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엔피넷뉴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디엔피넷뉴스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뉴스 (7089) N
    • 가전 (66)
    • 건강 (105)
    • 건설 (45)
    • 건축 (13)
    • 게임 (35)
    • 경제 (1087)
    • 교육 (73)
    • 교통 (141)
    • 공연·전시·축제 (191)
    • 국방 (45)
    • 날씨 (385)
    • 농축수산 (223)
    • 레저 (28)
    • 반려동물 (13)
    • 법률 (1)
    • 보건 (67)
    • 부동산 (589) N
    • 사진 (13)
    • 사회·정치 (394) N
    • 생활·문화 (443)
    • 세계 (4)
    • 스포츠 (16)
    • 안전 (90)
    • 여행 (454)
    • 영화 (9)
    • 외교 (6)
    • 요리 (2)
    • 육이·결혼 (4)
    • 의학 (41)
    • 인터넷 (22)
    • 정책 (13)
    • 자동차 (914) N
    • 자전거 (6)
    • 통신 (3)
    • 패션·뷰티 (9)
    • 항공 (14)
    • 화훼 (12)
    • 환경 (159) N
    • IT·과학 (501) N

검색 레이어

디엔피넷뉴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안전사고

  • 소비자원, 겨울철 전열기 안전사고 예방 위한 안전주의보 발령

    2022.11.28 by 디엔피넷

  • 최근 4년간 고령자 안전사고 23,561건, 낙상사고 62.7%

    2022.08.31 by 디엔피넷

  • 최근 5년간 어린이 안전사고 동향 분석

    2022.05.30 by 디엔피넷

  • 기계식주차장 사고 분석 결과, 최근 3년간 43건 사고 6명 사망자 발생

    2022.03.10 by 디엔피넷

  • 최근 3년간 자전거 관련 안전사고는 총 5,555건 매년 증가

    2021.10.18 by 디엔피넷

  • 캠핑용품 관련 안전사고 중, ‘화재’ 사고가 가장 많아

    2021.07.21 by 디엔피넷

  • 가정 내 어린이 트램펄린 안전사고 매년 증가 추세

    2021.06.29 by 디엔피넷

  • 손소독제 안구 안전사고 중, 절반 이상이 ‘어린이’에게 발생

    2021.03.30 by 디엔피넷

소비자원, 겨울철 전열기 안전사고 예방 위한 안전주의보 발령

한국소비자원(이하 ‘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날씨가 추워져 전기장판, 전기히터 등 전열기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겨울철 전열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최근 4년간(2018년∼2021년) 접수된 전열기 관련 위해정보는 3,244건이며, 겨울철(12월~2월)이 1,335건으로 가장 많았다. 전열기 관련 위해정보 중 47.9%(1,553건)가 화재, 과열, 폭발 등과 같이 제품 사용 중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한 주요 위해원인은 제품에 발생한 화재(809건), 전열기의 높은 온도로 인한 화상(407건), 제품의 과열(248건) 순이었다. 전열기 사용으로 인한 안전사고는 ‘화상’이 514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중 전기장판으로 인한 경우가 56.2%(289건)..

안전 2022. 11. 28. 09:04

최근 4년간 고령자 안전사고 23,561건, 낙상사고 62.7%

한국소비자원(이하 소비자원),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 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은 고령자의 낙상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고령인구 증가에 따라 관련 위해정보도 꾸준히 접수되고 있는데 최근 4년간(2018년~2021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고령자 안전사고는 23,561건이다. 고령자 안전사고의 62.7%(14,778건)가 낙상사고로, 단순 골절에 그치지 않고 생명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고령자 낙상사고는 주택에서 가장 많이 발생(11,055건)했는데, 욕실에서 미끄러지거나 침대에서 떨어지는 사례가 많았다. 낙상사고로 ‘머리 및 뇌(뇌막)’를 다치는 경우(3,014건)가 가장 많았고, 나이가 많을수록 손목 골절보다 둔부 골절이 늘어났다. 한..

안전 2022. 8. 31. 07:37

최근 5년간 어린이 안전사고 동향 분석

한국소비자원(이하 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최근 5년간(2017~2021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어린이 위해정보는 총 109,132건으로 팬데믹 이전에는 매년 24,000건 이상 수집되는 등 매년 15,000건 이상 접수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해 종합병원의 어린이 환자가 크게 줄어, 어린이 위해정보 접수 건수는 감소했으나 가정 내, 실외 등에서 어린이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주의가 요구된다. * 어린이 위해정보 병원 접수 건수는 ’19년 대비 ’21년 37.0% 감소(24,354건 ⟶ 15,343건) 어린이 안전사고는 ‘주택’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고, 걸음마기에 가장 많이 나타났다. ‘영아기’에는 ‘추락’사고, 그 외 연..

안전 2022. 5. 30. 18:13

기계식주차장 사고 분석 결과, 최근 3년간 43건 사고 6명 사망자 발생

한국교통안전공단은 “기계식주차장에서 관리자와 이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기계식주차장 안전 대책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최근 기계식주차장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기계식주차장의 주차면수도 점차 증가됨에 따라, 인적사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이다. * (’22.1.) 서울 동대문구 소재 기계식주차장 출입구 전면에 대기하고 있던 차량이 갑자기 돌진하여 출입문을 뚫고 주차장 바닥으로 추락하여 1명 사망 * (’22.1.) 서울 강남구 소재 기계식주차장에서 보수 작업 중 주차된 차량이 추락하여 작업자 1명 사망 기계식주차장 사고 분석 결과, 최근 3년간 43건의 사고로 6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전체사고의 58.1%가 관리자와 이용자 등..

안전 2022. 3. 10. 10:17

최근 3년간 자전거 관련 안전사고는 총 5,555건 매년 증가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자전거 관련 안전사고는 총 5,555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이며, 특히 2020년에는 2019년 대비 안전사고가 54.3% 급증했다. ※ 안전사고건수 : (’18년)1,222건 → (’19년)1,704건 → (’20년)2,629건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6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자전거 안전사고 계절별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가을(9~11월)’이 1,869건(33.6%)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여름(6~8월)’ 1,787건(32.2%), ..

안전 2021. 10. 18. 07:56

캠핑용품 관련 안전사고 중, ‘화재’ 사고가 가장 많아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캠핑용품 관련 안전사고는 총 396건이며, 2018년 115건, 2019년 139건, 2020년 142건 등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6개 위해정보제출기관 및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특히 캠핑용품 관련 안전사고의 위해원인을 분석한 결과 가스 누설, 과열, 발화‧불꽃 폭발 등 ‘화재’ 관련 안전사고가 245건(61.9%)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화재사고 다발 품목으로는 ‘부탄가스’(81건), ‘불꽃놀이 제품’(31건), ‘화로(불판)’(2..

여행 2021. 7. 21. 07:53

가정 내 어린이 트램펄린 안전사고 매년 증가 추세

코로나19 이후 어린이들이 놀이시설을 이용하기 어려워지면서 집에 트램펄린 등을 설치해 이른바 ‘홈 키즈카페’를 조성하는 가정이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 내에서 어린이가 트램펄린 놀이 중에 다치는 안전사고도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코로나19 확산 이후 안전사고 53.5% 증가 최근 5년간(2016년~2020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이하 CISS)에 접수된 가정 내 어린이 트램펄린 안전사고는 총 220건이며 매년 증가 추세다. 특히 코로나19가 확산된 2020년에는 전년(2019년)보다 53.5%(43건→66건) 증가했다.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6개 위해정보제출기..

안전 2021. 6. 29. 15:18

손소독제 안구 안전사고 중, 절반 이상이 ‘어린이’에게 발생

손소독제는 물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간편하게 청결을 유지할 수 있어 감염병 예방을 위한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으나, 사용 중 눈에 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손소독제로 인한 안구 안전사고 중 절반 이상이 ‘어린이’에게 발생 지난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손소독제 관련 위해사례는 총 69건으로 전년(2019년, 4건)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위해부위를 확인할 수 있는 55건을 분석한 결과, 40건(72.8%)이 ‘안구’에 발생한 안전사고였으며, 이어 손소독제를 삼켜 ‘신체내부-소화계통’에 위해가 발생한 사례가 11건(20.0%)이었다.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3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1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

안전 2021. 3. 30. 08:15

추가 정보

인기글

  1. -
    -
    해외 사기의심 사이트 피해 2022년 367건, 전년대비 4배 증가

    2023.03.13 08:38

  2. -
    -
    각종 금융거래 시, 여권 진위확인 서비스 시행

    2020.12.27 17:16

  3. -
    -
    건축물 신축 표준단가 ‘2022년도 건물신축단가표’ 발간

    2022.12.03 08:45

  4. -
    -
    갤럭시 S21 울트라 카메라와 DSLR 촬영 사진 비교

    2021.03.06 09:45

  5. -
    -
    소비자원, 아보카도 오일 품질 및 안전성 조사

    2022.12.31 16:26

최신글

  1. -
    -
    2023년 3월 셋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동향, 매매 0.22%, 전세 0.36% 각각 하락

    부동산

  2. -
    -
    3월 23일 서해안 중심으로 황사 위기경보 ‘관심’ 단계 발령

    환경

  3. -
    -
    ‘슬램덩크’ 관련 굿즈 가짜상품 판매 해외쇼핑몰 주의

    사회·정치

  4. -
    -
    기아, 중국 시장 겨냥 ‘콘셉트 EV5’ 처음으로 선보여

    자동차

  5. -
    -
    SK텔레콤·행안부, PASS(패스)앱에 ‘국민비서’ 서비스 제공

    IT·과학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디엔피넷뉴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