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축수산

최근 국제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수급동향 및 대응 방안’ 논의

반응형

▲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 www.mafra.go.kr ]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최근 국제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29차 비상경제 중앙대책회의’(부총리 주재)를 통해 ‘국제곡물 수급동향 및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물류차질 등으로 식량위기 우려가 고조되었고, 주요 수출국 작황 우려(남미 등 가뭄), 중국 사료 곡물 수입 확대 등으로 지난해 8월 이후 국제곡물가격이 지속 상승 중이다.

 

현재 국내 업계에서는 올해 4월말에서 5월초까지 소요 물량을 보유하고 있고, 7월에서 9월까지 소요물량은 계약을 완료한 상황이다.

 

하지만, 앞으로 국제곡물 가격 상승이 이어질 경우 국내 식품물가, 사료가격에도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우려가 있다.

 

* 최근 제빵 등 일부 식품의 가격 상승은 곡물 이외 원재료 가격이나 인건비 등의 상승이 원인이며,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밀가루, 사료 등 제품가격에 본격 반영되지는 않은 편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지난해 4월부터 관계기관, 전문가, 업계 등과 함께 국내외 곡물 시장 동향 모니터링 및 정보를 공유하면서 대비 태세를 가동 중이다.

 

최근 국제곡물 가격 상승에 대응하여 국내 업계 애로사항을 발굴․해소하여 국내 영향을 최소화하는 한편, 중장기적인 대책도 지속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우선, ‘국제곡물 자문위원회’를 정례적으로 운영(분기 1회, 필요시 수시)하면서 국제곡물 동향을 점검하고, 통관 과정 등 업계 애로사항을 발굴․해소한다.

 

현재 업계에서 국내 도착하는 수입곡물의 국내 통관을 신속 처리해 달라는 요청이 있어 해당 사항을 검토 중에 있다.

 

또한, 국제곡물 가격이 추가적으로 상승하여 업계‧농가 부담이 가중될 경우, 업계‧농가에 지원되는 관련 정책자금의 확대‧금리 인하 등을 통해 경영‧가격안정을 지원하거나, 일부 품목의 긴급 할당관세 적용 등 물가 상승 부담도 최소화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쌀을 제외한 주요 곡물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중장기적인 대응방안도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 2019년 식량자급률 : 쌀 92.1%, 밀 0.7%, 대두 26.7%, 옥수수 3.5%

 

우선, 국제곡물 위기시에 안정적으로 국제곡물을 국내 반입하기 위해서 전문성을 가진 민간기업의 해외곡물 유통망 진출 확대를 적극 지원하고, 협력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 (포스코인터내셔널) 우크라이나에 연간 취급물량 250만 톤 규모의 곡물수출터미널을 인수, 이를 통해 지난해 사료용 밀 6만8천 톤을 국내에 공급

 

* (팬오션) 미국 북서부에 연간 900만 톤 규모의 곡물수출터미널의 지분을 확보, 올해부터 이 터미널을 통해 사료용 옥수수 등을 국내 공급 예정

 

또한, 국내 소비 비중이 높지만 수입 비중이 큰 밀․콩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자급기반을 확충하고, 유사시를 대비하여 비축 물량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1인당 곡물 소비량(2019) : 전체 110kg, 쌀 59(54%), 밀 32(29%), 콩 6(5%)

* 밀․콩 자급률 목표 : (2020) 1.0%/30.4% → (2025) 5.0/33.0 → (’30) 10.0/45.0밀․콩 비축 목표 : (2020) 3천톤/17천톤 → (2025) 30/30(생산량의 25% 수준)

 

농식품부는 이러한 일환으로 작년에 ‘제1차 밀산업육성계획’을 발표(2020.11.28 보도자료 참조)한 바 있고, 올해 밀‧콩 관련 예산을 대폭 확대 편성했다.

 

* 국산 밀․콩 산업 관련 예산 : (2020) 92,840백만원 → 183,054(97.2%↑)

 

농식품부 관계자는 “앞으로 국제곡물 가격 상승 우려가 큰 만큼, 국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대응 방안도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반응형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 share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