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세계식량가격지수 2025년 3월 수치는 127.1포인트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0.2% 상승했습니다. 2024년 말부터 다소 안정세를 보이던 식량가격지수가 다시 상승세를 보이며 식량 수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3월 기준, 주요 품목군의 가격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곡물은 2.6% 하락한 반면, 유지류는 3.7% 상승, 육류는 0.9% 상승했고 유제품은 전월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설탕은 1.4% 하락했습니다.
곡물 가격 하락은 북반구 작황 개선, 무역 긴장 완화, 브라질·아르헨티나 작황 회복 등이 영향을 주었습니다. 쌀, 옥수수, 수수 등 전반적인 국제 가격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유지류는 팜유와 대두유 가격 상승이 영향을 주었고, 육류는 독일산 돼지고기 수입 재개와 부활절 전 수요 증가가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유채유와 해바라기유는 공급 부족과 수입 수요 증가로 큰 폭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유제품은 전체적으로 가격 유지였으나, 세부적으로는 치즈 가격이 하락하고 버터와 분유는 상승하는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설탕은 브라질 가뭄 해소와 국제 수요 감소로 가격이 조정되었습니다.
세계식량가격지수 2025년 3월 수치는 비록 소폭 상승에 그쳤지만, 국내 물가 안정 대책에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합니다. 한국 정부는 농축산물 할인 정책과 할당관세를 통해 소비자 부담을 줄이려 노력 중입니다. 곡물 수급과 국제 원자재 시장 변동성은 앞으로도 국내 식품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FAO는 2024/25년도 세계 곡물 생산이 소폭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반면, 소비량은 증가하고 재고는 줄어들 전망입니다. 이러한 전망은 중장기적으로 식량 가격에 압박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농업 정책과 무역 전략에 반영되어야 할 것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3월 농축산물 물가 8개월 연속 안정세! 배추·무 가격은 왜 올랐나? (0) | 2025.04.03 |
---|---|
2025년 1분기 화장품 수출액 역대 최대! 주요 수출국과 인기 품목은? (0) | 2025.04.03 |
2025년 3월 소비자물가 동향 (0) | 2025.04.02 |
산업통상자원부, 2025년 3월 수출입 동향 요약 (0) | 2025.04.01 |
통계청, 2025년 2월 온라인쇼핑 동향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