삭제하고 문자메시지 속 링크 주소 클릭 금지. 지인에게 온 문자라고 해도 인터넷 주소가 있는 경우 열기 전 미리 확인하기
4) 스마트폰 내에는 보안카드 사진이나 비밀번호 등을 저장해두지 않도록 하고, SMS 사전인증 등 금융회사가 제공하는 보안 강화서비스에 가입하기
5) 주기적으로 메신저나 SNS 비밀번호를 변경할 것
스미싱 의심 문자를 수신하였거나 악성앱 감염 등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국번없이 118(불법스팸대응센터)에 신고하면, 다른 사람에게 유사한 내용의 스미싱이 발송되는 등 2차 피해를 예방하고 악성코드(앱) 제거 방법 등을 24시간 무료로 상담 받을 수 있다.
출처: 방송통신위원회
'사회·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기본소득 2분기 분 16일부터 접수, 당초 일정보다 두 달 조기 지급 (0) | 2020.04.17 |
---|---|
고올레산 콩기름, 요오드 규격 신설 ‘식품의 기준 및 규격’ 개정안 고시 (0) | 2020.04.15 |
경기도, 제2기 소비자안전지킴이 300명 모집 (0) | 2020.04.10 |
한강공원, 5월말까지 자전거 대여점 일시중단 (0) | 2020.04.08 |
최근 3년간 해외구매 TV 관련, 배송 관련 불만 522건(39.3%) 가장 많아 (0) | 2020.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