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담비’, 지리산과 내장산에서 사냥 모습 포착

반응형

▲ 지리산 담비 하늘다람쥐 사냥(2020.4.4)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최근 지리산과 내장산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담비가 하늘다람쥐와 청설모를 사냥하는 희귀한 장면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족제비과 포유류인 담비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자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적색목록에서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된 종이다.


지리산에서는 올해 4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하늘다람쥐를 조사하기 위해 설치된 무인센서카메라에 담비가 하늘다람쥐를 사냥하려는 모습이 촬영됐다.


버드나무의 구멍에 서식하고 있는 하늘다람쥐를 담비가 앞발을 이용해 잡으려고 하지만 실패했고, 다른 영상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삵의 모습도 포착됐다.


내장산에서는 올해 5월 초 청설모를 사냥하려는 담비의 생생한 장면을 자연자원 조사 중인 직원이 직접 휴대전화로 촬영했다. 


소나무를 빙글빙글 도는 담비와 청설모의 추격전을 2분간 담았으며 결국 담비는 사냥을 포기하고 이동했다.


멸종위기종인 담비는 산림이 울창한 국립공원 생태계에서 최상의 포식자로 군림하고 있다.


지리산, 설악산, 속리산 등 전국 내륙 산악지역에 2~3마리씩 무리 지어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쥐, 토끼 등 포유류를 비롯해 새, 나무열매 등 다양한 먹이를 취한다.


과거에는 흔히 관찰되었으나 1980년대부터 산림파괴에 따른 서식 공간 부족으로 개체군이 급감해 드물게 관찰되고 있다.


송동주 국립공원공단 자원보전처장은 “이번에 촬영된 영상은 국립공원의 생태계 건강성이 높은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앞으로도 야생동물 서식지 보전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담비 설명자료 >


○ 학   명 : Martes flavigula


○ 분   류 : 척삭동물문 〉포유류강 〉식육목 〉족제비과


○ 형태

성체의 경우 몸통의 길이 59~68cm, 꼬리의 길이 40~45cm, 뒷다리의 길이 10~14cm, 귀의 길이 3.5~5cm이다. 몸통은 가늘고 길며 꼬리는 몸통 길이의 3분의 2 정도이다. 머리, 얼굴, 다리와 꼬리는 검은 갈색이고 귀 뒤로부터 한 줄의 검은 띠가 있다. 등 쪽은 대부분 밝은 갈색으로 꼬리 쪽으로 갈수록 어두운 갈색을 띠고 배 쪽 털은 연한 살구색이다. 목 부분은 밝은 노란색으로 목덜미는 어두운색이며 아래턱은 흰빛을 띤다. 발가락의 다른 면에도 털이 있다.


○ 분포

국내에는 경기도 광릉, 서울 부근, 중부, 설악산, 속리산, 지리산 등 전국 내륙 산악지대에 분포한다.  

해외에는 아시아, 수단, 중국,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러시아, 타이완, 베트남 등지에도 분포한다. 


○ 생태

울창한 침엽수림에서 2~3마리씩 무리 지어 서식한다. 잡식성으로 포유류부터 조류, 과실, 도토리 등을 먹는다. 

나무를 잘 타고 땅 위를 잘 달리기 때문에 천적을 잘 피하며, 무리 지어 다니면서 자기보다 강한 오소리를 습격하기도 한다. 

항문선에서 나오는 분비물로 자신의 세력권을 표시한다. 

짝짓기 시기는 2~3월 및 6~8월이며, 임신 기간은 270~285일 정도이고, 새끼를 평균 2~3마리, 최대 5마리까지 낳는다. 


○ 현황

서식지가 주로 산악지대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임도 건설, 수종갱신 및 산악도로 건설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다. 과거에는 한반도 중동부 지역에서 흔히 관찰되었으나, 1980년대부터 산림 파괴에 따른 서식 공간 부족으로 남부 지방에서는 개체군이 급감했고, 분포 지역도 감소했다.



출처: 환경부


보급형홈페이지20번

반응형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 share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