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회·정치

(436)
2023년 한국 인구 감소 심화…고령화 가속·수도권 집중 심화 2023년 한국의 주민등록 인구는 5,133만 명으로 전년 대비 11만 명 감소했다. 이는 4년 연속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며,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는 고령화와 1인 세대의 증가이다. 2023년 한국 인구 감소 심화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3년 12월 31일 기준 한국 인구는 5천132만5329명으로 2022년(5천143만9038명) 보다 11만3709명(-0.22%) 감소했다. 이는 2020년부터 4년 연속 감소한 것이다.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은 저출산과 고령화다. 2023년 출생자 수는 23만5039명, 사망자 수는 35만3920명으로, 자연적 인구 감소는 11만8881명이었다. 또한,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73만411명으로 전체 인구의 18.96%를 차지하여, 고령화 가속화도 인구 감소에 영..
지역별 고령화 격차 심화, 고령자 일자리 정책 시급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지역고용학회가 공동 발간한 「지역산업과 고용」 겨울호에 따르면, 지역별 고령화 정도와 속도가 불균등하게 진행되고 있다. 인구밀도가 낮은 군 단위 지역의 고령화 정도가 높고, 시 단위나 광역지자체의 구 단위의 고령화 속도가 빠르다. 지역별 고령화 격차 심화, 고령자 일자리 정책 시급 이러한 지역별 고령화 격차는 지역 노동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령화 상위지역은 산업 재해자 수와 사망자 수도 높고, 일자리 미스매치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별 고령화 대응을 위한 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고령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근로환경을 구축하고, 지역 산업구조를 생산성이 높은 구조로 재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청년인구 유출·고령인구 고착화, 지방소멸 위기 심화 한국지..
생계급여 2024년 최대 21만3천원 인상…저소득층에 혜택 확대 보건복지부는2024년 1월부터 생계급여를 최대 21만 3천 원 인상하고, 기초생활보장 4대 급여 보장수준도 크게 높인다고 밝혔다. 또한,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위기가구를 발굴·지원한 우수 지자체 24곳을 포상했다. 생계급여 최대 21만 3천 원 인상…저소득층에 혜택 확대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가 1월부터 최대 21만 3천 원 인상된다. 이는 지난 5년간(2018~2022) 전체 증가분(19만 6천 원)보다 많은 것으로, 저소득층에 대한 혜택이 크게 늘어난다. 생계급여 인상 4인 가구 기준 생계급여는 162만 1천 원에서 183만 4천 원으로 인상된다. 이는 기준 중위소득의 32%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지난 2023년 10월부터 적용된 기준 중위소득 30% 대비 2%p 상향된 것이다. 기초생활보장 4대 급여 ..
2023년 경기도사회조사, 출근시간과 교통수단 특징 경기도민의 출근 시 평균 소요 시간은 39분이며, 서울로 출근하는 경우는 평균 1시간 7분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민 10명 중 6명이 출근하고 있으며, 출근 지역은 거주 시군이 54.5%로 가장 많다. 경기도민 출근 평균 39분, 서울 출근은 1시간 7분 경기도가 지난 9월 실시한 ‘2023년 경기도사회조사’ 결과, 경기도민의 출근 시 평균 소요 시간은 39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서울로 출근하는 경우 평균 1시간 7분이 걸리는 것과 비교하면 1.7배나 더 긴 시간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기도민 10명 중 6명이 출근하고 있으며, 출근 지역은 거주하고 있는 시군이 54.5%로 가장 많고, 도내 다른 시군 21.4%, 서울 20.3% 순으로 조사됐다. 출근 시 평균 소요 시간은 거주하는..
2022년 생애단계별 소득·경제상황…중장년층 압도적 우위 2022년 생애단계별 행정통계 결과, 청년층 인구는 전년대비 2.4% 감소한 반면, 노년층 인구는 4.9% 증가했다. 중장년층은 0.1% 증가했다. 또한, 소득은 중장년층이 가장 높고, 건강보험 진료비는 노년층이 가장 많았다. 가구주 연령별로는 청년층이 22.9%, 중장년층이 52.6%, 노년층이 24.5%를 차지했다. 청년층 인구 감소, 노년층 증가 2022년 청년층(15~39세) 인구는 총 인구의 29.9%(1,492만명), 중장년층(40~64세)은 40.5%(2,020만 4천명), 노년층(65세 이상)은 18.1%(904만 6천명)을 차지했다. 청년층 인구는 전년대비 2.4%(36만 3천명) 감소, 중장년층과 노년층 인구는 각각 0.1%(2만 2천명), 4.9%(42만 6천명) 증가했다. 청년층 인..
인천시, 출생 아동 1억 원 지원…정부 출생정책 대전환 촉구 인천시가 인천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이에게 1억 원을 지원하는 ‘1억+i dream’을 발표하고, 정부에 출생 정책의 대전환을 촉구했다. 출생 아동 1억 원 지원…정부 출생정책 대전환 촉구 인천시가 인천에서 태어나는 모든 아이에게 1억 원을 지원하는 ‘1억+i dream’을 발표하고, 정부에 출생 정책의 대전환을 촉구했다.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12월 18일 국가 재앙수준의 저출생 심각성을 인식하고 인천에서 태어나면 누구에게나 1억 원을 지원하는 ‘1억 플러스 아이드림(1억+i dream)’을 발표했다. 우리나라 정부는 2006년부터 올해까지 380조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하여 저출생 대응 정책을 시행했음에도, 올해 3분기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7명을 기록하고 있다. 이 출산율은 세계 236개..
2023년 한국 체류 외국인 143만명 전년대비 9.9% 증가, 역대 최대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으로 국내에 상주하는 외국인은 143만 명으로 전년 대비 12만 9천 명(9.9%)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023년 이민자 143만 명, 역대 최대 지난 5월 기준으로 국내에 상주하는 외국인은 143만 명으로 전년 대비 12만 9천 명(9.9%)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외국인 입국이 본격적으로 재개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국적별로는 베트남(3.2만 명), 중국(5천 명, 한국계중국은 제외) 등에서 전년 대비 증가하고, 한국계중국(-7천 명)에서 감소했다. 체류자격별로는 비전문취업(6만 명), 유학생(2.5만 명) 등에서 전년 대비 증가하고, 방문취업(-1만 명),..
2023 한국 사회동향, 젊은층 결혼 기피·동거·무자녀 증가 2023년 한국 사회의 주요 동향 중 하나는 젊은층의 결혼 기피, 동거, 무자녀 증가다. 통계청이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3'에 따르면, 20~30대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다. 2008~2022년 사이 20대 남성은 30.0%p, 여성은 25.4%p 감소했다. 반면, 20~30대의 동거와 무자녀에 대한 태도는 2015~2020년 사이 부정적 인식보다 긍정적 인식이 더 높아졌다. 2020년 기준으로 20대 남성의 동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54.0%,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43.3%로 집계됐다. 특히, 비혼출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여전히 높다. 2023년 기준으로 20대 남성의 비혼출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54.4%, 여성은 59.5%로 ..

반응형