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산행 등 야외 활동을 할 때 야생 독버섯을 먹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관련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약 1,900여 종의 버섯이 자생하고 있지만 이 중 먹을 수 있는 것은 대략 400종(21%) 정도에 불과하며, 나머지(79%)는 모두 식용가치가 없거나 독버섯이다.
가을철에는 송이, 능이, 싸리버섯 같은 식용버섯도 많이 자라지만 생김새가 비슷한 붉은싸리버섯이나 화경솔밭버섯 같은 독버섯도 많이 자라는 시기다.
최근 5년간(2014~2018년, 합계) 자연독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로 36명의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시기적으로는 9월에 27명(75%)으로 가장 많았다.
* 독버섯, 복어, 모시조개 등 자연적으로 생성 된 독소를 지닌 동식물 섭취 시 발생
※ 독버섯 중독 사례
- 2019.9.08. 전북 남원시 수정봉, 산행 중이던 등산객이 야생버섯 섭취 후 복통으로 병원 치료
- 2018.9.18. 경북 문경시 신북면 인근 야산에서 채취한 야생버섯을 나눠 먹은 마을주민 3명이 구토와 복통으로 병원 치료
사고 1건당 환자수를 살펴보면 7.2명으로 채취자가 혼자 먹고 중독되기 보다는 따온 버섯을 가족이나 지인들과 나누어 먹는 경우가 많아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참고) 알광대버섯 같은 독버섯 한 개에는 성인 남성 1~2명의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양의 균독소(아마톡신)를 가지고 있음
식용과 독버섯은 민간에 떠도는 속설로는 구분이 어려우니 야생 버섯은 절대 먹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특히, 다음과 같은 잘못된 민간 속설만 믿고 야생버섯을 섭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잘못된 민간 속설>
- 색이 화려하지 않은 버섯은 먹어도 된다.
- 세로로 잘 찢어지는 버섯은 모두 먹을 수 있다.
- 은수저 등 은제품을 검게 변색시키지 않는 버섯 요리에는 독이 없다.
- 벌레나 달팽이가 먹은 흔적이 있는 버섯은 먹을 수 있다.
- 독버섯은 버섯 대에 띠가 없다.
- 독버섯이라도 가지나 들기름과 함께 요리하면 독성이 없어진다.
야생에서 채취한 버섯을 먹은 후 현기증을 비롯한 구토나 복통, 설사, 환각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한다.
이 때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먹었던 야생버섯이나 버섯의 사진이 있으면 가져가도록 한다.
※ 국립수목원에서 제공하는 ‘독버섯 바로알기’ 앱으로 독버섯 정보 확인 가능
출처: 행정안전부
'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 인수봉 낙석위험지역 및 사고다발구간 합동점검 실시 (0) | 2019.10.19 |
---|---|
2019 세종청사 직장어린이집 안전체험 콘서트 개최 (0) | 2019.09.29 |
말벌에 관한 정확한 정보 ‘말벌 상식 팩트 체크’ 배포 (0) | 2019.09.07 |
최근 5년간(2014~18년) 벌 쏘임 사고는 총 70,072명, 7~8월에 52,183명 발생 (0) | 2019.08.15 |
최근 3년(2016~2018)간 전기모기채 안전사고 총 19건 주의 당부 (0) | 2019.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